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11); 2023 > Article
감각외사시와 일치외사시의 장기 수술 결과 비교

국문초록

목적

감각외사시 환자와 일치외사시 환자의 장기적인 수술 성적을 비교하고, 감각외사시 수술 예후와 관련된 인자들에 대해 알아보고자 했다.

대상과 방법

감각외사시는 편위안의 최대교정시력이 0.2 미만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감각외사시 수술 후 2년 이상 경과 관찰이 가능하였던 28명의 수술 성공률을 분석하기 위해 주시 방향에 따라 사시각의 차이가 없는 일치외사시로 수술을 받은 환자 중 감각외사시수술 환자와 성별, 연령, 수술 전 최대 원거리 및 근거리사시각을 매칭한 28명을 대조군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또한, 감각외사시 환자군 장기 수술 결과를 분석하기 위해 수술 3년 후 결과를 추가 조사하였다. 수술 성공은 최종 내원 시 원거리사시각이 정위에서 1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내인 경우로 정하였다. 감각외사시 수술 후 재발과 관련된 위험 인자의 분석을 위해 Cox 비례위험모형을 사용하였다.

결과

수술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감각외사시군에서 91.7 ± 45.8개월, 대조군에서 42.6 ± 27.7개월이었다. Kaplan-Meier 생존분석에서 감각외사시군의 술 후 2년째 누적 수술 성공률은 74.5%였고 대조군은 74.4%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88). 감각외사시군에서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클수록 수술 후 재발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p=0.091).

결론

감각외사시 환자와 일치외사시 환자의 수술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 감각외사시 환자에서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클수록 수술 후 재발 위험이 증가하였다.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long-term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sensory and concomitant exotropia and to define the factors associated with successful surgical outcomes in those with sensory exotropi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sensory exotropia who underwent operations and were followed-up for at least 2 years were retrospectively reviewed. We enrolled patients exhibiting only best-corrected visual acuities ≤ 20/100 of the operated eyes. Surgical success was defined as a final distance deviation < 10 prism diopters (PD) with the eye in the primary position. Twenty-eight patients operated upon to treat sensory exotropia and 28 who underwent operations to treat concomitant exotropia who did not differ in terms of the gaze deviation angle were matched in terms of age, sex, and the preoperative distance and near distributions; their surgical outcomes were compared. Factors affecting such outcomes were identified using a multivariate Cox’s proportional hazards model.

Results

The mean follow-up times were 91.7 ± 45.8 months in the sensory and 42.6 ± 27.7 months in the concomitant exotropia groups. The cumulative probabilities of surgical success 2 years after surgery were 74.5% in the sensory and 74.4% in the intermittent exotropia groups, thus not significantly different (p = 0.988). The Cox’s proportional hazard model showed that a greater difference between the preoperative distant and near deviations was associated with recurrence (p = 0.091).

Conclusions

The long-term surgical outcomes of patients with sensory and concomitant exotropia were comparable. A high-level near-distance disparity increased the risk of recurrence.

