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6); 2023 > Article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장기 임상 결과 및 ATN 분류에 따른 망막의 변화

국문초록

목적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의 3년 이상 임상 결과 및 ATN (A: atrophy, T: traction, N: neovascularization) classification system에 따른 위축성 변화와 견인성 변화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근시성 맥락막 신생혈관으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를 시행받고 3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들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치료 전과 마지막 경과 관찰 시점에서의 위축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을 ATN classification system에 따라 평가하였다.

결과

총 21명 21안이 대상이 되었고 평균 연령은 52.29 ± 14.6세였고,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57.65 ± 18.8개월이었으며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횟수는 평균 2.9 ± 1.9회였다. 7안(33.3%)에서 재발이 발생되었으며, 5안(23.8%)에서 반대안에 발생하였다. 초기 평균 시력은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0.44 ± 0.30, 최종 시력은 0.33 ± 0.39였으며, 15안(71.4%)에서 시력이 유지되거나 호전되었다. 초기 시력은 최종 방문 시 시력과 유의하게 연관된 인자로 나타났다(p=0.026). 위축성 요인의 단계가 진행된 경우가 4안(19.0%)이었으며, 견인성 요인에서는 1안(4.8%)에서는 호전을 보였으며 5안(23.8%)에서 진행이 관찰되었다.

결론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는 장기간 시력 유지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알 수 있다. 또한 경과 관찰 시 위축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에 대한 평가를 소홀히 하지 않도록 해야 한다.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clinical outcomes of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and atrophic and tractional changes according to the ATN (A: atrophy, T: traction, N: neovascularization) classification system.

Methods

This was a retrospective review of the medical records of myopic CNV patients treated with intravitre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anti-VEGF) injections and followed up for at least 3 years. Atrophic and tractional components were graded according to the ATN system at baseline and the last visit.

Results

The study included 21 eyes in 21 patients. The mean age was 52.29 ± 14.6 years, the mean follow-up duration was 57.65 ± 18.8 months, and the mean number of injections was 2.9 ± 1.9. Recurrence occurred in seven eyes (33.3%). Five patients (23.8%) developed myopic CNV in the contralateral eye. The mean initial and final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visual acuities were 0.44 ± 0.30 and 0.33 ± 0.39, respectively. Visual acuity was maintained or improved compared to baseline in 15 eyes (71.4%). Baseline visual acuity was significantly associated with the final visual acuity (p = 0.026). Based on the ATN classification system, the atrophic component progressed in four eyes (19.0%), while the tractional component improved in one eye (4.8%) and progressed in five eyes (23.8%).

