빛간섭단층촬영조영술을 이용한 한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의 안구 모세혈관 분석

Analysis of Vessel Density Using OCTA in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2;63(12):1008-101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December 15
doi : https://doi.org/10.3341/jkos.2022.63.12.1008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Daegu, Korea
이수정, 김숙영, 이동훈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Address reprint requests to Donghun Lee, M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Medical Center, #33 Duryugongwon-ro 17-gil, Nam-gu, Daegu 42472, Korea Tel: 82-53-650-4728, Fax: 82-53-627-0133 E-mail: eydonghun@naver.com
Received 2022 May 26; Revised 2022 August 2; Accepted 2022 November 16.

Abstract

목적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허혈이 이환된 분면을 중심으로 하여 안구 내 모세혈관밀도를 분석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증상이 발생한지 한 달 이내에 내원한 한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이환된 눈과 이환되지 않은 눈의 최대교정시력, 시야, 색각검사 결과를 비교하고, 초진 당시 촬영한 빛간섭단층촬영(optical coherence tomography), 빛간섭단층촬영 혈관조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를 통해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 미세혈관총밀도 및 황반부 혈관밀도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이환된 눈만을 대상으로 하여 평균 혈관밀도와 최대교정시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결과

환자 25명(남성 11명, 여성 14명)이 대상에 포함되었다. 평균 나이는 65.92 ± 9.37세였다.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두께는 이환된 눈에서 197.32 ± 60.52 μm로 반대안의 108.52 ± 13.27 μm에 비해 유의하게 두꺼웠고(p<0.001), 평균 유두주위 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 또한 이환된 눈에서 45.63% ± 7.60%로, 반대안의 51.44% ± 3.40%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다(p=0.001). 이환된 눈을 대상으로 하여 유두주위 망막신경층두께와 혈관밀도 사이의 분획별 상관관계를 분석하였을 때 모든 분획에서 상관관계가 없었다. 허혈이 이환되지 않은 이분면의 혈관밀도와 최대교정시력은 상관계수 -0.608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결론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진단 당시 허혈이 이환되지 않은 이분면의 유두주위 혈관밀도가 높을수록 최대교정시력이 좋다는 결과를 보았을 때, 시신경유두부에서 혈류가 보존된 영역의 혈관 기능이 시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알 수 있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investigate the intraocular vessel density in patients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using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Methods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NAION wer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ir age, sex,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color vision results, mean deviation of visual field test were analyzed. Using results of OCT and OCTA that was performed at first visit within 3 weeks of symptom onset, vessel densities in eyes with NAION were evaluated by comparing contralateral unaffected eyes. Furthermore, in only affected eyes, the correlation between visual acuity at the time of diagnosis and anatomical factors such as mean vessel density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RNFL) thickness was investigated.

Results

Twenty-five patients (11 males and 14 females) were enrolled in this study and the mean age was 65.92 ± 9.37 years. Whole RNFL thickness in affected eye wa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unaffected eye (p < 0.001). The average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was also significantly lower in affected eyes, 45.63% ± 7.60% compared to that in the contralateral eyes, 51.44% ± 3.40% (p = 0.004). In analysis of only 25 affected eyes, there was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each sectoral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and vessel density.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acuity and the vessel density and retinal nerve fiber layer thickness in the ischemic peripapillary hemisphere. However, there was a significant negative correlation between the visual acuity and the un-ischemic peripapillary hemisphere with a coefficient of -0.608 (p = 0.001).

Conclusions

The higher vessel density of nonaffected sector, the better visual acuity at the time of diagnosis in patients with NAION. Patency of blood supply in the preserved peripapillary intraretinal vessel density sector may affect the visual function.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은 시신경유두의 혈액 관류저하로 생기는 시신경의 허혈성 질환으로, 환자는 통증이 없거나 경미한 눈 주위 불편감과 함께 갑작스러운 시력 저하를 호소한다. 시야검사에서 수평 반시야 결손이 전형적이며, 주로 아래쪽 분면에 나타나며 중심 암점이나 전반적 감도저하 등도 나타날 수 있다[1]. 일반적으로 50세 이상의 고혈압, 당뇨병, 이상지질혈증, 심혈관계의 기저 질환이 있는 환자에서 흔히 발생한다[2,3].

