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와 단초점인공수정체, 삼중초점인공수정체의 임상 결과 비교

Comparative Analysis of Clinical Outcomes after Placement of Enhanced Monofocal, Monofocal, and Trifocal Intraocular Lense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3;64(1):25-34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3 January 15
doi : https://doi.org/10.3341/jkos.2023.64.1.25
1Onnuri Smile Eye Clinic, Seoul, Korea
2Onnuri Eye Hospital, Jeonju, Korea
김부기1, 정영택,2
1온누리스마일안과의원
2온누리안과병원
Address reprint requests to Young Taek Chung, MD, PhD Onnuri Eye Hospital, #325 Baekje-daero, Wansan-gu, Jeonju, Korea Tel: 82-63-227-2774, Fax: 82-63-278-8701 E-mail: ytchungc@daum.net
Received 2022 July 5; Revised 2022 August 10; Accepted 2022 December 27.

Abstract

목적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인 Isopure의 임상 결과를 단초점인공수정체,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비교해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양안 Vivinex 단초점인공수정체, Isopure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 Panoptix 삼중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를 대상으로 수술 후 3개월째 나안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logMAR), 구면렌즈대응치 및 빛번짐 정도를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결과

수술 후 구면렌즈대응치와 원거리 시력은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100, p=0.204), 중간거리 시력은 Vivinex군 0.61 ± 0.14, Isopure군 0.3 ± 0.1, Panoptix군 0.14 ± 0.11로 Isopure군이 Vivinex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으며(p<0.001), Panoptix군이 다른 두 군에 비해 유의미하게 높았다(모두 p<0.05). 근거리 시력은 Vivinex군 0.68 ± 0.16, Isopure군 0.57 ± 0.19, Panoptix군 0.17 ± 0.12로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185), Panoptix군은 다른 두 군에 비해 우수하였다(모두 p<0.001). 빛번짐 정도는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나(p=0.980), Panoptix군이 다른 두 군에 비교해서 더 심했다(모두 p<0.05).

결론

Isopure는 Vivinex보다 높은 중간거리 시력을 보였고, Panopitx보다 중간거리 및 근거리 시력이 낮았지만 빛번짐은 더 적었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clinical outcomes of patients given an enhanced monofocal intraocular lens (IOL) (Isopure; PhysIOL, Liege, Belgium), and monofocal, and trifocal IOLs.

Methods

Patients who underwent cataract surgery with bilateral implantation of monofocal Vivinex IOLs, enhanced monofocal Isopure IOLs, and trifocal Panoptix IOLs were included. Three months postoperatively, the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DVA), intermediate visual acuity (UIVA), and near visual acuity (UNVA), as well as the spherical equivalent (SE) were determined. Photic symptoms were explored via a questionnaire.

Results

The postoperative SE and UDVA did not differ significantly among the three groups (p = 0.100 and 0.204 respectively). The mean UIVAs (logMAR) were 0.61 ± 0.14, 0.3 ± 0.1, and 0.14 ± 0.11 in the Vivinex, Isopure, and Panoptix groups respectively. The Isopure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better UIVA than the Vivinex group (p < 0.001) and the Panoptix group exhibited a significantly better UIVA than either the Vivinex or Isopure group (p = 0.002 and < 0.001 respectively). The mean UNVAs (logMAR) were 0.68 ± 0.16, 0.57 ± 0.19, and 0.17 ± 0.12 for the Vivinex, Isopure, and Panoptix groups respectively. There was no significant UNVA difference between the Vivinex and Isopure groups (p = 0.185) but the UNVA of the Panoptix group was significantly better than the UNVAs of the Vivinex and Isopure groups (both p < 0.001).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photic symptoms between the Vivinex and Isopure groups (p = 0.980); however, the Panoptix group evidenced significantly more severe symptoms than did the other two groups (p = 0.021 and 0.042 respectively).

Conclusions

Enhanced monofocal Isopure IOL showed superior intermediate vision compared to Vivinex monofocal IOL, and inferior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y compared Panoptix trifocal IOL, but with fewer photic symptoms.