Conclusions

Intravitreal anti-VEGF injection therapy effectively preserved long-term vision in myopic CNV patients. Evaluation of the atrophic and tractional components should not be neglected during the follow-up.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은 병적 근시 중 5-11%에서 발생하며 시력저하를 일으키는 흔한 원인으로 50세 이하에서 발생한 맥락막신생혈관의 62%를 차지한다고 알려져 있다. 점진적인 중심 시력저하를 일으킬 수 있으며 치료하지 않을 경우 법적 실명으로 이어질 수도 있다. 반대안에 발생 빈도가 흔한 편인데 장기간 연구를 통해 약 34.8%에서 발생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1,2
과거에는 광역학치료가 시행되었으나 중심와아래 신생혈관에 대해서는 장기간 시력 예후가 좋지 않아 현재는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가 일차 치료로 사용되고 있다.3,4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로 베바시주맙(Avastin®, Genentech, Inc., South San Francisco, CA, USA), 라니비주맙(Lucentis®, Genentech, Inc.), 애플리버셉트(Eylea®, Regeneron, Rensselaer, NY, USA)가 국내에서 이용 가능하다. 베바시주맙 치료에 대한 장기 연구에서 주로 필요할 때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5년 이상 연구에서 평균 4.9회, 10년 이상 연구에서 평균 6.8회 주사 치료가 시행되었고 치료 전과 비교하여 양호한 시력 결과를 보였다.5,6
국내 보고에서는 Seo and Chang7이 베바시주맙 치료의 2년 장기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Lee et al8은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베바시주맙 치료의 1년 이상 장기 치료 결과를 보고하였다.
Ruiz‐Medrano et al9은 칼라안저사진과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위축성 요인(atrophic component, A), 견인성 요인(tractional component, T), 신생혈관성 요인(neovascular component, N)을 평가할 수 있는 ATN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을 소개하였다. ATN system은 근시성 황반병증 평가에서 간단하면서도 높은 신뢰도와 재현성을 보여 여러 연구에서 이용되고 있다.10
현재까지 한안지에서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 대한 3년 이상 경과 관찰 연구가 없었고 국내외적으로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연구에서 ATN classification system을 이용한 연구는 드문 것으로 알고 있다. 본 연구는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치료 후 3년 이상 경과 관찰에서의 임상 결과 및 ATN classification system에 따른 위축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의 변화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단일기관에서 시행된 후향적 관찰 연구로 헬싱키선언에 입각하여 시행되었으며 누네안과병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을 획득하였다(승인번호: N-2211-002-999). 의무기록 검색을 통해 -6.0디옵터 이상의 구면렌즈대응치 또는 안축장 길이가 26 mm 이상의 환자 중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으로 진단되어 필요할 때마다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anti-VEGF) 주사를 시행받은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또한, 첫 치료 시 칼라 안저사진, 빛간섭단층촬영이 시행되었으며 첫 치료 후 36개월 이상 경과 관찰이 되었던 경우를 대상으로 하였다. 제외 기준은 다음과 같다. 1) 이전 유리체망막수술을 시행받은 경우, 2) 다른 원인에 의한 안구 내 주사 또는 광역학요법 치료 병력이 있는 경우, 3) 약시, 4) 고혈압성 망막병증, 당뇨망막병증, 습성 나이관련황반변성이 동반된 경우 등이며,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양안이 진단된 경우는 먼저 발생한 안을 대상으로 하였다.
첫 치료 시 최대교정시력, 세극등현미경검사, 안저검사,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pectralisTM Heidelberg Engineering, Dossenheim, Germany) 및 형광안저혈관조영술을 시행하였으며 인도시아닌그린혈관조영술은 의사의 판단에 따라 일부에서 시행되었다. 환자는 진단 후 1회 혹은 연속적으로 2-3회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를 시행받았다. 주사 후 경과 관찰 기간 동안 빛간섭단층촬영에서 망막하액, 망막내액이 발생된 경우나 안저검사에서 망막출혈이 발생된 경우를 재발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주사 치료를 시행하였다.