최근 비침습적이면서, 내장된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비교적 쉽게 영역별 혈관 구조 분석이 가능한 빛간섭단층촬영조영술(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4]을 활용하여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혈관미세구조를 분석한 연구들이 보고되고 있다[5-12]. Moon et al [10]은 OCTA 변수 중 급성기의 이측 유두주위 혈관밀도는 최종 시력의 중요한 예측 변수로 작용한다고 보고했고, Aghsaei Fard et al [9]은 환자의 유두주위 혈관밀도를 상하측 이분면으로 나누었을 때 각각의 변수 모두 시력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음을 보고하였다.

이와 같이 대부분의 OCTA 연구에서는 시신경유두 및 황반부의 미세혈관구조를 분석할 때 평균값을 이용하거나 사분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9,10,13,14]. 하지만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전형적인 경우 수평경선을 기준으로 시신경 허혈 및 상응하는 반시야 결손이 나타나기 때문에, 혈관 미세구조를 분석할 때 허혈이 이환된 분면을 기준으로 하여 세부적으로 분석하는 것 또한 의미가 있으나, 해당 연구가 보고된 바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한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기존 연구에서 분류하였던 상하측 혹은 사분면이 아닌, 허혈이 이환된 이분면과 그렇지 않은 이분면을 중심으로 하여 시신경유두부의 미세혈관구조를 세부 분석하고 시기능과의 연관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이 연구는 본원 임상연구윤리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받았으며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여 진행하였다(승인 번호: CR_22_039). 2021년 4월부터 2021년 9월까지 본원에 내원하여 한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으로 진단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분석하였다. 대상 환자는 급성으로 진행된 시력저하를 호소하는 환자 중 통증이 없거나 경미하고, 증상 발생일로부터 3주 이내에 내원한 경우를 대상으로 조사하였다. 안과검사에서 상대구심동공 반응저하를 보이고 시신경유두부의 부종이 관찰되며 이와 연관된 시야 결손이 시야검사에서 관찰되는 경우로 기타 혈액검사, 신경학적 검사 및 뇌영상검사에서 다른 원인이 배제된 경우에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을 진단하였다[1].

위 임상적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를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이 이환되었다고 정의하였고, 반대안은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이 이환되지 않으면서 일반적으로 보이는 조절력저하 외에 시력에 영향을 줄 수 있는 기타 망막, 신경안과 질환이 없는 경우에 연구 대상으로 포함하였다.

대상에 포함된 모든 환자에게 첫 내원일에 최대교정시력 및 비접촉 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였다. 그리고 세극등현미경을 이용한 전안부검사, 안저검사, 이시하라색각검사를 시행하였다. OCT (Carl Zeiss Meditec, Dublin, CA, USA), OCTA (Optovue, Inc., Fremont, CA, USA)를 시행하여 망막모세혈관구조를 파악하였다. 이때, OCT의 Optic Disc Cube 200×200 프로토콜을 이용하였으며, OCTA의 HD Angio Disc 4.5 mm, HD Retina Disc 6.0 mm, 3D disc 프로토콜을 이용하였다. 또한 Humphrey 자동시야검사(Zeiss-Humphrey, San Leandro, CA, USA)로 이용하여 시야 결손을 파악하였는데 SITA Standard 24-2 프로토콜을 이용하였으며 신뢰도 지표 중 주시 상실이 20% 이하, 위양성 및 위음성 결과가 30% 이하인 경우의 결과값만 분석에 이용하였다.

두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이 있는 환자, 증상이 발생한 후 3주가 지나서 내원한 환자, 녹내장, 동맥염성 허혈시신경병증과 같은 다른 시신경병증이 있는 경우와 6 D 이상의 심한 굴절이상, 시력저하를 초래할 수 있는 각막 질환이나 망막 질환이 있는 환자는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안구 외상력이 있거나, 안구 내 수술을 시행한 환자들 또한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OCT 및 OCTA에서 신호강도가 6 미만이거나 측정 부위로부터 초점이 이탈되어 있는 경우도 대상에서 제외하였다.