백내장수술은 장비와 기술의 발달로 과거 백내장을 제거해서 최대교정시력을 상승시키는 개념에서 더 나아가 동반된 굴절이상을 교정하면서 근거리 및 중간거리 시력교정까지 요구하는 개념으로 점차 바뀌어 가고 있다. 전통적인 백내장수술은 혼탁된 수정체를 제거 후 단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하는데 한 개의 초점에만 상이 맺히기 때문에 원거리 또는 근거리 한 곳의 시력만 상승하고 나머지 거리는 안경 착용으로 보완해야 했다.1 최근 사용이 많아지고 있는 다초점인공수정체는 두 개 또는 세 개의 초점에 상이 맺히게 만들어서 근거리/원거리 또는 근거리/중간거리/원거리 시력을 높여서 안경착용 없이 다양한 활동을 할 수 있게 하였으나, 술 후 빛번짐 현상이나 대비감도 저하, 특정 초점 거리만 잘 보여서 끊겨 보이는 현상 등은 한계점으로 남아있다.2-4 이 같은 다초점인공수정체의 단점들을 극복하기 위해 extended depth of focus (EDoF) 인공수정체가 개발되었는데, 초점심도를 증가시키는 기전을 이용하여 원거리에서 중간 거리까지 연속적으로 좋은 시력을 유지시키고 다초점인공수정체에 비해 빛번짐 현상이나 대비감도 저하 등의 부작용은 적으나, 근거리 시력은 낮다고 보고되고 있다.5,6 EDoF 인공수정체가 초점심도를 높이는 방식은 다양한데, 회절다초점인공수정체의 회절 구조내에 또 다시 미세회절을 만들어서 초점심도를 높인 Tecnis Symfony (Johnson & Johnson, Santa Ana, CA, USA)와 중심부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점진적으로 굴절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초점심도를 높인 Mini Well Ready (SiFi, Aci Sant'Antonio, Italy)가 많이 알려져 있다.7,8

최근에는 단초점인공수정체의 구조를 가지고 있으면서 인공수정체 위치에 따른 비구면도를 변화시켜서 초점심도를 증가시키는 인공수정체들이 소개되고 있다. Isopure(PhysIOL, Liege, Belgium)가 이 중 한 종류로서, 광학부 중심에서 주변부로 갈수록 음의 비구면도가 크게 증가된다. 이렇게 높은 음의 비구면도는 각막의 양의 구면수차를 상쇄시키고 남아서 전체적으로 음의 비구면도를 만들어서 초점심도를 증가시킨다.9 Isopure는 비교적 최근에 소개된 인공수정체로서 현재까지 해외에 단 몇 개만의 연구들이 존재하고,9,10 국내에는 이 인공수정체에 대한 연구가 보고된 바 없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Isopure를 사용한 환자와 단초점인공수정체를 사용한 환자, 그리고 삼중초점인공수정체를 사용한 환자들 간 임상 결과와 설문을 통한 빛번짐 정도 및 수술 만족도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2021년 9월부터 2021년 12월까지 온누리안과병원에서 백내장으로 진단받고 양안에 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시행 받은 환자 43명 86안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추적 관찰이 3개월 이상 가능했던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고, 수술 중 혹은 수술 후 합병증이 발생한 경우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또한 백내장 외 시력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각막혼탁, 약시, 망막이상 등의 다른 안과적 질환이 있는 경우나 굴절교정수술을 받은 기왕력이 있는 경우도 제외하였고, 난시에 의한 영향을 배제하기 위해 각막난시가 1.0 diopters (D) 이상인 경우도 제외하였다. 수정체유화술 후 양안에 Vivinex XY1 (Hoya, Tokyo, Japan) 단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 15명 30안(Vivinex군), 양안에 Isopure 1.2.3 (PhysIOL, Liege, Belgium)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 13명 26안(Isopure군), 양안에 Acrysof IQ Panoptix TFNT00 (Alcon, TX, USA) 삼중초점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 15명 30안(Panoptix군)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보건복지부 지정 공용기관 생명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고(승인 번호: P01-202206-01-027),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다.

연구에서 사용된 세 인공수정체 모두 일체형 구조를 가지고, Vivinex와 Isopure는 소수성 아크릴로 제작되었고, Panoptix는 소수성 아크릴산염/메타크릴산염의 혼성중합체로 제작되었다. Vivinex는 단초점인공수정체로 한 개의 초점에 상이 맺히고, Isopure는 광학부의 주변부로 갈수록 음의 비구면도가 증가하는 다항식(polynomial) 구조로 제작되어 초점심도를 증가시켰고, Panoptix는 회절형 구조로서 원거리, 중간거리(+2.17 D)와 근거리(+3.25 D)에 초점이 맺히도록 하였다. 세 인공수정체 모두 자외선과 청색광을 차단하며 노란빛을 띄는데, 지지부 개수는 Vivinex와 Panoptix가 2개, Isopure가 4개로 차이를 보인다(Table 1, Fig. 1).

Technical specifications of Vivinex, Isopure, and Panoptix intraocular lens

Figure 1.

Intraocular lens design. (A) Vivinex XY1 (Hoya, Tokyo, Japan), (B) Isopure 1.2.3 (PhysIOL, Liege, Belgium), (C) Acrysof IQ Panoptix TFNT00 (Alcon, TX, USA).