자료 분석은 첫 치료 시와 마지막 경과 관찰 시점에서의 나이, 성별, 구면렌즈대응치, 기저 질환, 수정체 상태, 굴절교정수술 여부, 주사 횟수, 재발 여부, 재발 횟수, 재발까지의 기간, 경과 관찰 기간 등이 포함되었다. 빛간섭단층촬영 소프트웨어에서 분절(segmentation)이 정확하지 않아 중심와 위치에서 수동 측정한 길이를 중심망막두께로 정의하였으며, 황반하 망막색소상피층의 외측 경계와 맥락막공막 경계까지 1:1 μm 모드로 측정한 수직 길이를 맥락막두께로 정의하였다. 첫 치료 시점과 마지막 경과 관찰 시점에서 중심망막두께, 맥락막두께를 2명의 안과의사가 측정하였다. 또한, ATN grading system을 참고하여 칼라안저사진 및 빛간섭단층촬영을 이용하여 첫 치료 시와 마지막 경과 관찰 시점에서의 위축성 요인, 견인성 요인을 평가하였다(Table 1). 평가는 각 환자의 정보를 제공하지 않고 안저 및 빛간섭단층촬영 사진만을 관찰자에게 무작위 순서로 제공하여 판독을 하였으며 의견이 다른 경우 망막 전문의의 결과값을 사용하였다.
통계분석은 IBM SPSS Statistics version 29.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다. 최대교정시력은 통계학적 분석을 위해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값으로 변환하였다. 변수들과 최종 시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단변량 분석과 다변량 분석을 시행하였다. 첫 치료 시 환자의 나이를 기준으로 50세 이전에 발생한 군과 50세 이상에서 발생한 군으로 분류하여 추가적인 비교 분석을 시행하였다. 연속변수의 경우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명목변수의 비교에서는 chi-square test를 이용하였다.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총 21명의 환자가 포함되었으며 평균 연령은 52.29 ± 14.6세, 평균 경과 관찰 기간은 57.65 ± 18.8개월이었다. 여성이 18명(85.7%)이었으며 12안(57.1%)은 좌안에서 발생되었다. 굴절교정수술을 시행받았던 환자는 9명(42.9%)이었으며 백내장수술을 시행받았던 환자는 5명(23.8%)이었다. 구면렌즈대응치는 -5.98 ± 6.4디옵터, 첫 치료 시 logMAR 최대교정시력은 0.44 ± 0.30이었다. 경과 관찰 기간 동안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횟수는 평균 2.9 ± 1.9회였으며 7안(33.3%)에서 재발이 발생되었으며 첫 재발까지의 발생 기간은 37.71 ± 16.5개월이었다(Fig. 1.). 5명(23.8%)에서 경과 관찰 기간 동안 반대안에서도 발생되었다. 최종 방문 시점에서의 logMAR 최대교정시력은 0.33 ± 0.39였다(Table 2). 최종 방문 시점에서는 logMAR 최대교정시력과 단변량 분석에서 첫 치료 시 logMAR 최대교정시력이 나쁠수록(r=0.528, p=0.017), 구면렌즈대응치가 낮을수록(r=-0.446, p=0.043) 나쁜 결과를 보였다. 다변량 분석에서 첫 치료 시 logMAR 최대교정시력(p=0.026)이 최종 방문 시점에서의 시력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계를 보였다(Table 3).
ATN grading system에 따른 분석에서 두 명의 평가자 간 일치도는 위축성 요인에서 85.7% (kappa=0.732, p<0.001), 견인성 요인에서 83.3% (kappa=0.709, p<0.001)였다. 첫 치료 시 위축성 요인은 A0 2안(9.5%), A1 5안(23.8%), A2 5안(23.8%), A3 9안(42.9%)이었으며 최종 방문 시점에서는 A0 1안(4.8%), A1 3안(14.3%), A2 7안(33.3%), A3 10안(47.6%)이었다. 위축성 요인에서 grading이 진행된 경우는 4안(19.0%)이었으며 17안(81.0%)에서는 grading의 변화가 없었다. 견인성 요인은 첫 치료 시 T0 19안(90.5%), T1 1안(4.8%), T2 1안(4.8%)이었으며, 최종 방문 시점에서는 T0 14안(66.7%), T1 5안(23.8%), T2 1안(4.8%), T3 1안(4.8%)으로 평가되었다. 견인성 요인에서 5안(23.8%)에서 grading의 진행이 있었으며, 1안(4.8%)에서 grading이 호전되었고 15안(71.4%)에서는 grading의 변화는 없었다(Table 4, Fig. 2). 위축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의 진행 여부에 따른 주사 횟수, 재발 횟수, 최종 방문 시점에서의 시력 등을 분석한 결과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나 상관관계는 나타나지 않았다.
나이에 따른 집단 분석에서 50세 미만 환자군과 50세 이상 환자군에서 첫 치료 시 logMAR 최대교정시력은 각각 0.39 ± 0.34, 0.47 ± 0.26이었으며, 최종 방문 시 logMAR 최대교정시력은 각각 0.36 ± 0.39, 0.30 ± 0.41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첫 치료 시 맥락막두께는 50세 미만 환자군에서 111.5 ± 91.87 μm, 50세 이상 환자군에서 52.30 ± 36.49 μm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 마지막 방문 시 맥락막두께는 50세 미만 환자군에서 85.00 ± 65.02 μm, 50세 이상 환자군에서 32.09 ± 24.70 μm으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43). 주사 횟수는 50세 미만 환자군에서 2.60 ± 1.71회, 50세 이상 환자군에서 3.18 ± 2.27회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50세 미만 환자군에서는 6안(60%)에서 재발, 50세 이상 환자군에서는 1안(9.1%)에서 재발되었으며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13) (Table 5).