감각외사시는 굴절부등약시나 시신경 질환, 황반 질환, 각막혼탁, 백내장 등과 같은 기질적 원인에 의해 한 눈의 시각상실 또는 두 눈의 시각상실이 비대칭일 때 이차적으로 발생하는 외사시이다.1-4 일반적으로 사시수술은 외관상 두 눈 위치를 보기 좋게 정렬할 뿐만 아니라 시력을 발달시키고 양안시를 획득하여 복시나 이상 두위를 교정하고 입체시를 개선하는 데 목적이 있다. 감각사시 환자에서는 수술 후 이러한 기능의 회복을 기대하기는 어렵지만 직업, 생활, 대인 관계 등 전반적인 삶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해 사시수술을 시행한다.5
감각외사시의 수술 결과는 양안 시력이 정상일 때보다 결과를 예측하기 어렵고 수술 결과가 성공적이더라도 장기적인 유지가 어렵고 재발 위험이 높을 것이라고 생각된다.1,6 감각외사시 수술 성적과 관련된 기존 연구들에 따르면 수술의 성공률이 50-92%로 다양하고, 연구에 따라서는 일반적인 사시수술 결과와 다르지 않다는 보고도 있다.7-10 하지만 아직까지 감각외사시 수술 환자와 일반적인 사시수술 환자를 전향적 또는 후향적 연구를 통해 비교한 연구는 없었다. 또한 감각외사시 수술 후 장기적 결과에 대한 연구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감각외사시 수술 후 2년 이상 경과된 환자들을 대상으로 일치외사시 환자와 수술 성적을 비교하였고, 감각외사시 수술 성적과 관련된 예후인자에 대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서울대학교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 승인을 통해 진행되었고 헬싱키선언을 준수하였다(IRB 승인 번호: 2302-052-1402). 2004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본원에서 감각외사시로 수술을 받고 3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들과 일치외사시로 수술을 받은 환자들을 대조군으로 하여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감각외사시는 편위안의 최대교정시력이 0.2 미만이고 반대안에 안과검사와 병력상 안과 질환이 없으며 원거리사시각이 20프리즘디옵터(prism diopters, PD) 이상인 경우 연구 대상에 포함하였다.10 대조군은 양안 모두 최대교정시력이 1.0 이상이고 주시 방향에 따라 사시각의 차이가 없는 일치외사시로 동일 기간 내 동일한 술자에게 수술을 받고 2년 이상 경과 관찰한 환자 중 감각외사시 수술 환자와 성별, 연령, 수술 전 최대 원거리 및 근거리사시각이 동일한 환자를 무작위 선별하였다. 두 군 모두 이전에 사시수술 과거력이 있거나 마비사시나 제한사시가 있는 경우, 8 PD 이상 수직사시가 동반된 경우, 신경계 이상 및 발달이상이 있는 경우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수술 전 모든 환자들은 최대교정시력, 굴절검사, 사시각을 포함한 포괄적인 안과검사를 받았으며 사시각은 주시가 어려운 경우 5 m와 33 cm 거리에서 크림스키프리즘검사로, 주시가 가능한 경우에는 교대프리즘가림검사로 측정하였다. 시력은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 값으로 치환하여 분석하였고, 이때 안전수지(finger count), 안전수동(hand motion), 광각유(light perception) 및 광각무(no light perception)는 각각 2.0, 2.3, 2.6, 2.9로 치환하였다.11
수술은 전신마취 하에 시행되었다. 감각외사시의 경우 수술은 시각상실이 있는 눈에 후전술과 절제술을 시행하였다. 수술 전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10 PD 미만일 경우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수술을 시행하였고, 10 PD 이상인 경우 외직근후전술은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내직근절제술은 근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시행하였다. 일치외사시의 경우 모든 수술은 수술 전 원근거리사시각이 10 PD 미만일 경우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단안 외직근후전술, 양안 외직근후전술, 혹은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하였고,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10 PD 이상인 경우 외직근후전술은 원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내직근절제술은 근거리사시각을 기준으로 시행하였다. 또한, 70 PD 이상 사시각이 클 경우 3개의 수평근을 수술하였으며, Table 1, 2는 수술량 결정에 사용된 공식을 나타낸다. 수술 후 1주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 18개월, 24개월째 사시각을 측정하였고, 그 후에는 1년마다 측정하였다. 수술 성공은 최종 내원 시 제일 눈 위치에서 원거리사시각이 정위에서 10 PD 이내인 경우로 정하였고 10 PD를 초과하는 경우는 실패로 정하여 재발 혹은 속발사시로 분류하였다.
통계 분석은 SPSS 26.0 (SPSS Inc, Chicago, IL, USA) 프로그램을 이용하였고 통계적 유의수준은 0.1 미만으로 정하였다. 두 그룹 간의 특성과 수술 결과의 비교를 위해 Mann-Whitney test, Pearson chi-squared test, Fisher test가 사용되었다. 한편,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사시각에 따라 환자들은 다음과 같이 3개의 군으로 나누어 수술 성공률을 분석하였다: (1) 10 PD 이상의 내편위를 보이는 경우; (2) 정위에서 10 PD 이내의 내편위를 보이는 경우; (3) 1-10 PD 사이의 외편위를 보이는 경우.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 사시각에 따른 수술 결과의 비교는 linear-by-linear association test를 사용하였다. 누적 수술 성공률 및 평균 재발 시점을 비교하기 위해 Kaplan-Meier 생존분석을 사용하였다. 수술 후 재발과 관련된 위험인자의 분석을 위해 다변량 Cox 비례위험모형 분석을 시행하였고 성별, 수술 시 연령, 시력, 수술 전 검진 횟수, 수술 전 최대 원거리사시각 및 근거리사시각, 수술 전 원근거리사시각 차이, 사근 기능이상 여부,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 및 근거리사시각을 공변량으로 고려하였다.