환자의 성별, 진단 당시 연령, 허혈이 관찰되는 유두영역의 이분면, 기저 질환 여부 및 최대교정시력, 굴절이상, 이시하라색각검사 결과를 조사하였으며, 시야 결손의 심한 정도는 평균 편차 및 패턴 표준편차, 시야 지표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OCT 및 OCTA를 이용하여 NAION이 이환된 눈과 반대 눈의 해부학적인 모세혈관분포를 시신경유두주위와 황반부로 나누어 비교 분석하였다. 망막신경섬유층두께는 내장된 OCT 프로그램의 자동 분석에 따라 평균 두께 및 상측, 하측 두가지 분획과 상측, 하측, 비측, 이측의 네 가지 분획으로 나누어 두께를 측정하였다. 방사모양 유두주위 미세혈관밀도 및 유두내 혈관밀도, 평균 유두주위 미세혈관총의 혈관밀도를 측정하였으며, 유두주위 미세혈관총의 혈관밀도 또한 내장된 OCTA 프로그램의 자동 분석에 따라 분획을 나누어 세부적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OCTA 장비는 내경계막 아래 3 μm로부터 내망상층 아래 15 μm까지를 표층모세혈관총으로, 내망상층 15 μm에서 70 μm까지를 심층모세혈관총으로 층을 나누었다[15]. 황반부의 표층모세혈관총 및 심층모세혈관총의 혈관 밀도는 전체 평균, 중심와(황반부 중심으로부터 지름 1 mm 이내), 중심와부근(1-3 mm) 및 중심와주위(3-6 mm)로 나누어 비교하였다.

또한 NAION이 이환된 눈 만을 대상으로 하여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와 혈관밀도와 같은 해부구조와 시력과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다. 구획별 세부 분석에서 유두주위 영역을 구획별로 나눌 때 특징적으로 시야검사에서 반시야결손이 일어나면서, OCTA에서 이와 대응되는 시신경유두부의 허혈이 관찰되는 경우로 시신경유두에 허혈이 관찰되는 이분면과 허혈이 관찰되지 않는 이분면을 나누어 분석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 25.0 (IBM Corp., Armonk, NY, USA)을 이용하였고,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을 통해 이환된 눈과 반대 눈을 비교하여 망막과 황반의 구조적 변화를 분석하였다. Spearman 상관분석을 통해 이환된 눈에서 망막신경섬유층두께와 혈관밀도와의 관계를 파악하였으며, 시력과 혈관밀도, 망막신경섬유층두께 사이의 상관성을 허혈이 관찰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나눈 각 이분면을 대상으로 분석하였다. 모든 통계적인 유의성은 p-value가 0.05 이하일 경우로 정의하였다.

결 과

한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으로 진단받은 환자 25명이 대상에 포함되었다. 이 중 남성은 11명, 여성은 14명이었고, 환자의 평균 연령은 65.92 ± 9.37세였다. 허혈이 관찰되는 유두영역의 분면은 위 이분면 16명, 아래 이분면 4명, 전체 영역인 경우가 5명이었다. 한 명을 제외한 환자에서 당뇨, 고혈압, 고지질혈증, 심혈관계 질환과 같은 기저 질환을 가지고 있었다. 이외의 기본적인 특징은 Table 1과 같았다.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이 이환된 눈과 이환되지 않은 눈을 각각 비교하였을 때, 최대교정시력(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은 이환된 눈이 0.42 ± 0.58로 이환되지 않은 눈의 0.08 ± 0.09에 비해 유의하게 나빴다(p=0.011). 시야검사 결과에서 평균 편차는 이환된 눈에서 -11.61 ± 8.12 dB, 이환되지 않은 눈에서의 -2.98 ± 3.50 dB에 비해 유의하게 나빴으며, 패턴 표준편차 및 시야 지표 또한 이환되지 않은 눈과 비교하여 나쁜 수치를 보였다(모든 p<0.001). OCTA검사 결과에서 평균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를 비교하였을 때, 이환된 눈에서 197.32 ± 60.52 μm로 이환되지 않은 눈에서 108.52 ± 13.27 μm에 비해 두꺼웠다(p<0.001). 평균 유두주위 모세혈관총의 혈관밀도는 이환된 눈에서 45.63% ± 7.60%로, 이환되지 않은 눈에서 51.44% ± 3.40%에 비해 낮았다(p=0.001). 황반부의 표층모세혈관총의 평균 혈관밀도는 이환된 눈에서 44.86% ± 5.26%이고 이환되지 않은 눈에서 47.82% ± 2.99%로 혈관밀도가 낮았으나(p=0.003), 황반부의 심층모세혈관총의 평균 혈관밀도는 각각 45.04% ± 6.43%, 46.08% ± 4.29%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p=0.520) (Table 2).