고 찰

근시는 흔한 안과 장애의 한 유형으로 특히 동아시아에서 유병률이 높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 국내 5세에서 18세의 983명을 기준으로 실시한 국민건강영양조사 7기 자료에서 65.4%에서 근시가 있었으며, 구면렌즈대응치가 -6.0디옵터 이하로 정의한 고도근시의 비율은 6.9%였다.11 이는 기존 4, 5기 국민건강영양조사 자료에서 고도근시의 비율이 5.9%였던 것과 비교하면 국내에서 고도근시의 비율이 증가하는 추세로 향후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과 같은 근시성 황반질환 또한 증가할 것으로 생각된다.12,13
본 연구에서는 여성이 85.7%로 여성의 비율이 높았는데 이는 Lee et al8의 연구의 여성 비율(83.7%)과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하지만 다른 인종의 연구에서는 남성의 비율(50.9%)이 더 높은 연구도 있어 인종별 차이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14 미국 연구에서는 남성보다 여성의 유병률이 높음을 보고하였다.15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이 주로 여성에서 빈번한 원인은 고도근시안의 맥락막신생혈관에 에스트로겐 수용체가 발현되어 신생혈관의 발생을 촉진하는 것으로 생각된다.16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치료는 주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가 이용된다.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의 효과는 3상 임상시험에서 확인되었으며 치료 목적으로 공인된 약제이다. 라니비주맙 임상 연구에서는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들을 대상으로 주사 치료를 시행하여 6개월 시점에서 48명의 환자들을 분석한 결과 Early Treatment Diabetic Retinopathy Study (ETDRS) 차트로 평균 12.2 글자의 시력이 향상되었고 중심망막두께는 감소하였음을 보고 하였다.17 애플리버셉트 임상 연구에서도 48주 동안 애플리버셉트 치료군은 평균 4.2회의 주사 치료를 받았으며, 평균 13.5 글자의 시력 향상 효과를 보였고, 대조군에서는 3.9 글자의 시력 개선을 보고하였다.18 베바시주맙 또한 임상에서 많이 사용되며 장기 연구 또한 많이 이루어졌다. 세 가지 약제 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한 대규모 전향적 연구 결과가 부족하여 직접적인 비교는 어려운 상태다. Cha et al19은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치료로 베바시주맙과 라니미주맙 비교 연구에서 1년 후 비슷한 기능적 결과와 해부학적 결과를 보고하였으며, Pham et al20은 망막 상태에 따라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에 대한 메타분석을 시행하였는데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베바시주맙과 라니비주맙 사이에 시력향상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베바시주맙이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라니비주맙과 애플리버셉트의 합리적인 대체치료제로 사용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주로 베바시주맙이 치료에 사용되었으며 2명의 환자에서 라니비주맙이 사용되었는데 치료약제가 시력에 대해 유의할 정도의 차이를 보이지 않았을 것으로 생각된다.
베바시주맙으로 필요할 때마다 치료한 연구를 살펴보면 1년 이상 환자에서 약 2.7회의 치료가 시행되었으며 5년 이상 연구에서는 평균 4.9회, 10년 이상 연구에서는 평균 6.8회 주사 치료가 시행되었다.5,6,19 본 연구에서는 3년 이상 경과 관찰 환자에서 2.9회 시행되었는데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횟수는 경과 관찰 기간이 증가함에 따라 증가될 것으로 생각된다.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반대안에 발생하는 빈도는 장기간(8-10년) 연구에서 약 30% 정도로 알려져 있다.1,6 본 연구에서는 5안(23.8%)에서 발생하였는데 경과 관찰이 길어진다면 반대안에서 발생 빈도는 조금 더 올라갈 것으로 생각된다.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은 치료 후 재발할 수 있고 재발 기간은 개인마다 차이가 있다. Lee et al8은 1년 이상 경과 관찰 연구에서 43안 중 17안(39.5%)에서 재발을 보고 하였으며 그중 6안이 24개월 이후에 발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21안 중 7안(33.3%)에서 재발하였는데 이는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환자에서 반대안 검사를 소홀히 하지않아야 하며 장기간 재발이 없더라도 경과 관찰이 필요함을 시사한다.
나이에 따른 치료 효과를 분석한 기존 연구에서는 나이가 적은 군에서 나이가 많은 군보다 더 적은 주사 횟수와 시력호전을 보였다고 보고하였다.21,22 또한 재치료에 대한 필요가 나이에 영향을 받는다고 하였다.22 본 연구에서는 50세 이상 환자군에서 재발이 더 적었으나 평균 주사 횟수는 더 많았는데, 표본이 적었으며 50세 이상에서 재발된 1명의 환자에서 총 9회의 주사가 필요하여 재발 시 많은 주사 치료가 필요하였던 점이 영향을 주었을 수 있다.
Ohno‐Matsui et al23은 병적근시 평가와 관련하여 International Photographic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 for myopic maculopathy (META‐PM) 분류 시스템을 발표하였다. 주로 위축을 평가하고 신생혈관은 부수적으로 평가하였으며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myopic tractional maculopathy)에 대한 평가는 제외되었다. 그 후 Ruiz‐Medrano et al9이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을 평가할 수 있는 ATN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을 도입하여 현재 많은 연구에 이용되고 있다. Kurt et al10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를 요하지 않는 흉터화된 경우를 포함한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연구에서 ATN system을 이용하여 분석을 시행하였다. 