결 과

본 연구는 감각외사시로 수술받은 환자 28명과 대조군 28명, 총 56명의 환자가 포함되었다. 감각외사시군에서 편위안의 최대교정시력은 2.0 ± 0.8 logMAR였고, 시각상실의 원인은 다음과 같이 분류하였다: 선천성 질환(예: 선천 시신경이상, 선천 백내장, 선천 녹내장), 굴절부등약시, 후천성 질환(예: 외상, 망막박리, 시신경병증, 녹내장). 이 중 후천성 질환(16건, 57.1%)이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였고 다음으로 선천성 질환(9건, 32.1%), 굴절부등약시(3건, 10.7%) 순이었다.
두 군의 임상 특성을 비교하였을 때(Table 3), 수술 당시 평균 연령은 감각외사시군에서 평균 19.3 ± 15.3세(3-59세), 대조군에서 19.8 ± 15.0세(3-53세)였다. 성별 분포는 감각 외사시군에서 남자가 16명(57.1%), 여자가 12명(42.9%)이었고 대조군은 남자가 14명(50%), 여자가 14명(50%)이었다. 수술 전 검진 횟수는 감각외사시군에서 평균 4.2 ± 2.1회(1-10회), 대조군에서 3.5 ± 0.8회(2-5회)로 두 군 사이에 성별, 연령, 수술 전 검진 횟수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5). 수술 전 최대 사시각은 감각외사시군에서 원거리 45.7 ± 14.8 PD (20-71 PD), 근거리 40.7 ± 12.0 PD (20-71 PD)였고 대조군에서는 원거리 44.3 ± 14.6 PD (18-78 PD), 근거리 45.5 ± 16.1 PD (25-94 PD)였다. 수술 전 사근 기능이상이 동반된 경우는 감각외사시군에서 6명(21.4%), 대조군에서 4명(14.3%)이었다. 두 군 사이에 수술 전 최대 원거리사시각, 근거리사시각 및 사근 기능이상 동반 여부에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05). 수술 후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감각외사시군에서 91.7 ± 45.8개월(37-200개월), 대조군에서 42.6 ± 27.7개월(23-153개월)로 차이가 있었다(p<0.001).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사시각은 감각외사시군에서 -2.8 ± 5.4 PD (-16 to 8 PD), 대조군에서 -2.7 ± 7.7 PD (-16 to 25 PD)로 두 군 간 유의한 차이가 없었으나(p=0.671), 근거리사시각은 감각외사시군에서 -7.5 ± 6.6 PD (-20 to 4 PD), 대조군에서 -0.3 ± 8.6 PD (-18 to 25 PD)로 차이가 있었다(p<0.001). 음수는 내편위를 의미한다.
Kaplan-Meier 생존곡선을 사용하여 분석한 결과 감각외 사시군의 술 후 2년째 누적 수술 성공률(cumulative probabilities of surgical success)은 74.5%였고 대조군은 74.4%로, 두 군 간의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988) (Fig. 1). 감각외사시군에서만 술 후 3년째 누적 수술 성공률을 추가로 조사한 결과, 67.1%로 2년째 성공률에 비하여 감소한 양상을 보였다.
감각외사시군에서 수술 후 재발에 영향을 미치는 유의한 인자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해 시행한 다변량 Cox 비례위험 회귀모형에서 수술 전 최대 원거리와 근거리사시각 차이가 클수록 수술 후 재발 위험이 1,077배씩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hazard ratio [HR]=1,077; 95% confidence interval [CI]=0.988-1.173; p=0.091) (Table 4). 이 밖에 성별, 수술 시 연령, 시력, 수술 전 검진 횟수, 수술 전 최대 원거리 및 근거리사시각, 사근 기능이상 여부,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 및 근거리사시각은 수술 후 재발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수술 후 1주일째 원거리사시각을 Table 4에 따라 구분하여 수술 성공률에 차이가 있는지 분석하였을 때 수술 후 1주일째 정위에서 10 PD 이내의 내편위를 보이는 경우 재발률이 높게 나타나는 양상을 보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p=0.793) (Table 5). 한편, 감각 외사시로 수술받은 환자 28명을 수술 시 연령에 따라 소아(18세 이하)와 성인(19세 이상)으로 구분하였을 때 소아는 15명, 성인은 13명이었고, 소아와 성인의 수술 성공률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29) (Table 6).