수술 전 IOL master 700 (Carl Zeiss, Jena, Germany)을 이용하여 안축장과 각막곡률을 측정하여 인공수정체 도수를 측정하였고, Sanders-Retzlaff-Kraff/Theoretical (SRK/T) 공식을 이용하였다. 목표 도수는 수술 후 정시안에 가까운 근시값을 택하였다. 수술은 한 명의 술자에 의해 시행되었으며, 0.5% proparacaine hydrochloride (Alcaine, Alcon, Fort Worth, TX, USA)로 점안마취하에 이측부에 2.8 mm 크기의 투명각막절개를 하고 전방에 점탄물질 주입 후 26게이지 주사 침을 이용하여 5.0-5.5 mm의 전낭원형절개를 시행하였다. 수력분리술 및 수력분층술 시행 후 수정체유화술로 핵을 제거하였으며, 낭내 잔류수정체 피질은 관류흡입기를 이용하여 완전히 제거하였다. 점탄물질을 주입 후 인공수정체를 낭내에 삽입하였으며, 관류 및 흡입을 시행하여 남은 점탄물질을 제거하였다. 절개창은 평형염액으로 기질수화를 시행하여 자체 폐쇄되도록 하였다.

수술 후 3개월째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나안시력과 구면렌즈대응치를 측정하였으며, 탈초점곡선(defocus curve)을 기록하였고, 설문지를 이용한 안경 착용 여부, 빛번짐 정도 및 전체적 수술 만족도를 조사하였다. 각각의 시력은 명소시(photopic condition, 85 cd/m2) 조건하에서 평가하였으며, 원거리 시력은 5 m에서 한천석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중간거리 시력은 66 cm, 근거리 시력은 33 cm에서 Jaeger standard 시력표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시력은 용이한 분석을 위해 logarithm of the minimal angle of resolution (logMAR)으로 변환하였으며, 근거리와 중간거리의 시력의 경우는 Journal of Refractive Surgery에서 제시한 변환표를 참고하였다. 구면렌즈대응치는 자동굴절검사기를 이용하여 측정하였고, 탈초점곡선은 명소시(85 cd/m2) 조건하에서 굴절력을 교정한 원거리 완전교정 상태에서 상태에서 -3.0 D에서 +1.0 D까지 0.5 D 단위의 구면렌즈를 변경하여 덧대어서 시력을 측정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여 수술 후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안경착용 각각의 빈도, 빛번짐의 정도, 그리고 전체적인 수술 만족도, 이렇게 총 5항목을 조사하였는데, 안경착용 빈도는 1점: 항상 착용, 2점: 대부분 착용, 3점: 가끔 착용, 4점: 거의 착용하지 않음, 5점: 전혀 착용하지 않음의 척도, 빛번짐의 정도는 1점: 매우 불편, 2점: 불편한 편, 3점: 보통, 4점: 거의 불편하지 않음, 5점: 전혀 불편하지 않음의 척도, 전체적인 수술 만족도는 1점: 매우 불만족, 2점: 불만족, 3점: 보통, 4점: 만족, 5점: 매우 만족의 척도로 하여 좋은 결과일수록 높은 점수를 보이도록 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25.0 (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으며, 수술 전후 세 군 간의 비교는 분산분석(analysis of variance)를 이용하였고, 분석 후 사후검정은 Bonferroni test를 사용하였다. 모든 수치는 평균 ± 표준편차의 형식으로 표시하였고, p값이 0.05보다 작은 경우에 통계학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수술 전 환자와 수술의 세부 사항 및 위험성, 기대되는 이익, 가능한 합병증 등에 대한 충분한 상담을 거쳤고, 사전 동의를 받았다.

결 과

Panoptix군의 평균 나이는 56.7 ± 5.1세로 Vivinex군의 평균 나이 64.2 ± 8.1세, Isopure군의 평균 나이 63.0 ± 8.6세에 비해 유의미하게 낮았다(p=0.009). 그 외 수술 전 구면렌즈대응치와 안축장 길이는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Table 2).

Patient demographics

수술 후 3개월째 시행한 검사에서 평균 구면렌즈대응치는 Vivinex군 -0.18 ± 0.48 D, Isopure군 -0.25 ± 0.39 D, Panoptix군 -0.41 ± 0.35 D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100). 수술 후 구면렌즈대응치의 분포를 보면, Vivinex군은 -0.13 D~+0.13 D 범위에 10안(33.3%)으로 가장 많았고, Isopure군과 Panoptix군은 -0.5 D~-0.14 D 범위내에 가장 많았는데 각각 10안(38.5%), 15안(50%)이었다. 그 외 분포는 세 군 모두에서 전반적으로 경도 근시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0.5 D~+0.5 D의 범위 안에 Vivinex군에서 80%, Isopure군에서 76.9%, Panoptix군에서 73.3%가 분포하고 있었고, 세 군 모두에서 -1.01 D 이하 또는 +0.51 D 이상의 구면렌즈대응치를 보인 경우는 없었다(Fig. 2).