위축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으며 신생 혈관성 요인과 견인성 요인 사이의 유의한 상관관계는 없었지만 위축성 요인과 신생혈관성 요인 사이에서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위축이 신생혈관 흉터의 독립적인 예측인자이며 patchy 맥락막망막위축이 있는 경우 맥락막신생혈관이 가장 자주 발생되어 세심한 검사와 경과 관찰이 필요하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를 시행하였으며 ATN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에 따른 위축의 진행은 4안(19.0%)에서 있었다. Chhablani et al5은 아바스틴 치료로 5년 이상 경과 관찰에서 첫 치료 시 12.5%에서, 마지막 방문은 29.1%에서 중심와 위축이 발생하였다고 보고하였으며, Mallone et al6은 아바스틴 치료 후 10년 경과 관찰 연구에서 80%에서 맥락막망막위축이 발생 및 진행하였다고 보고하였다. 이처럼 본 연구에서 위축의 진행이 적게 나타나는 것은 ATN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이 patchy atrophy의 크기가 증가하는 것을 반영하지 못하여 실제로 위축이 진행되는 경우에도 같은 등급으로 분류되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견인성 요인에 대한 평가에서는 5안(23.8%)에서 진행이 있었으며, 1안(4.8%)에서 호전되었다. Shimada et al24은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및 맥락막망막위축을 제외한 2년 이상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 관찰 연구에서 11.6%에서 진행, 3.9%에서 완화 또는 완전한 호전을 보고하였다. 호전되는 비율은 비슷하였으며 진행에 대한 비율은 본 연구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 후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과 망막층간분리의 진행은 드물지만 독특한 합병증 중 하나이다.25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에서 유리체강 내 주사가 근시성 견인성 망막병증을 악화시키는 명확한 기전은 불분명하지만 Shimada et al26은 신생혈관의 퇴행 위치에서 내경계막이 수축되어 일어날 수 있음을 설명하였다. Wei et al27은 섬유모세포를 포함한 수축력을 가진 다양한 세포에 포함되어 있는 알파 평활근 액틴이 여러 차례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후 유리체액에서 발현이 증가하여 내경계막이나 후유리체막의 수축을 유발시켜 망막층간분리가 진행될 수 있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으로 유리체강 내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 치료를 받고 3년 이상 경과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국내 연구 중 처음으로 ATN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을 이용하여 장기 임상 결과 및 변화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후향적 방법으로 시행되어 분석이 이루어졌고 피험자수가 적으며 기존 굴절교정수술이나 백내장수술로 구면렌즈대응치를 정확하게 반영하지 못하여 고도근시의 기준인 -6.0디옵터를 만족시키지 못하였다. 또한 경과 관찰이 규칙적으로 되지 못하였으며 초기 치료 시 주사 횟수가 통일되지 못하였던 점이 결과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으로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치료를 받고 3년 이상 경과 관찰된 환자는 71.4%에서 시력이 유지되거나 호전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부에서 맥락막망막위축과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이 진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항혈관내피성장인자 주사가 근시성 맥락막신생혈관 장기 치료에 효과적인 방법임을 뒷받침하며, 경과 관찰 시 근시성 견인성 황반병증과 맥락막망막위축 변화에 대한 평가 또한 소홀하지 않도록 해야겠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A Kaplan-Meier curve showing the cumulative recurrence of the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fter initial treatment. Among the 21 eyes, 7 eyes (33.3%) showed recurrence during the follow-up period.
jkos-2023-64-6-514f1.jpg
Figure 2.
Clinical course of a 59 year-old female patient who was diagnosed with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CNV) in the left eye. At baseline, tessellated fundus (A) and leakage from CNV was noted on fluorescein angiography (B), and subretinal fluid with hyper-reflective material was detect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 The patient was treated with 2 monthly intravitreal bevacizumab injections. One month after the second injection, the fluid and hyper-reflective material were disappeared (D). At 44 months after the initial treatment, myopic retinoschisis was noted 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E).
jkos-2023-64-6-514f2.jpg
Table 1.
ATN classification system, which considers atrophic (A), tractional (T) and neovascular (N) components
Atrophic component (A) Tractional component (T) Neovascular component (N)
A0: no myopic retinal lesions T0: no macular schisis N0: no myopic CNV
A1: tessellated fundus only T1: inner or outer foveoschisis N1: lacquer cracks
A2: diffuse chorioretinal atrophy T2: inner + outer foveoschisis N2a: active CNV
A3: patchy chorioretinal atrophy T3: foveal detachment N2s: scar/fuchs spot
A4: complete macular atrophy T4: full-thickness MH
T5:MH + retinal detachement