고 찰

본 연구에서 감각외사시 환자들은 성별, 연령, 수술 전 최대 원거리, 근거리사시각이 동일한 일치외사시 환자와 2년 수술 성공률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감각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전 최대 원거리와 근거리사시각 차이가 클수록 수술 후 재발 위험이 증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외사시 환자는 수술 후 초기 결과가 만족스럽더라도 시간이 지날수록 외편위되어 재발률이 높아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2-14 따라서 경과 관찰 기간이 짧은 연구들은 외편 위로의 진행 경향이 충분히 반영되었다고 보기 어렵다. 감각외사시 수술 후 장기적 결과에 대한 연구로 Pukrushpan et al15은 수술 후 2년 이상, 평균 5년 추적 관찰한 환자들을 대상으로 10 PD 이내의 안구 정렬을 보인 경우가 50%라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장기적 수술 경과를 보고자 수술 후 최소 2년 이상, 평균 7.6년으로 추적하였고 수술 후 2년째 누적 수술 성공률은 74.5%, 3년째는 67.1%로 비교적 안정적인 장기 예후를 보였다.
감각외사시의 수술 성공률과 연관된 인자들에 대한 연구가 다양하게 보고된 바 있다. Chung et al16은 사시 이환 기간이 수술 결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인자라고 보고하였다. Choy and Park17은 감각외사시 환자 중 20명의 조정 수술 환자와 34명의 조정수술을 시행하지 않은 환자를 비교하였는데, 두 군 간의 수술 성공률은 유의한 차이가 없다고 하였다. Gusek-Schneider and Boss18와 Erkan Turan et al10은 시력이 수술 성공에 유의하게 영향을 미친다고 보고하였다. Pukrushpan et al15은 수술 후 초기에 과교정을 보인 경우와 외직근 후전량이 작을수록 수술 예후가 좋다고하였다. Jung and Kim19은 수술 전 원거리사시각이 클수록 수술 예후가 불량하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시력, 수술 전 원거리사시각, 수술 후 초기 과교정 정도에 따른 수술 성공률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고, 수술 전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클수록 재발 위험이 높았다. 이러한 결과는 연구마다 경과 관찰 기간이 다르고 술자마다 수술량의 효과가 다른 점이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 생각한다.
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시 연령이 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서 논란이 있다. 수술 시 연령과 수술 성공률은 관계가 없다는 보고도 있지만,20-23 소아 환자가 성인 환자에 비해 정확한 사시각 측정이 어렵고 성장과 발육이 지속되어 성인에 비해 수술 성공률이 떨어진다는 보고도 있다.24 본 연구에서는 감각외사시 환자에서 소아와 성인의 수술 성공률을 비교하였을 때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다변량 Cox 비례위험회귀모형에서도 수술 시 연령과 수술 후 재발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관련성이 없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대상 환자 수가 상대적으로 적고 수술 후 2년 이상 관찰한 경우만 포함해 수술 후 경과가 양호하지 못한 환자가 상대적으로 많이 포함되었을 가능성이 있다는 점이다. 또한 주시가 어려워 크림스키프리즘검사로 사시각을 측정한 감각외사시 환자의 경우 사시각이 부정확하게 측정되었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감각외사시군은 주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반면 대조군은 수술 방법이 다양하여, 수술 방법에 대한 차이점이 고려되지 않아 정확한 수술 성적을 비교하기에는 다소 무리가 있다. 