Myopia Master와 Lenstar, KR-1 자동굴절검사기의 안구계측치 비교
Comparison of Ocular Biometry and Refractive Measurements from Myopia Master with Lenstar and KR-1 Autorefractor
Article information
Abstract
목적
Myopia Master와 Lenstar,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안축장, 굴절이상, 각막곡률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소아 44명 44안을 대상으로 Myopia Master, Lenstar, KR-1으로 측정한 안축장, 각막곡률, 구면렌즈대응치의 평균을 비교하고 일치도를 분석하였다.
결과
Myopia Master와 Lenstar의 안축장 평균은 24.59 ± 0.91 mm, 24.60 ± 0.91 mm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 = 0.085). 급내상관계수 0.999, 피어슨 상관계수 0.999였다. Myopia Master와 KR-1의 구면렌즈대응치 평균은 -3.32 ± 1.75 D, -3.18 ± 1.68 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p<0.001) 급내상관계수 0.996, 피어슨 상관계수 0.995였다. Myopia Master, KR-1, Lenstar의 평균각막곡률 평균은 43.15 ± 1.59 D, 43.38 ± 1.58 D, 43.32 ± 1.63 D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결론
Myopia Master와 KR-1의 구면렌즈대응치는 통계적 차이는 있으나 임상적으로 크지 않고 일치도가 높으므로 상호 교환이 가능하나, 각막곡률은 측정값의 차이를 고려할 때, 상호 교환보다는 보완적인 사용이 좋겠다. 또한 안축장은 Myopia Master와 Lenstar 사이에 양의 상관관계 및 일치도가 높고, 대부분 95% 일치한계 범위 내에 존재하나, 안축장의 특성을 고려할 때 두 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신중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compare axial length (AL), keratometry (K), and refractive measurements using Myopia Master, Lenstar, and KR-1 autorefractor.
Methods
The study involved 44 eyes of 44 children who visited our clinic. We compared AL, flat K, steep K, mean K, and spherical equivalent (SE) measured by Myopia Master, Lenstar, and KR-1. We utilized a paired t-test and RM-ANOVA to compare mean differences and used Bland–Altman plots, 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s (ICCs), and Pearson correlation tests for agreement analysis.
Results
The mean ALs (mm) measured with Myopia Master and Lenstar were 24.59 ± 0.91 mm and 24.60 ± 0.91 mm, respectively, with no statistical differences (p = 0.085). Both the ICC and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ere 0.999. The mean SEs (D) measured with Myopia Master and KR-1 were -3.32 ± 1.75 D and -3.18 ± 1.68 D, respectively, with significant differences (p < 0.001). The ICC was 0.996 and the Pearson correlation coefficient was 0.995. The mean K (D) values measured by Myopia Master, KR-1, and Lenstar were 43.15 ± 1.59 D, 43.38 ± 1.58 D, and 43.32 ± 1.63 D, respectively, and differed significantly (p < 0.001).
Conclusions
While statistical differences emerged in SEs between Myopia Master and KR-1, the differences were not clinically significant and the tools may be used interchangeably due to their good agreement. However, measured K values differed among Myopia Master, KR-1, and Lenstar, so these tools are not interchangeable. Based on the results from paired t-tests, ICCs, and Pearson correlations, AL measurements were in good agreement between Myopia Master and Lenstar but caution should be exercised due to the wider range of measured values.