CNV =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MH = macular hole.

Reprint from Ruiz-Medrano et al. 9

Table 2.
Demographics and clinical outcomes of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patients (n = 21)
Parameters Value
Age (years) 52.29 ± 14.6
Sex
 Men 3 (14.3)
 Women 18 (85.7)
DM 2 (9.5)
HTN 4 (19.0)
Laterality
 Right 9 (42.9)
 Left 12 (57.1)
History of refractive surgery 9 (42.9)
Lens status
Phakia 16 (76.2)
Pseudophakia 5 (23.8)
Spherical equivalents (diopter) -5.98 ± 6.4
Axial length (mm) 30.31 ± 2.38
Baseline logMAR BCVA 0.44 ± 0.30
Final logMAR BCVA 0.33 ± 0.39
Follow-up period (months) 57.65 ± 18.8
Number of anti-VEGF injections 2.9 ± 1.9 (1-9)
Recurrence patients during follow-up period 7 (33.3)
Number of recurrence 0.43 ± 0.7
Duration (months) to 1st recurrence 37.71 ± 16.5 (18-69)
Involvement of fellow eye during follow-up period 5 (23.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DM = diabetes mellitus; HTN = hypertension; logMAR =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VEGF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able 3.
Associations between parameters and final logMA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i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patients (n = 21)
Parameters Univariate
Multivariate
Correlation coefficient (Spearman) p-value* p-value
Age (years) 0.015 0.947 0.832
Baseline logMAR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0.528 0.017 0.026
Follow up period 0.041 0.864 0.256
Spherical equivalents -0.446 0.043 0.990
Number of anti-VEGF injections 0.195 0.398 0.557