하지만 외사시의 가장 효과적인 수술 방법에 대해서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고 수술 방법과 무관하게 수술 후 시간이 지날수록 외편위가 다시 발생한다는 점을 고려하면 수술 방법의 차이가 본 연구 결과에 큰 영향을 끼쳤을 가능성은 높지 않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단안 외직근후전술 및 내직근절제술을 시행한 일치외사시 환자군과 감각외사시 환자군의 수술 성적을 비교한 추가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마지막으로 감각사시 교정은 환자의 심리 사회적 요구에 따른 삶의 질 향상을 위해 수술을 결정하는 경우가 많으므로 감각사시수술 결과에 삶의 질 변화가 반영되는 것이 중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전후 사시각 변화만을 분석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추후 감각외사시수술 후 삶의 질 변화를 측정하고 분석하는 추가 연구가 수술 효과를 분석하는 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
본 연구에서 감각외사시 환자의 장기적인 수술 성공률은 일치외사시 환자와 비교하였을 때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또한 저자들은 감각외사시 환자에서 수술 전 최대 원근거리사시각 차이가 수술 예후를 예측할 수 있는 인자가 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Kaplan-Meier survival analysis for recurrence of exodeviation more than 10 prism diopters in the sensory exotropia group and intermittent exotropia group. p-value was calculated by log-Rank test. The cumulative probabilities of surgical success at 2 years after surgery were 74.5% in the sensory exotropia group and 74.4% in the intermittent exotropia group,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two groups (p=0.988).
jkos-2023-64-11-1071f1.jpg
Table 1.
Surgical dosage table for sensory exotropia in this study
Prism diopters ULR recession (mm) LR recession/MR resection (mm)
20 9.5 5.0/5.0
25 6.0/4.0
30 6.0/5.0
35 7.0/5.0
40 8.0/5.0
45 8.0/6.0
50 9.0/6.0
55 10.0/6.5
60 10.0/8.0
70 11.0/8.0
80-103 12.0/8.0-10.0

ULR = unilateral lateral rectus; LR = lateral rectus; MR = medial rectus.

Table 2.
Surgical dosage table for intermittent exotropia in this study
Prism diopters BLR recession (mm) LR recession/MR resection (mm)
20 5.5 5.5/4.0
25 6.0 6.0/4.5
30 6.5 6.5/5.0
35 7.5 7.5/5.5
40 8.0 8.0/6.0
45 8.5 8.5/6.5
50 9.0 9.0/6.5

Patients with exotropia of 70 prism diopters or more underwent three-muscle surgery.

BLR = bilateral lateral rectus; LR = lateral rectus; MR = medial rectus.