Comparison of optic disc and fovea structure between affected eye and unaffected eye

비동맥염성 앞허혈신경병증이 이환된 눈만을 대상으로 혈관밀도와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두께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해 Spearma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고 모든 구획에서 통계적 유의성은 만족하지 못했다. 그리고 진단 당시의 최대교정시력과 해부 구조와의 연관성을 알아보기 위한 Spearman 상관분석에서 평균 유두주위 혈관밀도 및 망막신경섬유층두께와 최대교정시력 사이의 상관성은 없었다.

전체 영역에 허혈이 관찰된 5명을 제외한 총 20명을 대상으로 허혈이 관찰된 이분면과 그렇지 않은 이분면으로 나눈 세부 분석에서 허혈이 관찰된 이분면의 혈관밀도와 최대교정시력은 상관계수는 -0.608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음의 상관관계가 있었다(p=0.001) (Table 3).

Correlations between visual acuity and optic disc structure of affected eye (n = 20)

고 찰

본 연구는 한 눈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급성기의 안구 내 망막신경층두께와 혈관밀도를 정량적으로 분석하였고, 반대안에 비해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리고 이러한 해부학적 변화가 시력에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을 때 허혈이 이환되지 않은 이분면의 혈관밀도가 높을수록 초진 시력이 좋다는 결과를 확인하였다.

OCTA는 조영제를 사용하지 않으면서 망막혈관의 구조와 밀도 등을 분석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는 기계로써, 2014년 이후 임상적용이 활발해짐에 따라[16]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의 허혈성 시신경구조를 OCTA로 분석한 연구들이 다수 보고되었고[5-12] Ling et al [5]은 대조군과 질환이 있는 눈을 비교한 기존의 OCTA 연구 14편을 메타분석하기도 하였다.

한편 시신경의 혈액공급은 짧은뒤섬모체동맥의 분지가 Zinn-Haller 동맥고리를 이루며 수평경선을 기준으로 위아래로 나누어 공급되기 때문에 환자의 안저검사에서 시신경의 부분적인 허혈과 함께 이에 상응하는 수평시야결손이 자주 관찰되고, 주로 아래쪽 수평시야결손이 더 흔하다고 알려져 있다[1]. 이렇게 발생 빈도의 차이가 있고, 연구 분석의 편이를 위해 대부분의 연구에서 구획별 세부 분석을 상하측 혹은 사분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다. 하지만 저자들은 질환의 병태생리를 감안하고, Figure 1에서 제시한 바와 같이 하측부의 혈관고리에 발병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의 허혈 지표를 의미 있게 분석하기 위해서는 시신경유두에서 허혈이 관찰되는 이분면과 혈류가 유지되는 이분면으로 나눈 연구 설계 또한 중요하다고 생각하였다.

Figure 1.

Clinical findings of the left eye, of a 64-year-old acute phase NAION patients. (A) Fundus photograph showed optic disc edema especially in inferior margin. (B) Humphery visual field test showed superior altitudinal field defect corresponding to the defect of inferior margin at fundus photograph. (C) Inferior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were noted. (D) Focal loss of inferior peripapillary vessel was showed in OCTA (yellow arrows). NAION =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OCTA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따라서 본 연구는 설계하는 과정에서 이환안과 반대안의 구획별 세부 비교에서는 이환안의 허혈이 관찰되는 구획에 대응할 반대안의 적절한 구획을 지정하기 어려운 한계가 있었기 때문에 부득이 기존 연구와 마찬가지로 사분면으로 나누어 분석하였지만 이환안 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에는 허혈이 관찰되는 이분면과 그렇지 않은 이분면으로 나누어 비교한 것에 본 연구의 의미를 둔다.