logMAR =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VEGF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Spearman correlation analysis;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Table 4.
Changes of the funduscopic and tomographic parameters according to a novel myopic maculopathy classification system (atrophy [A], traction [T], neovascularization [N]; ATN) during follow up period (n = 21)
Baseline Final Progression Stationary Improvement
Atrophic component (A) 4 (19.0) 17 (81.0) 0 (0.0)
A0: no myopic retinal lesions 2 (9.5) 1 (4.8)
A1: tessellated fundus only 5 (23.8) 3 (14.3)
A2: diffuse CRA 5 (23.8) 7 (33.3)
A3: patchy CRA 9 (42.9) 10 (47.6)
A4: complete macula atrophy 0 (0.0) 0 (0.0)
Tractional component (T) 5 (23.8) 15 (71.4) 1 (4.8)
T0: no Macular schisis 19 (90.5) 14 (66.7)
T1: inner or outer foveoschisis 1 (4.8) 5 (23.8)
T2: inner and outer foveoschisis 1 (4.8) 1 (4.8)
T3: foveal detachment 0 (0.0) 1 (4.8)
T4: full thickness MH 0 (0.0) 0 (0.0)
T5: MH + RD 0 (0.0) 0 (0.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CRA = chorioretinal atrophy; MH = macular hole; RD = retinal detachment.

Table 5.
Univariate comparisons between young age group and old age group (n = 21)
Parameters Young age (< 50 years) group (n = 10) Old age (≥ 50 years) group (n = 11) p-value*
Baseline logMAR BCVA 0.39 ± 0.34 0.47 ± 0.26 0.503
Final logMAR BCVA 0.36 ± 0.39 0.30 ± 0.41 0.387
Follow-up period (months) 58.90 ± 20.51 57.65 ± 18.84 0.912
Number of anti-VEGF injections 2.60 ± 1.71 3.18 ± 2.27 0.512
Number of recurrence 0.80 ± 0.91 0.09 ± 0.30 0.043
Baseline CRT (μm) 243.80 ± 55.71 282.2 ± 82.66 0.393
Final CRT (μm) 196.00 ± 48.95 209.90 ± 43.53 0.481
Baseline choroidal thickness (μm) 111.5 ± 91.87 52.30 ± 36.49 0.123
Final choroidal thickness (μm) 85.00 ± 65.02 32.09 ± 24.70 0.043
Recurrence 6 (60.0) 1 (9.1) 0.013
Bilateral involvement 3 (30.0) 2 (18.2) 0.525
History of refractive surgery 5 (50.0) 4 (36.4) 0.528
Baseline lens status 0.696
 Phakia 8 (80.0) 8 (82.7)
 Eudophakia 2 (20.0) 3 (27.3)

logMAR =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VEGF = 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CRT = central retinal thickness.

* Statistical analysis performed using Mann-Whitney U test and chi-square analysis.