최근의 메타분석에 따르면, 근시 유병률은 전 세계적으로 증가 추세이며 2050년에는 전 세계 인구의 절반 정도가 근시 인구가 될 것으로 예측된다.1-3 이 때문에 근시의 중요성이 커지고 있으며 근시 환자의 시력 교정, 경과 관찰에 필요한 구면도수, 난시도수, 구면렌즈대응치(spherical equivalent), 안축장(axial length), 각막곡률(keratometry) 등 안구 계측치를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올바른 임상적 판단을 내리는 데 필요하다. 근시는 대개 소아청소년기에 안구의 길이 성장과 함께 발생하고 진행하므로, 근시 환자의 평가 및 경과 관찰에서 안축장은 중요한 변수 중 하나다.1,4 안축장 뿐만 아니라 각막곡률 및 구면도수, 난시도수는 근시 진행 확인은 물론 근시 환자에서 이상적인 교정 시력 확보를 위해 중요한 변수이다.5,6 따라서 안축장과 각막곡률, 구면도수 및 난시도수의 시간에 따른 변화를 추적 관찰하는 것이 근시 평가에 중요하며, 올바른 임상적 판단을 내리기 위해서 안구계측치는 정확하게 측정되어야 한다.7-9
현재 임상에서 사용 중인 안구계측기기는 서로 다른 원리로 계측을 수행한다. KR-1 자동굴절검사기(Topcon corporation, Tokyo, Japan)는 Hartmann–Shack 파면센서 원리로 굴절이상을 측정하며, Lenstar LS 900 (Haag-Streit AG, Koeniz, Switzerland)은 820 nm 파장의 광원으로 저간섭성 반사계(optical low-coherence reflectometry)를 이용하여 안축장을 측정한다. Myopia Master (Oculus, Wetzlar, Germany)는 880 nm 파장의 빛을 이용한 부분결합간섭(partial coherence interferometry)의 원리로 안축장을 계측한다. Myopia Master은 하나의 검사장비로 안축장, 각막곡률, 구면도수, 난시도수, 난시축 등 다양한 안구계측치를 동시에 측정할 수 있어 협조도가 떨어지고 여러 번의 검사가 어려운 소아 환자에서 비교적 수월하게 검사가 가능하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안축장, 굴절력을 포함한 여러 안구계측치를 시간에 따라 반복 측정하고 경과를 관찰하는 것이 근시 평가에 중요하므로, 각 안구계측 기기는 충분한 정확성을 확보해야 한다. 이러한 정확성은 기존에 사용하던 안구계측기의 측정값과 비교함으로써 확인할 수 있다. 국내외로 다양한 계측 기기를 서로 비교한 연구들이 있었으나, 기존에 사용하던 기기들과 Myopia Master의 안구계측치를 국내 소아를 대상으로 비교한 연구는 아직 드물다.10-12
이에 본 연구에서는 소아에서 Myopia Master로 측정한 굴절값, 각막곡률, 안축장 검사 결과를 Lenstar LS 900과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값과 비교하여 각 기기 간의 차이를 확인하고, 검사 결과값의 일치도를 분석하여 상호 호환이 가능한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23년 8월부터 2023년 9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외래에 내원한 5세에서 13세 어린이의 오른쪽 눈의 안구계측치를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굴절이상 외에 다른 안과적 이상이 있는 환자, 이전 각막 또는 안구 내 수술력이 있는 환자, 안구의 염증성 질환, 전신질환이 있는 환자는 연구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본 연구는 헬싱키 선언을 준수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 은평성모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의 승인(IRB 승인 번호: PC23RESI0282)을 받아 진행하였으며, 후향적 연구로 환자 동의서를 면제 받았다.
장비는 Myopia Master, Lenstar LS 900, KR-1 자동굴절검사기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측정 전 조절마비는 시행하지 않았으며, 피험자는 검사장비의 턱받침에 턱을 올리고 이마받침에 이마를 밀착시킨 상태에서 검사장비 내 불빛을 주시하도록 하였다. Myopia Master로 1회 검사 시 자동으로 안축장 6회, 각막곡률 3회, 굴절력 1회 측정이 시행되었으며 모든 측정값은 기기의 화면에 표시되었다. 이후 이전 검사결과에 대한 맹검을 유지한 상태로, 각각의 다른 검사자에 의해 KR-1 자동굴절검사기와 Lenstar LS 900 검사장비를 이용하여 검사를 진행하였고, 모든 검사는 동일한 날에 시행하였다.