Figure 2.

Distribution of the 3-month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수술 후 3개월째 평균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은 Fig. 3에 나타내었다. 평균 원거리 시력은 Vivinex군 -0.03 ± 0.07 logMAR, Isopure군 -0.04 ± 0.06 logMAR, Panoptix군 0.01 ± 0.07 logMAR로 통계적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204). 평균 중간거리 시력은 Vivinex군 0.61 ± 0.14 logMAR, Isopure군 0.3 ± 0.1 logMAR, Panoptix군 0.14 ± 0.11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1), 각 군 비교에서 Isopure군이 Vivinex군에 비해 통계적으로 우수하였고(p<0.001), Panoptix가 Isopure군과 Vivinex군에 비해 모두 통계적으로 우수하였다(p=0.002 and <0.001). 평균 근거리 시력은 Vivinex군 0.68 ± 0.16 logMAR, Isopure군 0.57 ± 0.19 logMAR, Panoptix군 0.17 ± 0.12 logMAR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는데(p<0.001), 각 군 비교에서는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185), Panoptix군은 Vivinex군과 Isopure군 모두와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우수하였다(모두 p<0.001).

Figure 3.

Three-month postoperative binocular uncorrected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ies.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UDVA =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IVA =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Analysis of variance (with Bonferroni test, as a post hoc comparison).

수술 후 3개월째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시력의 분포를 Fig. 4에 나타내었다. 원거리 시력은 세 군 모두에서 좋은 결과를 보였는데, 세 군 모두 100%에서 0.1 logMAR 이하였고, Vivinex군 87%, Isopure군 93%, Panoptix군 73%에서 0 logMAR 이하였다. 중간거리 시력은 Vivinex군의 100%에서 0.4 logMAR 이상인 반면 Isopure군의 62%와 Panoptix군의 100%에서 0.3 logMAR 이하로 나타나 두 군 모두 Vivinex군에 비해 전반적으로 우수하였고, 중간거리 시력이 0.1 logMAR 이하인 경우가 Panoptix군에서 57%로 나타나 Isopure군의 8%에 비해 좋은 중간거리 시력을 보였다. 근거리 시력은 Vivinex군의 100%, Isopure군의 88%에서 0.4 logMAR 이상으로 나타나 비슷한 수준으로 낮았고, Panoptix 군의 93%에서 0.3 logMAR 이하, 44%에서 0.1 logMAR 이하로 나타나 나머지 두 군에 비해 좋은 근거리 시력을 보였다.

Figure 4.

Distributions of monocular visual outcomes at 3 months postoperatively. UDVA =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IVA =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설문지를 이용한 원거리, 중간거리 및 근거리 안경의 착용 빈도, 빛번짐 정도, 전체적인 수술 만족도 결과를 Table 3에 나타냈다. 원거리 안경 착용 빈도는 Vivinex군 4.47 ± 0.64점, Isopure군 4.69 ± 0.48점, Panoptix군 4.67 ± 0.62점으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p=0.532), 세 군 모두 4점 거의 착용하지 않음과 5점 전혀 착용하지 않음 사이에 있어서 원거리 안경 착용 빈도에 있어서 모두 좋은 결과를 보였다. 중간거리 안경착용 빈도는 Vivinex군 3.27 ± 0.8점, Isopure군 4.54 ± 0.66점, Panoptix군 4.6 ± 0.74점으로 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1). 각 군 비교에서는 Vivinex군이 Isopure군과 Panoptix군에 비해 모두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으며(모두 p<0.001), Isopure군과 Panoptix군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90). 중간 거리 안경 착용 빈도에서 Isopure군과 Panoptix군은 4점과 5점 사이의 점수로 원거리 안경 착용 빈도처럼 좋은 결과를 보였다. 근거리 안경 착용 빈도는 Vivinex군 2.4 ± 0.99점, Isopure군 2.77 ± 1.01점, Panoptix군 4.2 ± 1.01점으로세 군 간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p<0.001), Panoptix군만 4점 이상의 좋은 결과를 보였다. 각 군 비교에서는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171), Panoptix군이 Vivinex군과 Isopure군 모두와 비교해서 통계적으로 의미 있게 높았다(모두 p<0.001). 빛번짐 정도는 Vivinex군 4.0 ± 0.76점, Isopure군 3.92 ± 0.76점, Panoptix군 2.93 ± 1.33점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는데(p=0.010), Panopitx군만 3점인 보통 이하였다. 각 군 비교에서는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p=0.980), Panoptix군은 Vivinex군과 Isopure군 모두와 비교해서 유의미하게 낮았다(p=0.021 and 0.042). 전체적인 수술에 대한 만족도는 Vivinex군 3.87 ± 0.92점, Isopure군 4.15 ± 1.07점, Panoptix군 3.73 ± 1.03점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으며(p=0.538), 세 군 모두 3점인 보통 이상의 만족도를 보였다.