Table 3.
Demographic comparison
Sensory exotropia (n = 28) Comitant exotropia (n = 28) p-value
Age at surgery (years) 19.3 ± 15.3 19.8 ± 15.0 0.824*
Sex, male/female 16/12 14/14 0.592
Number of preoperative examinations 4.2 ± 2.1 3.5 ± 0.8 0.421*
Preoperative deviation (PD)
 Distance 45.7 ± 14.8 44.3 ± 14.6 0.845*
 Near 40.7 ± 12.0 45.5 ± 16.1 0.319*
Oblique dysfunction (any) 6 (21.4) 4 (14.3) 0.727
Deviation at postoperative at 1 week (PD)
 Distance -2.8 ± 5.4 -2.7 ± 7.7 0.671*
 Near -7.5 ± 6.6 -0.3 ± 8.6 <0.001*
Type of surgery
 ULR recession 1 (3.6)
 BLR recession 18 (64.3)
 UR&R 27 (96.4) 7 (25.0)
 3 muscle surgery 3 (10.7)
Postoperative follow-up (months) 91.7 ± 45.8 (37-200) 42.6 ± 27.7 (23-153) <0.00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unless otherwise indicated.

PD = prism diopters; ULR = unilateral lateral rectus; BLR = bilateral lateral rectus; UR&R= unilateral lateral rectus recession and medial rectus resection.

* Comparison performed using Mann-Whitney test;

comparison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comparison performed using Fisher test.

Table 4.
Weighted Cox proportional-hazard regression analysis for competing risk factors for recurrence in sensory exotropia
Un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analysis*
HR 95% CI p-value HR 95% CI p-value
Age at surgery (years) 1.000 0.956, 1.046 0.995
Sex (male vs. female) 0.968 0.307, 3.055 0.955
Visual acuity of the deviated eye (logMAR) 1.567 0.736, 3.335 0.244
Number of preoperative examinations 1.129 0.916, 1.390 0.256
Preoperative distance deviation (PD) 1.029 0.988, 1.071 0.171
Preoperative near deviation (PD) 1.026 0.980, 1.073 0.278
Preoperative distance-near (PD) 1.077 0.988, 1.173 0.091 1.077 0.988, 1.173 0.091
Oblique dysfunction (any) 1.028 0.278, 3.804 0.967
Postoperative distance deviation (PD) 1.036 0.931, 1.153 0.515
Postoperative near deviation (PD) 1.049 0.956, 1.151 0.313

HR = hazard ratio; CI = confidence interval;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PD = prism diopters.

* Variables with p < 0.10 in the univariable analysis were included in the subsequent multivariable analysis;

statistically significant values (p <0.10).

Table 5.
Deviation at postoperative 1 week in sensory exotropia (p = 0.793*)
Alignment at postoperative 1 week No. of patients
Total
Success (%) Recurrence (%)
≥10 PD of esodeviation 3 (75.0) 1 (25.0) 4
0-10 PD of esodeviation/orthotropia 12 (52.2) 11 (47.8) 23
1-10 PD of exodeviation 1 (100.0) 0 (0.0) 1
Total 16 12 28

PD = prism diopters.

* Comparison performed using linear-by linear association.

Table 6.
Comparison of the surgical outcomes between different age groups (p = 0.229*)
No. of patients
Total
Success (%) Recurrence (%)
Child group 7 (46.7) 8 (53.3) 15
Adult group 9 (69.2) 4 (30.8) 13
Total 16 12 28

* Comparison performed using chi-square test.