통계분석은 SPSS ver. 28 for Windows (IBM Corp., Amonk, NY, USA)를 사용하였다. 평균각막곡률은 편평한 각막곡률과 가파른 각막곡률의 산술 평균으로 계산했다. 구면도수, 난시도수는 구면렌즈대응치로 변환하여 비교하였다.13 구면렌즈대응치는 구면도수+1/2×난시도수로 계산했다. 모든 연속형 변수에 대해 Shapiro–Wilk 정규성 검정을 시행했고 정규성을 만족하는 변수에서 두 기기 간의 안구계측치 평균은 대응표본 t 검정(paired sample t-test)으로 비교했다. 세 기기로 측정한 변수는 반복측정 분산분석(repeated measures ANOVA) 및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시행하여 평균을 비교했다. 통계적 유의성은 p-value <0.05인경우로 설정하였다. 각 검사 기기의 측정값 사이의 일치도는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분석했으며 95% 일치한계(limits of agreement)의 상한, 하한 및 그 차이인 95% 일치한계 범위(range of limits of agreement)를 계산했다. 허용 가능한 일치한계 값은 Pedersen et al10과 Brennan et al14이 서로 다른 기기를 비교한 기존 연구들을 근거로 제시한 기준을 참고하여 안축장은 ± 0.05 mm (≈ ± 0.12 D), 각막곡률은 ± 0.25 D로 설정하였다. 구면렌즈대응치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자동굴절검사기의 재현성(repeatability)을 참고하여 설정하였다. Hernandez-Moreno et al15과 Elliott and Wilkes16가 보고한 자동굴절검사기의 재현성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 0.50 D 이내였고, Padhy et al17이 보고한 3가지 자동굴절검사기의 재현성의 95% 일치한계는 ± 0.75 D 이내였다. Venkataraman et al18이 언급한 6가지 서로 다른 자동굴절검사기의 재현성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 0.35 D에서 ± 1.00 D 범위에 분포하였으며, 그중에서도 KR-1과 동일하게 Hartmann–Shack 파면센서를 사용하는 WaveAnalyzer 700 (Essilor, Créteil, France)의 재현성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 0.50 D를 초과하였다. 이를 종합하여 본 연구에서는 구면렌즈대응치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 0.50 D를 기준으로 하였다. 급내상관계수(intraclass correlation coefficient)로 각 기기의 측정값 간의 일치도를 평가했으며, 급내상관계수 0.4 미만은 낮은 일치도, 0.4 이상 0.6 미만은 보통 일치도, 0.6이상 0.75 미만은 좋은 일치도, 0.75 이상은 매우 좋은 일치도로 분류했다.19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Pearson correlation)을 이용해 각 기기의 측정값 사이의 상관계수를 분석하였고, 상관계수 0.3 미만은 낮은 상관관계, 0.3 이상 0.6 미만은 보통 상관관계, 0.6 이상 0.8 미만은 중등도의 강한 상관관계, 0.8 이상은 매우 강한 상관관계로 분류했다.20 또한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여 결정계수(R2, coefficient of determination)를 구하여 분석하였다.
결 과
총 44명 44안을 대상으로 검사를 진행하였으며, 대상자의 평균 나이는 9.45 ± 2.03세였다. 이 중 남성은 17명, 여성은 27명이었다. 안축장을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은 각각 24.59 ± 0.91 mm, 24.60 ± 0.91 mm로, 두 기기 간의 측정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085) (Table 1).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Myopia Master와 Lenstar LS900 사이의 상관계수는 0.999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0.997이었다(Table 2). Bland–Altman plot 일치도 분석 결과 측정값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0.191 mm (-0.109, 0.083 mm)였고, 대부분 오차범위(95% 일치한계) 내에 존재하며,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6.82%였다(Table 2, Fig. 1).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급내상관계수는 0.999로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2).
구면렌즈대응치를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값의 평균은 각각 -3.32 ± 1.75 D, -3.18 ± 1.68 D로, 두 기기 간의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Table 1).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사이의 상관계수는 0.995로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0.991이었다(Table 3). Bland–Altman plot에서 95% 일치한계 범위는 0.697 D (-0.490, 0.206 D)로 일치도 범위가 좁았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는 없었다(Table 3, Fig. 1). 또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급내상관계수는 0.996으로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3).
편평한 각막곡률을 Myopia Master, KR-1 자동굴절검사기, Lenstar LS 900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은 각각 42.57 ± 1.57 D, 42.65 ± 1.55 D, 42.61 ± 1.60 D로, 세 기기 간의 측정치의 차이는 유의하였다(p=0.025) (Table 1).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시행하였을 때,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차이는 유의하였으나(p=0.026),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459) (Table 2, 3).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92, 0.995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0.985, 0.990이었다(Table 2, 3). Bland–Altman plot에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0.760 D (-0.461, 0.300 D)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2.27%였다(Table 3, Fig. 1).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0.642 D (-0.357, 0.285 D)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4.55%였다(Table 2, Fig. 1).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급내상관계수는 각각 0.996, 0.997로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2, 3).
가파른 각막곡률을 Myopia Master, KR-1 자동굴절검사기, Lenstar LS 900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은 각각 43.75 ± 1.68 D, 43.99 ± 1.73 D, 44.04 ±1.77 D로, 세 기기의 측정치 간에는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p<0.001) (Table 1). Bonferroni 사후검정을 시행하였을 때,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차이,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다(p=0.012, p<0.001) (Table 2, Table 3).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52, 0.984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0.907, 0.967이었다(Table 2, 3). Bland–Altman plot에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2.070 D (-1.277, 0.793 D) 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4.55%였다(Table 3, Fig. 1).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1.272 D (-0.928, 0.342 D)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4.55%였다(Table 2, Fig. 1).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급내상관계수는 각각 0.971, 0.984로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2, 3).