Results of questionnaires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안경 착용 빈도를 Fig. 5에 나타냈다. 원거리 안경은 Vivinex군의 93%, Isopure군의 100%, Panoptix군의 93%에서 거의 착용하지 않거나 전혀 착용하지 않았고 세 군 모두에서 자주 착용하는 경우는 0%였다. 중간거리 안경은 Vivinex군의 34%, Isopure군의 92%, Panoptix군의 87%에서 거의 착용하지 않거나 전혀 착용하지 않았다고 하였고, Vivinex군의 13%만이 자주 착용하고 Isopure군과 Panoptix군은 자주 착용하는 경우는 없었다. 근거리 안경은 Vivinex군의 14%, Isopure군의 31%, Panoptix군의 73%에서 거의 착용하지 않거나 전혀 착용하지 않았다고 하였고, Vivinex군의 53%, Isopure군의 46%, Panoptix군의 7%에서 거의 착용하거나 항상 착용한다고 하였다.

Figure 5.

Distributions of questionnaire on whether to wear glasses at 3 months postoperatively.

탈초점곡선은 세 군 모두에서 +1.0 D에서 -1.0 D까지는 비슷한 양상을 보였는데, 0.0 D를 고점으로 +1.0 D와 -1.0 D로 갈수록 대칭에 가깝게 완만히 감소했다. -1.5 D부터 Vivinex군은 시력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해서 -3.0 D까지 지속적 감소하는 모습을 보인 반면, Panopitx군은 -1.5 D에서 시력이 증가하여 -2.0 D에 두 번째 고점을 보이고 -3.0 D까지 완만한 감소를 보였다. Isopure군은 -1.5 D부터 -3.0 D까지 지속적으로 감소하였지만 Vivinex군과 비교해서 더 완만한 감소를 보였고 -2.0 D까지 0.3 logMAR 이상의 시력을 유지하였다(Fig. 6).

Figure 6.

Mean monocular defocus curve of the 3 groups. D = diopters;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고 찰

EDoF인공수정체는 단초점인공수정체과 비교해서 증가된 초점심도를 가지고 좋은 중간거리 시력을 보이면서 원거리 시력은 떨어지지 않는 것으로 정의된다.11 EDoF인공수정체가 초점심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은 인공수정체 별로 다양한데, 광학부에 회절구조를 가지거나 굴절력을 다양하게 해서 하는 방식이 있고 이 두 기전을 모두 이용하는 경우도 있다.5,6,12 그런데 회절과 굴절의 기전은 다초점인공수정체를 만드는 주된 기전으로서, 이 기전들을 이용하여 제작된 EDoF인공수정체들은 근본적으로 다초점인공수정체의 특성을 가지며 여러 개의 초점을 형성한다.12 실제로 광학벤치를 이용한 연구들에서 회절 구조를 이용하여 제작된 EDoF인공수정체 중 하나인 Tecnis Symfony가 원거리와 중간거리에 두 개의 MTF peak를 형성하였다고 보고하였다.13,14 최근에는 이 같은 다초점의 기전을 사용하지 않고 단초점인공수정체의 구조를 가지면서 고위수차를 변화시켜서 초점심도를 증가시키는 인공수정체들이 소개되고 있다. Tecnis Eyhnace (Johnson & Johnson, Santa Ana, CA, USA)가 대표적인데 국내외 연구들에서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비해 좋은 중간거리 시력을 보였고, 비슷한 정도의 좋은 원거리 시력과 시력의 질을 보였다고 하였다. Eyhance의 광학부는 비구면구조를 가지며 광학부중심 2 mm에 1.5 µm의 두께 변화를 주고 주변부에서 중심부로 갈수록 약 0.5 D의 굴절력을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음의 비구면도를 증가시켰다고 하였다.15,16 Eyhance가 여러 개의 초점을 형성하지 않고 초점심도를 증가시킨다는 점에서 기전상으로는 EDoF 인공수정체에 가깝다고 생각이되나,12 아직까지 여러 연구에서 “중간거리 시력이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monofocal IOL with enhanced intermediate function)”, “강화된 단초점인공수정체(enhanced monofocal IOL)”, 또는 “고급 단초점인공수정체(advanced monofocal IOL)” 등으로 표현되고 있다.15-17