먼저 첫 번째 연구 결과로 병이 이환된 눈의 시신경유두혈관밀도가 반대안에 비해 유의하게 낮았고, 모든 분획의 유두주위 신경섬유층두께가 증가함을 확인하였는데 이는 시신경의 허혈과 그에 따른 신경섬유층의 부종으로 인한 것으로 생각된다. 대조안 혹은 시신경부종을 동반한 신경안과 질환과 비교하여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에서 시신경유두부의 현저한 혈관밀도의 감소는 이미 다수의 연구에서 보고된 바 있고[5-12]. 본 연구 결과 또한 기존 연구 결과와 일치한다. 그리고 OCTA 기계를 이용하여 비침습적으로 허혈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는 점은 초기 시신경 부종이 관찰될 수 있는 시신경염, 시신경유두드루젠 혹은 유두부종과 이 질환의 감별점이 될 수 있기 때문에[17,18] OCTA의 임상적 이용의 가치를 확인할 수 있다. Ling et al [5]의 메타분석에서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이환군에서 유두주위 신경섬유층의 유의한 두께 감소를 보고하였지만 Ling et al [5]의 연구는 만성기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 환자의 OCTA의 수치가 다수 포함되었기 때문에 급성기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저자들의 연구와 상반된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 생각된다.

두 번째로 황반부 혈관밀도를 반대안과 비교하였을 때 평균 표층모세혈관총 밀도는 유의하게 이환안에서 낮았으나 평균 심층모세혈관총 밀도는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Fig. 2). 기존의 연구 중 Augstburger et al [6]은 환자 21안의 혈관밀도를 장기간의 추적하였을 때, 급성기의 유두주위 모세혈관총과 황반부의 표층모세혈관총 밀도는 대조군과 비교하여 유의하게 낮았으나 심층모세혈관총 밀도는 두 군 간 차이가 없었다고 하여 본 연구와 상응하는 결과를 보고하였다. 그리고 이렇게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OCTA의 혈관밀도 감소가 나타나는 기전은 당뇨, 고혈압과 같은 전신 질환의 영향으로 인한 뒤섬모체 동맥의 저관류 혹은 시신경의 부종으로 인한 혈관의 직접적인 압박뿐만 아니라 활동적인 대사조직인 망막신경섬유층의 기능저하 또한 전반적으로 작용하기에 시신경유두부 혈관과 황반부 표층모세혈관총의 밀도가 동시에 감소하는 것으로 추정하였다[6]. Aghsaei Fard et al [9] 또한 비동맥염성 앞허혈시신경병증에서 황반부 표층모세혈관총 밀도는 감소하였지만 심층모세혈관총 밀도는 보존된다는 결과를 보고하면서 이 질환이 녹내장성 시신경병증과는 다른 기전으로 발병한다고 추정하였다. 하지만 Liu et al [8]의 보고와 같이 질환군에서 유의한 황반부 혈관밀도의 감소는 없다는 연구 결과도 있기에 이견이 있는 부분이고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Figure 2.

Representative case image of a 61-year-old female patient with right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color-coded scans illustrating the acquisition of various parameters. Vessel densities of radial peripapillary capillary (RPC),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and deep capillary plexus (DCP) w ere compared between the NAION eye and contralateral eye. VD = vessel density.