REFERENCES

1) Ohno-Matsui K, Yoshida T, Futagami S, et al. Patchy atrophy and lacquer cracks predispose to the development of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in pathological myopia. Br J Ophthalmol 2003;87:570-3.
crossref pmid pmc
2) Yoshida T, Ohno-Matsui K, Yasuzumi K, et al.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 10-year follow-up. Ophthalmology 2003;110:1297-305.
crossref pmid
3) Hayashi K, Ohno-Matsui K, Shimada N, et al. Long-term results of photodynamic therapy for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Japanese patients with pathologic myopia. Am J Ophthalmol 2011;151:137-47.e1.
crossref pmid
4) Willis J, Morse L, Vitale S, et al. Treatment patterns for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the United States: analysis of the IRIS registry. Ophthalmology 2017;124:935-43.
crossref pmid
5) Chhablani J, Paulose RM, Lasave AF, et al. Intravitreal bevacizumab monotherapy i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5-year outcomes for the PAN-American collaborative retina study group. Br J Ophthalmol 2018;102:455-9.
crossref pmid
6) Mallone F, Giustolisi R, Franzone F, et al. Ten-year outcomes of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nalysis of prognostic factors. Pharmaceuticals (Basel) 2021;14:1042.
crossref pmid pmc
7) Seo YS, Chang MH. Long-term therapeutic effect of intravitreal bevacizumab (Avastin) o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34-40.
crossref
8) Lee JM, Kim JW, Lee DW, Kim JH. Long-term treatment outcomes of intravitreal bevacizumab treatment for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547-54.
crossref pdf
9) Ruiz-Medrano J, Montero JA, Flores-Moreno I, et al. Myopic maculopathy: current status and proposal for a new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 (ATN). Prog Retin Eye Res 2019;69:80-115.
crossref pmid
10) Kurt RA; Sarıgül Sezenöz A, Akkoyun I, Yılmaz G. The correlation of atrophy, traction and neovascularization i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ccording to a novel myopic maculopathy classification system (atrophy (A), traction (T), neovascularization (N): ATN). Int Ophthalmol 2022;42:2925-32.
crossref pmid pdf
11) Kim H, Seo JS, Yoo WS,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myopia in Korean children: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2016-2017 (KNHANES VII). BMC Ophthalmol 2020;20:31.
crossref pmid pmc pdf
12) Jung SI, Han J, Kwon JW, et al. Analysis of myopic progression in childhood using the Korea National Health and Nutrition Examination Survey.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430-4.
crossref pdf
13) Lee DH, Choi EY, Kang HG, Kim M. Current concepts in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 review. J Retin 2020;5:1-11.
crossref
14) Jain M, Narayanan R, Jana P, et al. Incidence, predictors and re-treatment outcomes of recurrent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PLoS One 2022;17:e0271342.
crossref pmid pmc
15) Willis JR, Vitale S, Morse L, et al. The prevalence of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the United States: analysis of the IRIS(®) Data Registry and NHANES. Ophthalmology 2016;123:1771-82.
crossref pmid
16) Kobayashi K, Mandai M, Suzuma I, et al. Expression of estrogen receptor in the choroidal neovascular membranes in highly myopic eyes. Retina 2002;22:418-22.
crossref pmid
17) Tufail A, Patel PJ, Sivaprasad S, et al. Ranibizumab for the treatment of choroidal neovascularisation secondary to pathological myopia: interim analysis of the REPAIR study. Eye (Lond) 2013;27:709-15.
crossref pmid pmc pdf
18) Ikuno Y, Ohno-Matsui K, Wong TY, et al. Intravitreal aflibercept injection in patients with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the MYRROR study. Ophthalmology 2015;122:1220-7.
crossref pmid
19) Cha DM, Kim TW, Heo JW, et al. Comparison of 1-year therapeutic effect of ranibizumab and bevacizumab for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a retrospective, multicenter, comparative study. BMC Ophthalmol 2014;14:69.
crossref pmid pmc pdf
20) Pham B, Thomas SM, Lillie E, et al.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reatment for retinal condition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BMJ Open 2019;9:e022031.
crossref pmid pmc
21) Yoshida T, Ohno-Matsui K, Ohtake Y, et al. Long-term visual prognosis of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in high myopia: a comparison between age groups. Ophthalmology 2002;109:712-9.
crossref pmid
22) Karagiannis D, Kontadakis GA, Kaprinis K, et al. Treatment of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with intravitreal ranibizumab injections: the role of age. Clin Ophthalmol 2017;11:1197-201.
crossref pmid pmc pdf
23) Ohno-Matsui K, Kawasaki R, Jonas JB, et al. International photographic classification and grading system for myopic maculopathy. Am J Ophthalmol 2015;159:877-83.e7.
crossref pmid
24) Shimada N, Tanaka Y, Tokoro T, Ohno-Matsui K. Natural course of myopic traction maculopathy and factors associated with progression or resolution. Am J Ophthalmol 2013;156:948-57.e1.
crossref pmid
25) Ng DSC, Ho M, Iu LPL, Lai TYY. Safety review of anti-VEGF therapy in patients with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Expert Opin Drug Saf 2022;21:43-54.
crossref pmid
26) Shimada N, Ohno-Matsui K, Hayashi K, et al. Macular detachment after successful intravitreal bevacizumab for myopic choroidal neovascularization. Jpn J Ophthalmol 2011;55:378-82.
crossref pmid pdf
27) Wei Q, Jiang C, Ye X, et al. Vitreous proteomics provides new insights into antivascular endothelial growth factor therapy for pathologic myopia choroid neovascularization. J Interferon Cytokine Res 2019;39:786-96.
crossref pmid

Biography

여수진 / Sujin Yeo
누네안과병원
Nune Eye Hospital
jkos-2023-64-6-459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