Isopure는 광학부 중심에 변화를 준 Eyhance와 다르게 인공수정체 광학부 주변으로 갈수록 음의 비구면도를 증가시키는 방식으로 제작되어 초점심도를 증가시킨 인공수정체이다. Stodulka and Slovak9은 Isopure를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 원거리 시력 0.03 ± 0.13 logMAR, 중간거리 시력 0.26 ± 0.15 logMAR로 원거리 및 중간거리 시력이 우수하였다고 하였고, Łabuz et al10는 광학벤치를 이용한 연구에서 Isopure가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비교해 -1.0 D에서 높은 해상력을 보였으며 더 우수한 탈초점내성(defocus tolerance)을 보였다고 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술 후 3개월째 구면렌즈대응치는 세 군 간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고, ± 0.5 D 이내에 Vivinex군 80%, Isopure군 76.9%, Panoptix군 73.3%가 분포해서 세 군 모두 술 후 굴절력의 정확성은 높게 나타났다. 이는 Stodulka and Slovak9의 Isopure 결과 80.6%, 그리고 최근 Cinar et al18이 발표한 EDoF인공수정체들과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대한 다중심 무작위 연구에서의 72.7-79.2%와 비슷한 수준이었다. 수술 후 3개월째 측정한 Isopure군의 원거리, 중간거리 시력은 각각 -0.04 ± 0.06 logMAR, 0.3 ± 0.1 logMAR로 역시 Stodulka and Slovak9의 연구 결과와 비슷하게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Isopure군의 원거리 시력은 Vivinex군과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고, 중간거리 시력은 Vivinex군 보다는 유의하게 높았으며, 근거리 시력은 Vivinex군과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Fig. 3). 이는 Eyhance가 Auffarth et al15의 연구에서 단초점인공수정체과 비교해 비슷한 원거리 시력, 높은 중간거리 시력을 보였고, Cinar et al18의 연구에서 단초점인공수정체와 비슷한 근거리 시력을 보인 것과 일치하는 결과였다. 또한 본 연구에서 Isopure군의 중간거리와 근거리 시력은 모두 Panoptix군보다 유의하게 낮은 것으로 나타났는데, Isopure가 초점심도를 높였다고 하더라도 중간거리와 근거리 시력은 직접 여러 개의 초점을 형성하는 방식의 삼중초점인공수정체 보다 떨어지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Eyhance와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비교 연구는 현재까지 보고된 바 없지만, Corbelli et al16와 Jeon et al19의 연구에서 Eyhance가 회절형 EDoF인공수정체인 Symfony에 비해 낮은 근거리 시력을 보였다고 하였고, 본 연구와 상응한 결과였다. Isopure가 Eyhance와 완전히 같은 기전으로 제작되지는 않았지만, 두 인공수정체 모두 음의 비구면도를 증가시킴으로써 초점심도를 높였기 때문에 비슷한 수준의 시력 결과를 보인 것으로 생각되고, 추후 이 두 인공수정체의 직접 비교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본 연구에서는 시력뿐만 아니라 원거리, 중간거리, 근거리 각각 안경 착용 빈도에 대한 설문을 하였다. Vivinex군, Isopure군, Panoptix군에서 안경을 거의 착용하지 않거나 전혀 착용하지 않는 경우가 각각 원거리 안경 93%, 100%, 93%, 중간거리 안경 34%, 92%, 87%, 근거리 안경 14%, 31%, 73%로 나타났다. 이는 Rodov et al20의 연구에서 단초점인공수정체, EDoF인공수정체, 삼중초점인공수정체를 이용한 백내장수술 후 안경을 착용하지 않는 비율인 원거리 안경 80%, 96%, 96%, 중간거리 안경 48%, 96%, 96%, 근거리 안경 4%, 58%, 86%과 비슷한 양상이었다.