세 번째로 이환안 만을 대상으로 감소한 혈관밀도와 증가한 유두주위 망막신경섬유층 사이의 상관관계를 알아보았을 때 유의한 상관성은 없었고, 허혈이 관찰되는 이분면과 그렇지 않은 이분면으로 나누어 세부 분석하여도 유의성을 만족하지 않았다. Augstburger et al [6]의 연구에서는 급성기에서 두 요소 사이의 유의한 상관은 없다고 하여 본 연구 결과와 일치하였는데 한편 만성기의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을 때에는 혈관밀도가 낮을수록 유두주위 신경섬유층의 두께도 유의하게 얇다는 결과를 보고한 연구도 다수 있어서[6,19,20] 질환의 발병 이후 시간이 지남에 따라 혈관밀도가 신경섬유층의 두께에 영향을 미칠 수도 있음을 생각해 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초기 시력에 영향을 주는 해부학적 요소를 알아보았을 때 허혈이 관찰되지 않은 이분면의 혈관밀도가 높을수록 초기 시력이 좋은 결과를 보였다. OCTA를 이용하여 유두주위 망막혈관과 모세혈관의 형태를 관찰하고 시 기능과의 관계를 분석한 Gaier et al [13]은 급성기 7명의 환자에서 주요 망막혈관은 기능이 떨어져 있는 반면 혈류 흐름이 관찰되는 표층 모세혈관은 확장되어 있다고 하면서 모세혈관이 확장된 이유는 시신경 축삭의 허혈을 보상하기 위한 자가 조절 기전 때문이라고 하였다. 또한 혈류가 유지되고 확장되어 있는 표층모세혈관밀도가 낮을수록 시야결손은 심하고 시력은 유의하게 낮다고 보고한 바 있다. 이와 같이 혈류가 유지되는 부분이 시기능과 관계가 있다는 Gaier et al [13]의 보고는 본 연구 결과와 상응한다. 그리고 급성기에서 허혈로 인해 이미 손상이 발생한 시신경 축삭보다는 혈류가 유지되고 있는 부분의 축삭 기능이 초기 시력을 결정하는 요소로 작용하기 때문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몇 가지 한계점이 있다. 먼저 질환의 발병률이 낮은 특성으로 인해[5] 소수의 환자 만을 대상으로 하여 의무 기록 분석으로 진행된 연구이고, 비동맥염성 앞허혈신경병증으로 인한 시신경유두의 부종이 급성기를 거쳐 만성으로 진행되는 과정에서 혈관밀도의 변화 여부를 확인하지 못한 후향적 단면 연구라는 점이 있다. 그리고 OCTA의 혈관 분석에 있어서 큰 혈관을 배제하지 못하고 전체 혈관밀도값을 분석에 이용하였으며 혈관밀도 분석에서 비동맥염성 앞 허혈시신경병증의 특징인 급성기 시신경 부종으로 인해 혈관밀도가 저평가되었을 가능성도 있다. 또한 안구 내 혈관 밀도는 당뇨, 고혈압과 같은 전신 혈관 질환의 여부에 영향을 받는다는 보고가 있는데[21] 대상에 포함된 환자가 앓고 있는 전신 질환의 경중을 통제하지 못해서 혈관밀도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가능성이 있다. 이러한 한계점을 보완하고 추후 대규모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시간에 따른 혈관 밀도의 변화와 시기능의 관계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진행된다면 임상적으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한 눈의 비동맥염성 앞허혈신경병증 환자에서 진단 당시 시신경유두주위에 혈류가 보존되는 이분면의 혈관밀도가 높을수록 초기 시력이 높은 결과를 보았을 때, 이는 허혈로 인한 해부학적 변화가 시기능저하에 영향을 미친다는 기존의 보고[20] 외에도 혈류가 보존되어 기능을 유지하는 시세포 축삭의 활동 또한 시기능에 긍정적인 영향을 준다고 생각할 수 있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References