REFERENCES

1) Von Noorden GK, Campos EC. Binocular vision and ocularmotility, 6th ed. St. Louis: CV Mosby, 2002;345-7.
2) Sidikaro Y, von Noorden GK. Observations in sensory heterotropi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1982;19:12-9.
crossref
3) Min BM, Min WK, Lee KM, Kim YB. Clinical evaluation of sensory heterotropia. J Korean Ophthalmol Soc 1989;30:767-72.
4) Yoon KC, You IC, Park YG. Clinical analysis of sensory strabismus.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2483-8.
5) Hunter DG. Benefits of strabismus surgery in patients with one blind eye. Arch Ophthalmol 1995;113:404.
crossref
6) Lawson JM, Kousoulides L, Lee JP. Long-term results of botulinum toxin in consecutive and secondary exotropia: outcome in patients initially treated with botulinum toxin. J AAPOS 1998;2:195-200.
crossref pmid
7) Hopker LM, Weakley DR. Surgical results after one-muscle recession for correction of horizontal sensory strabismus in children. J AAPOS 2013;17:174-6.
crossref pmid
8) Merino P, Mateos C; Gómez De Liaño P, et al. Horizontal sensory strabismus: characteristics and treatment results. Arch Soc Esp Oftalmol 2011;86:358-62.
crossref pmid
9) Oliveira BF, Bigolin S, Souza MB, Polati M. Sensorial strabismus: a study of 191 cases. Arq Bras Oftalmol 2006;69:71-4.
crossref pmid
10) Erkan Turan K, Taylan Şekeroğlu H, Şener EC, Sanaç AŞ. Effect of visual acuity on the surgical outcomes of secondary sensory strabismus. Turk J Ophthalmol 2015;45:254-8.
crossref pmid pmc
11) Botelho PJ, Johnson LN, Arnold AC. The effect of aspirin on the visual outcome of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m J Ophthalmol 1996;121:450-1.
crossref pmid
12) Ekdawi NS, Nusz KJ, Diehl NN, Mohney BG. Postoperative outcomes in children with intermittent exotropia from a population-based cohort. J AAPOS 2009;13:4-7.
crossref pmid pmc
13) Holmes JM, Hatt SR, Leske DA. Is intermittent exotropia a curable condition? Eye (Lond) 2015;29:171-6.
crossref pmid pmc pdf
14) Pineles SL, Ela-Dalman N, Zvansky AG, et al. Long-term results of the surgical manage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J AAPOS 2010;14:298-304.
crossref pmid
15) Pukrushpan P, Tharwaranan R, Praneeprachachon P, Honglertnapakul W. Unilateral recession and resection surgery with adjustable suture in adult sensory exotropia: long-term success and exotropic drift. Strabismus 2020;28:151-7.
crossref pmid
16) Chung SE, Kyung SE, Oh SY. Prognostic factors for strabismus surgery after cataract surgery. J Cataract Refract Surg 2007;33:297-300.
crossref pmid
17) Choy YJ, Park SE. To compare long-term follow-up adjustable and non-adjustable surgery success rates in horizontal strabismus surge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2;53:316-22.
crossref
18) Gusek-Schneider G, Boss A. Results following eye muscle surgery for secondary sensory strabismus. Strabismus 2010;18:24-31.
crossref pmid
19) Jung EH, Kim SJ. Surgical results and factors affecting outcome in adult patients with sensory exotropia. Eye (Lond) 2018;32:1851-7.
crossref pmid pmc pdf
20) Beneish R, Flanders M. The role of stereopsis and early postoperative alignment in long-term surgical results of intermittent exotropia. Can J Ophthalmol 1994;29:119-24.
pmid
21) Chia A, Seenyen L, Long QB. Surgical experiences with two-muscle surgery for the treatment of intermittent exotropia. J AAPOS 2006;10:206-11.
crossref pmid
22) Keenan JM, Willshaw HE. The outcome of strabismus surgery in childhood exotropia. Eye (Lond) 1994;8:632-7.
crossref pmid pdf
23) Richard JM, Parks MM. Intermittent exotropia: surgical results in different age groups. Ophthalmology 1983;90:1172-7.
crossref pmid
24) Choi DD, Noh H, Park KA, Oh SY. Survival analysis of adult and children intermittent exotropia using a matched case-control design. Sci Rep 2019;9:575.
crossref pmid pmc pdf

Biography

신정혜 / Jung Hye Shin
서울대학교병원 안과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jkos-2023-64-11-1071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001, Jeokseon Hyundai BD
130, Sajik-ro, Jongno-gu, Seoul 03170,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kos@ijpnc.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