빛번짐 증상은 다초점인공수정체의 대표적인 부작용 중 하나로 많은 경우에서 발생하고, 단초점인공수정체에 비해 그 정도가 심하다고 여러 연구에서 보고되었다.1-4 본 연구에서 빛번짐 증상이 Panoptix군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심했고, Vivinex군과 Isopure군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Panoptix의 회절구조가 단초점으로 이루어진 Isopure와 Vivinex보다 빛번짐을 더 유발했으리라 생각되고, Corbelli et al16의 연구에서 Symfony가 단초점인공수정체와 Eyhance에 비해 빛번짐을 더 유발하였고, Lopes et al17의 연구에서 Eyhance와 단초점인공수정체가 빛번짐의 정도에 차이를 보이지 않았던 것과 비슷한 결과였다. 전체적인 수술의 만족도는 세 군에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는데, Panoptix 군이 근거리와 중간거리 시력에서 다른 두 군에 비해 우수하였지만 빛번짐이 심했던 점, Isopure군이 Vivinex군에 비해 중간거리 시력이 우수하였지만 Vivinex의 수술 비용이 상대적으로 저렴한 점 등이 종합적으로 반영된 결과라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는 첫째, 대상자 수가 각 군당 13명 26안 또는 15명 30안으로 적었다는 점이다. 추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속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둘째, 수술 후 경과 관찰이 3개월로 짧았던 점이다. 일반적인 백내장수술의 경우 3개월이면 대부분 임상적인 안정 상태에 이르지만, 본 연구가 다초점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환자의 주관 증상을 포함하였고 Isopure라는 새로운 인공수정체를 사용한 연구라는 점을 고려하였을 때 3개월의 기간은 부족할 수 있고, 그 이상의 장기적 연구가 필요하리라 사료된다. 셋째, 본 연구에서 수술 후 대비감도나 시력의 질 등을 객관적인 측정하지 않은 점인다. 그러나 이런 한계점에도 불구하고 본 연구는 Isopure를 이용한 임상 결과를 다른 종류 인공수정체들과 비교한 국내외 유일한 연구로서 의미가 있다. 결론적으로 Isopure는 Vivinex 단초점인공수정체와 비교해 비슷한 원거리 시력과 우수한 중간거리 시력을 보였고, Panoptix 삼중초점인공수정체와 비교해 낮은 중간거리 및 근거리 시력을 보였지만 빛번짐 증상은 더 적었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References

1. Calladine D, Evans JR, Shah S, Leyland M. Multifocal versus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after cataract extraction. Cochrane Database Syst Rev 2012;(9):CD003169.
2. Mester U, Hunold W, Wesendahl T, Kaymak H. Functional outcomes after implantation of Tecnis ZM900 and Array SA40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J Cataract Refract Surg 2007;33:1033–40.
3. de Vries NE, Nuijts RM.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in cataract surgery: literature review of benefits and side effects. J Cataract Refract Surg 2013;39:268–78.
4. Woodward MA, Randleman JB, Stulting RD. Dissatisfaction after multifocal intraocular lens implantation. J Cataract Refract Surg 2009;35:992–7.
5. Pedrotti E, Bruni E, Bonacci E, et al. Comparative analysis of the clinical outcomes with a monofocal and an extended range of vision intraocular lens. J Refract Surg 2016;32:436–42.
6. Guo Y, Wang Y, Hao R, et al. Comparison of patient outcomes following implantation of trifocal and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es: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J Ophthalmol 2021;2021:1115076.
7. Hogarty DT, Russell DJ, Ward BM, et al. Comparing visual acuity, range of vision and spectacle independence in the extended range of vision and monofocal intraocular lens. Clin Exp Ophthalmol 2018;46:854–60.
8. Domínguez-Vicent A, Esteve-Taboada JJ, ; Del Águila-Carrasco AJ, et al. In vitro optical quality comparison between the Mini WELL Ready progressive multifocal and the TECNIS Symfon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6;254:1387–97.
9. Stodulka P, Slovak M. Visual performance of a polynomial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 Open J Ophthalmol 2021;11:214–28.
10. Łabuz G, Son HS, Naujokaitis T, et al. Laboratory investigation of preclinical visual-quality metrics and halo-size in enhanced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Ophthalmol Ther 2021;10:1093–104.
11. MacRae S, Holladay JT, Glasser A, et al. Special report: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task force consensus statement for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es. Ophthalmology 2017;124:139–41.
12. Rampat R, Gatinel D. Multifocal and extended depth-of-focus intraocular lenses in 2020. Ophthalmology 2021;128:e164–85.
13. Gatinel D, Loicq J. Clinically relevant optical properties of bifocal, trifocal and extended depth of focus intraocular lenses. J Refract Surg 2016;32:273–80.
14. Loicq J, Willet N, Gatinel D. Topography and longitudinal chromatic aberration characterizations of refractive-diffractive multifocal intraocular lenses. J Cataract Refract Surg 2019;45:1650–9.
15. Auffarth GU, Gerl M, Tsai L, et al. Clinical evaluation of a new monofocal IOL with enhanced intermediate function in patients with cataract. J Cataract Refract Surg 2021;47:184–91.
16. Corbelli E, Iuliano L, Bandello F, Fasce F. Comparative analysis of visual outcome with 3 intraocular lenses: monofocal, enhanced monofocal, and extended depth of focus. J Cataract Refract Surg 2022;48:67–74.
17. Lopes D, Loureiro T, Carreira R, et al. Comparative evaluation of visual outcomes after bilateral implantation of an advanced or conventional monofocal intraocular lens. Eur J Ophthalmol 2022;32:229–34.
18. Cinar E, Bolu H, Erbakan G, et al. Vision outcomes with a new monofocal IOL. Int Ophthalmol 2021;41:491–8.
19. Jeon YJ, Yoon Y, Kim TI, Koh K. Comparison between an intraocular lens with extended depth of focus (Tecnis Symfony ZXR00) and a new monofocal intraocular lens with enhanced intermediate vision (Tecnis Eyhance ICB00). Asia Pac J Ophthalmol (phila) 2021;10:542–7.
20. Rodov L, Reitblat O, Levy A, et al. Visual outcomes and patient satisfaction for trifocal, extended depth of focus and monofocal intraocular lenses. J Refract Surg 2019;35:434–40.