1. Kim SJ. Ischemic optic neuropathy. In : Jang BL, ed. Neuro-Ophthalmology 3rd edth ed. Seoul: Ilchokak Publishing Co.; 2017. p. 237–9.
2. Hayreh SS, Joos KM, Podhajsky PA, Long CR. Systemic diseases associated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m J Ophthalmol 1994;118:766–80.
3. Park WC, Chang BL. Clinical features of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44–9.
4. Akil H, Falavarjani KG, Sadda SR, Sadun AA.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f the optic disc; an overview. J Ophthalmic Vis Res 2017;12:98–105.
5. Ling L, Ji K, Xie L,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assessment of the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and structure in patients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a meta-analysis. Biomed Res Int 2020;2020:1359120.
6. Augstburger E, Ballino A, Keilani C, et al. Follow-up of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21;62:42.
7. Rougier MB, Delyfer MN, Korobelnik JF. OCT angiography of acute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J Fr Ophtalmol 2017;40:102–9.
8. Liu CH, Kao LY, Sun MH, et al. Retinal vessel density i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optic atrophy after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J Ophthalmol 2017;2017:9632647.
9. Aghsaei Fard M, Ghahvechian H, Subramanian PS. Follow-up of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J Neuroophthalmol 2021;41:e433–9.
10. Moon Y, Song MK, Shin JW, Lim HT.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characteristics and predictors of visual outcomes in patients with acute and chronic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J Neuroophthalmol 2021;41:e440–50.
11. Al-Nashar HY, Hemeda S. Assessment of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in acute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Int Ophthalmol 2020;40:1269–76.
12. Sharma S, Ang M, Najjar RP,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acute non-arteritic anterior ischaemic optic neuropathy. Br J Ophthalmol 2017;101:1045–51.
13. Gaier ED, Wang M, Gilbert AL, et al. Quantitative analysis of optical coherence tomographic angiography (OCT-A) in patients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corresponds to visual function. PLoS One 2018;13e0199793.
14. Contreras I, Noval S, Rebolleda G, Muñoz-Negrete FJ. Follow-up of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with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Ophthalmology 2007;114:2338–44.
15. Shin YU, Lee DE, Kang MH,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analysis of changes in the retina and the choroid after haemodialysis. Sci Rep 2018;8:17184.
16. Spaide RF, Fujimoto JG, Waheed NK,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Prog Retin Eye Res 2018;64:1–55.
17. Fard MA, Jalili J, Sahraiyan A,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optic disc swelling. Am J Ophthalmol 2018;191:116–23.
18. Abri Aghdam K, Ashraf Khorasani M, Soltan Sanjari M, et 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features of optic nerve head drusen and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Can J Ophthalmol 2019;54:495–500.
19. Rebolleda G, Díez-Álvarez L, García Marín Y, et al. Reduction of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from the acute to the atrophic stage in non-arteritic anterior ischaemic optic neuropathy. Ophthalmologica 2018;240:191–9.
20. Hata M, Oishi A, Muraoka Y, et al. Structural and functional analyses in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study. J Neuroophthalmol 2017;37:140–8.
21. Rao HL, Pradhan ZS, Weinreb RN, et al. Determinants of peripapillary and macular vessel densities measured by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in normal eyes. J Glaucoma 2017;26:491–7.

Biography

이수정 / Soo Jung Lee

대구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aegu Catholic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Clinical findings of the left eye, of a 64-year-old acute phase NAION patients. (A) Fundus photograph showed optic disc edema especially in inferior margin. (B) Humphery visual field test showed superior altitudinal field defect corresponding to the defect of inferior margin at fundus photograph. (C) Inferior peripapillary RNFL thickness were noted. (D) Focal loss of inferior peripapillary vessel was showed in OCTA (yellow arrows). NAION =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RNFL = retinal nerve fiber layer; OCTA =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Figure 2.

Representative case image of a 61-year-old female patient with right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NAION).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angiography (OCTA) color-coded scans illustrating the acquisition of various parameters. Vessel densities of radial peripapillary capillary (RPC),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SCP), and deep capillary plexus (DCP) w ere compared between the NAION eye and contralateral eye. VD = vessel density.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s of patients with nonarteritic anterior ischemic optic neuropathy

Value
Number of patients 25
Sex (male:female) 11:14
Age at diagnosis (years) 65.92 ± 9.37 (53-88)
Duration of symptoms at the time of diagnosis (days) 8.80 ± 5.70 (2-21)
Mean follow-up period (months) 8.76 ± 6.81 (2-24)
Involved eye (right:left) 16:9
Involved optic disc sectors (superior:inferior:diffuse) 16:4:5
Presence of underlying disease 25
 Diabetes mellitus 11
 Hypertension 12
 Hyperlipidemia 5
 Cardiovascular disease 4
 Cerebrovascular disease 5
 None 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Table 2.