평균각막곡률을 Myopia Master, KR-1 자동굴절검사기, Lenstar LS 900으로 측정한 값의 평균은 각각 43.15 ± 1.59 D, 43.38 ± 1.58 D, 43.32 ± 1.63 D로, 세 기기 간의 측정치의 차이는 유의하였다(p<0.001) (Table 1). Bonferroni 사후 검정을 시행하였을 때,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차이,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차이는 모두 유의하였다(p<0.001, p<0.001) (Table 2, 3). 피어슨 상관관계 분석 결과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사이의 상관계수는 각각 0.979, 0.992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고 결정계수(R2)는 0.959, 0.983이었다(Table 2, 3). Bland–Altman plot에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1.268 D (-0.861, 0.407 D)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2.27%였다(Table 3, Fig. 1).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95% 일치한계 범위는 0.835 D (-0.594, 0.241 D)였고, 95% 일치한계 범위를 벗어나는 비율은 6.82%였다(Table 2, Fig. 1).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간의 급내상관계수는 각각 0.985, 0.993으로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다(Table 2, 3).
고 찰
소아 및 청소년의 근시 진행 경과를 관찰하기 위해서는 굴절이상과 안축장 길이 변화를 모니터링 하는 것이 중요하다.21 굴절이상은 각막곡률, 구면도수, 난시도수, 난시축 등의 안구계측치와 관련이 있으며, 이러한 안구계측치와 안축장을 정확하게 측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Myopia Master는 하나의 검사 장비로 각막곡률과 구면도수, 난시도수, 난시축, 안축장의 동시 측정이 가능하며 자체 소프트웨어를 통해 각 값이 인종, 성별, 연령을 고려한 성장곡선의 어느 수준에 위치하는지 그래프로 분석하여 결과를 제시한다.4,22,23 소아는 성인과 달리 검사 협조도가 비교적 낮으므로 1회 측정으로 다양한 안구계측 값을 얻는 것은 임상적으로 유용하고, 성장곡선으로 안구계측치의 변화를 직관적으로 관찰 가능한 것 또한 Myopia Master의 장점이다. 본 연구에서는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KR-1 자동굴절검사기 간의 안구계측치의 결과를 비교 분석하고, 측정값의 일치도를 확인하여 기기 간에 상호 호환하여 사용 가능한지 분석하였다.
안축장은 본 연구에서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사이에 평균 0.013 mm의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지 않은 차이가 확인되었고, 급내상관계수는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였으며 피어슨 상관계수는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다만 95% 일치한계 범위 0.191 mm (-0.109, 0.083 mm)는 허용 가능 기준값인 ± 0.05 mm (≈ ± 0.12 D)보다 컸다. 그러므로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으로 측정한 안축장은 평균비교, 급내상관계수, 피어슨 상관계수에서 높은 일치도를 보이지만 임상적으로 상호 동등하게 호환하여 사용하는 데는 신중한 주의가 필요하다.
구면렌즈대응치는 Myopia Master에서 KR-1 자동굴절검사기보다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더 작게 측정되었으며, 측정치 차이의 평균은 0.142 D였다. 95% 일치한계의 상한, 하한, 범위가 모두 기준 내에 있으며 급내상관계수가 매우 좋은 일치도를 보이고 피어슨 상관분석에서 매우 강한 양의 상관관계를 보였다. Ye et al12의 연구에서 구면렌즈대응치는 Myopia Master에서 ARK-1 자동굴절검사기(Nidek, Aichi, Japan)보다 0.93 ± 2.13 D만큼 더 작게 측정되었고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으나, 그 차이가 임상적으로 유의미하게 크지 않고 급내상관계수 및 Bland–Altman plot으로 확인한 일치도와 피어슨 상관계수가 매우 높아 기기 간에 상호 호환 가능하다고 해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도 이와 유사하게 구면렌즈대응치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으나 차이의 평균은 0.142 D로 더 적었고, 급내상관계수 및 Bland–Altman plot 등으로 분석한 일치도가 매우 높은 결과를 보이므로, 구면렌즈대응치를 기기 간에 상호 호환 가능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Domínguez-Vicent et al24의 연구에서 Eye Refract (Visionix-Luneau Technologies, Chartres, France), NVision-K 5001 (Shin-Nippon, Tokyo, Japan), WaveAnalyzer 700 세 가지 자동굴절검사기의 구면렌즈대응치를 비교하였는데, 평균 차이는 0.10 D에서 0.25 D에 분포하였으며, 본 연구에서도 구면렌즈대응치 차이의 평균은 0.142 D로 유사하게 측정되었다. 또한 Elliott and Wilkes,16 Padhy et al,17 Venkataraman et al18의 연구를 참고하였을 때, 여러 종류의 자동굴절검사기의 구면렌즈대응치의 재현성은 ± 0.35 D에서 ± 1.00 D 사이에 분포하는데, 이에 비하여 본 연구의 구면렌즈대응치 차이의 평균은 0.142 D로 상대적으로 작으므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구면렌즈대응치는 임상적으로 차이가 크지 않다고 해석할 수 있다. 따라서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구면렌즈대응치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으나 그 차이가 임상적으로 크지 않고, 높은 일치도를 보이므로 상호 교환 사용이 가능하며, Myopia Master는 임상에서 정확한 안구계측치를 측정하는 데 유용할 수 있을 것이다.