Biography

김부기 / Bu Ki Kim

온누리스마일안과의원

Onnuri Smile Eye Clinic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Intraocular lens design. (A) Vivinex XY1 (Hoya, Tokyo, Japan), (B) Isopure 1.2.3 (PhysIOL, Liege, Belgium), (C) Acrysof IQ Panoptix TFNT00 (Alcon, TX, USA).

Figure 2.

Distribution of the 3-month postoperative spherical equivalent.

Figure 3.

Three-month postoperative binocular uncorrected distance, intermediate, and near visual acuities.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UDVA =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IVA =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Analysis of variance (with Bonferroni test, as a post hoc comparison).

Figure 4.

Distributions of monocular visual outcomes at 3 months postoperatively. UDVA = uncorrected distance visual acuity; UIVA = uncorrected intermediate visual acuity; UNVA = uncorrected near visual acuity;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Figure 5.

Distributions of questionnaire on whether to wear glasses at 3 months postoperatively.

Figure 6.

Mean monocular defocus curve of the 3 groups. D = diopters;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Table 1.

Technical specifications of Vivinex, Isopure, and Panoptix intraocular lens

Vivinex Isopure Panoptix
Optical function Monofocal Enhanced monofocal Trifocal
Lens design Single-piece Single-piece Single-piece
Optic type Aspheric Polynomial Diffractive aspheric
Optic material Hydrophobic acrylic Hydrophobic acrylic Hydrophobic acrylate/methacrylate copolymer
Overall diameter (mm) 13.0 10.75 or 11.0* 13.0
Optic diameter (mm) 6.0 5.75 or 6.0 6.0
Filtration UV & blue light UV & blue light UV & blue light
Optic power (D) +6.0 to +30.0 +10.0 to +30.0 +13.0 to +34.0
A constant 118.9 119.4 119.1

D = diopters.

*

10.0 D to 24.5 D: 11.00 mm, 25.0 D to 30.0 D: 10.75 mm;

10.0 D to 24.5D: 6.00 mm, 25.0 D to 30.0 D: 5.75 mm;

Addition: +2.17 D for intermediate/+3.25 D for near.

Table 2.

Patient demographics

Parameter Vivinex Isopure Panoptix p-value*
Eyes/patients 30/15 26/13 30/15
Sex (male:female) 6:9 8:5 7:8
Age (years) 64.2 ± 8.1 63.0 ± 8.6 56.7 ± 5.1 0.009
SE (D) -0.84 ± 2.9 -1.53 ± 3.23 -1.72 ± 3.98 0.279
Axial length (mm) 24.3 ± 0.87 24.7 ± 1.01 24.6 ± 1.05 0.471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unless otherwise indicated.

SE = spherical equivalent; D = diopters.

*

Analysis of variance.

Table 3.

Results of questionnaires

Vivinex Isopure Panoptix p-value*
Distance glasses 4.47 ± 0.64 4.69 ± 0.48 4.67 ± 0.62 0.532
Intermediate glasses 3.27 ± 0.8 4.54 ± 0.66 4.6 ± 0.74 <0.001
Near glasses 2.4 ± 0.99 2.77 ± 1.01 4.2 ± 1.01 <0.001
Glare/Halo 4.0 ± 0.76 3.92 ± 0.76 2.93 ± 1.33 0.010
Overall satisfaction 3.87 ± 0.92 4.15 ± 1.07 3.73 ± 1.03 0.53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

Analysis of varianc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