Comparison of optic disc and fovea structure between affected eye and unaffected eye

Affected eye Unaffected eye p-value*
BCVA at initial visit (logMAR) 0.42 ± 0.58 0.08 ± 0.09 0.011
Refractive error (diopters, SE) -0.44 ± 1.46 -0.15 ± 1.51 0.355
Intraocular pressure (mmHg) 12.02 ± 2.91 12.16 ± 2.48 0.599
Value of Ishihara color plate tests 11.16 ± 4.96 14.28 ± 0.89 0.004
Index of visual field test
 MD (dB) -11.61 ± 8.12 -2.98 ± 3.50 <0.001
 PSD 9.10 ± 4.24 3.61 ± 2.35 <0.001
 VFI (%) 67.36 ± 26.99 94.23 ± 7.48 <0.001
pRNFL thickness (µm)
 Average 197.32 ± 60.52 108.52 ± 13.27 <0.001
 Superior hemi 229.08 ± 99.91 108.52 ± 13.2 <0.001
 Inferior hemi 164.32 ± 57.74 107.96 ± 13.64 <0.001
 Superior quadrant 246.12 ± 105.95 130.96 ± 19.74 <0.001
 Inferior quadrant 211.52 ± 86.81 141.68 ± 21.96 <0.001
 Nasal quadrant 184.36 ± 73.64 91.44 ± 13.34 <0.001
 Temporal quadrant 144.04 ± 66.77 73.76 ± 10.19 <0.001
Whole image RPC density (%) 43.13 ± 5.76 48.53 ± 2.83 <0.001
Inside disc vessel density (%) 43.02 ± 7.31 46.63 ± 5.28 0.067
Average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 45.63 ± 7.60 51.44 ± 3.40 0.001
 Superior hemi 42.84 ± 8.57 51.17 ± 3.41 <0.001
 Inferior hemi 47.68 ± 9.85 51.46 ± 4.16 0.187
 Superior quadrant 41.18 ± 9.26 51.48 ± 4.03 <0.001
 Inferior quadrant 50.01 ± 10.56 54.00 ± 5.04 0.117
 Nasal quadrant 42.04 ± 7.68 49.60 ± 5.90 <0.001
 Temporal quadrant 46.88 ± 8.65 51.68 ± 5.25 0.028
Average macular SCP vessel density (%) 44.86 ± 5.26 47.82 ± 2.99 0.003
 Fovea 18.29 ± 6.87 19.24 ± 4.67 0.230
 Parafovea 47.27 ± 6.42 50.08 ± 4.02 0.051
 Perifovea 45.50 ± 5.58 48.67 ± 2.74 0.002
Average macular DCP vessel density (%) 45.04 ± 6.43 46.08 ± 4.29 0.520
 Fovea 32.97 ± 8.48 33.47 ± 5.75 0.706
 Parafovea 50.69 ± 5.29 51.69 ± 3.75 0.443
 Perifovea 45.57 ± 6.96 47.28 ± 4.76 0.382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SE = spherical equivalent; MD = mean deviation; PSD = pattern standard deviation; VFI = visual field index;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RPC = radial peripapillary capillary; SCP = superficial capillary plexus; DCP = deep capillary plexus.

*

Wilcoxon signed ranks test.

Table 3.

Correlations between visual acuity and optic disc structure of affected eye (n = 20)

Index BCVA (logMAR)
r p-value
Whole image RPC density (%) -0.334 0.103
Inside disc vessel density (%) -0.081 0.700
Average pVD (%) -0.397 0.050
 Involved hemi pVD -0.200 0.338
 Uninvolved hemi pVD -0.608 0.001
Average pRNFL thickness (µm) -0.019 0.929
 Involved hemi pRNFL thickness -0.135 0.520
 Uninvolved hemi pRNFL thickness 0.022 0.916
Average macular SCP vessel density (%) -0.329 0.108
 Foveal 0.027 0.897
 Parafovea -0.327 0.110
 Perifovea -0.398 0.050

Spearman correlation statistics was used.

BCVA = best corrected visual acuity; logMAR =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RPC = radial peripapillary capillary; pVD = peripapillary vessel density; pRNFL = peripapillary retinal nerve fiber layer; SCP = superficial capillary plexu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