편평한 각막곡률, 가파른 각막곡률, 평균각막곡률은 기기 간 측정값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 기준보다 넓은 95% 일치한계 범위가 확인되므로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또는 Myopia Master와 KR-1 자동굴절검사기로 측정한 각막곡률을 상호 동등하게 교환하여 사용할 수 없다.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 사이에 편평한 각막곡률의 유의한 차이는 없으나 그 외의 경우에 Myopia Master는 다른 두 기기에 비해 각막곡률을 더 편평하게 측정하였다. Myopia Master는 각막에 각막 첨부를 중심으로 하는 원형의 빛과 같은 거리만큼 떨어진 네 점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타원형의 빛을 분석해 가파른 각막곡률과 편평한 각막곡률을 표시한다. Lenstar LS 900은 각막에 지름 1.65 mm, 2.3 mm의 동심원을 설정하고, 각 원마다 16개의 점에서 4회 각막곡률을 측정해 그 평균값을 구한다. 이 값을 활용해 각막 형태에 가장 알맞은 타원체를 그려내고 가파른 각막곡률과 편평한 각막곡률을 mm 또는 D 단위로 표시한다. KR-1 자동굴절검사기는 각막 첨부와 중심 각막에 원형의 빛을 조사하고, 주변부 각막에 각막 중심으로부터 3 mm 떨어진, 하나의 원 위에 위치한 8개의 점에 빛을 조사하여 반사된 타원을 분석하여 각막곡률을 계산한다. 빛은 근적외선 파장을 사용한다. Chamarty and Verkicharla25의 연구에서는 가파른 각막곡률은 -0.24 ± 0.29 D만큼, 편평한 각막곡률은 -0.07 ± 0.15 D만큼 Myopia Master보다 Lenstar LS 900에서 유의미하게 더 가파르게 측정되어 본 연구와 유사한 결과를 보였다. Myopia Master, Lenstar LS 900, KR-1 자동굴절검사기는 모두 유사한 원리로 각막곡률을 측정하지만 측정 시 조사하는 원형 빛의 반경에 차이가 있고, 각막 첨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각막곡률반경이 커지므로 기기 간에 측정값 차이가 발생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표본 수가 44명 44안으로 비교적 적고, 어린이만 포함했다는 점과 조절마비하굴절검사를 시행하지 못한 것이다. 향후 폭넓은 연령군의 많은 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조절마비하굴절검사를 포함하여 연구를 진행한다면 Myopia Master와 다른 검사장비와의 일치도에 대해 보다 정확하고 세부적인 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결론적으로, Myopia Master와 KR-1의 구면렌즈대응치는 유의한 통계적 차이는 있으나 차이가 임상적으로 크지 않고, 기기 간 측정값의 양의 상관관계와 일치도가 높으며 95% 일치한계 범위가 좁아 측정치 차이를 고려하여 상호 교환이 가능하나, 각막곡률은 기기 간 측정값의 유의한 차이와 일치도를 고려할 때, 상호 교환보다는 보완하여 사용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Myopia Master와 Lenstar LS 900의 안축장은 기기 간 측정값의 양의 상관관계 및 일치도가 높고, 대부분 95% 일치한계 범위 내에 존재하나, 안축장의 특성을 고려할 때 두 기기를 호환하여 사용하는 것은 임상적으로 신중한 주의를 기울여야 한다.
Acknowledgements
This study was supported by the National Research Foundation of Korea (NRF) grant funded by the Korean government (MSIT) (no. 2022R1F1A1076231) and the Research Institute of Medical Science, Eunpyeong St. Mary’s Hospital,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References
Biography
이상언 / Sang Un Yi
Department of Ophthalmology, Eunpyeong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