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발골수종 치료제인 Bortezomib과 연관된 마이봄샘기능부전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ssociated with Bortezomib in a Multiple Myeloma Patien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2;63(4):389-395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pril 15
doi : https://doi.org/10.3341/jkos.2022.63.4.389
1The Institute of Ophthalmology and Optometry, Department of Ophthalm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2Department of Ophthalmology, Ewha Womans University Seoul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Seoul, Korea
윤다은1, 전루민2, 한경은,1
1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목동병원 안과학교실 시과학연구센터
2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서울병원 안과학교실
Address reprint requests to Kyung Eun Han, MD, Ph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1071 Anyangcheon‐ro, Yangcheon‐gu, Seoul 07985, Korea Tel: 82‐2‐2650‐5153, Fax: 82‐2‐2654‐4334 E-mail: hanke@ewha.ac.kr
Received 2021 May 31; Revised 2021 September 2; Accepted 2022 March 21.

Abstract

목적

다발골수종 치료제인 bortezomib과 연관된 마이봄샘기능부전 1예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59세 여자 환자가 두 달 전부터 심해진 안구건조증과 세안을 해도 닦이지 않는 눈꺼풀 분비물을 주소로 내원하였다. 환자는 5개월 전 다발골수종을 진단받고 bortezomib 치료를 네 차례 받은 상태였다. 세극등현미경검사에서 양안 눈꺼풀에 다수의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이 관찰되었고, 마이봄샘촬영 영상에서 위눈꺼풀은 1/3 이상 2/3 미만, 아래눈꺼풀은 2/3 이상의 마이봄샘이 폐쇄되어 있었다. 온찜질을 포함한 눈꺼풀 위생, 점안항생제와 스테로이드, 인공눈물 사용 후에도 8개월간 증상과 병변은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Bortezomib 치료 종료 2개월 후 환자가 안과에 재내원하였을 때, 주관적 증상은 호전되었고,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은 모두 사라졌다. 양안의 마이봄샘폐쇄 정도는 큰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결론

임상의는 bortezomib 치료를 받는 환자에서 마이봄샘기능부전이 발생하거나 악화될 수 있음에 대해 인지하여야 하고, 마이봄샘 기능부전의 치료 방침을 수립하거나 환자를 교육할 때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Trans Abstract

Purpose

This study reports a case of meibomian gland dysfunction associated with bortezomib, which is a treatment of choice for multiple myeloma.

Case summary

A 59‐year‐old female patient presented to our hospital with a complaint of dryness that had worsened for 2 months and eye discharges that were difficult to remove even after washing her face. The patient had been diagnosed with multiple myeloma 5 months prior and had undergone four cycles of bortezomib therapy. Slit‐lamp microscopy revealed a number of pouting of the meibomian gland (MG) orifices in both eyes. Meibography revealed that more than one‐third and less than two‐thirds of the total MG area of both upper lids were lost and more than two‐thirds of the total MG area of both lower lids were lost. No clinically significant improvements were noted at 8 months despite thorough eyelid hygiene therapy, including warm compresses, topical antibiotics, steroids, and artificial tears. However, when the patient revisited our clinic 2 months after completing bortezomib treatment, the subjective symptoms had improved and all of the pouting of MG orifices had disappeared.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MG dropout area for either eye compared with the observations from a previous visit during bortezomib treatment.

Conclusions

Clinicians should be aware that MG dysfunction may occur or worsen in patients receiving bortezomib treatment and should consider this when establishing a treatment plan for meibomian dysfunction or when educating patients.

마이봄샘에서 분비된 마이봄은 눈물층 내 지방층을 형성하여 눈물증발을 지연시켜 눈물층의 안정성을 증대시키고, 눈 깜박임 시에는 안구 표면을 윤활하는 역할을 한다. 마이봄샘기능부전은 눈물막의 안정성을 낮추고 눈물의 증발을 증가시켜 눈물증발 증가와 관련된 건성안의 주요 원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크게는 마이봄샘 분비물(meibum)의 저분비 혹은 과분비로 분류할 수 있다. 이 중 마이봄샘 분비물 저분비 상태는 분비 자체가 저하되거나 마이봄샘 말단 도관(terminal duct)이 폐쇄되어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1]. 마이봄샘기능 부전이 악화됨에 따라 마이봄 배출능(expressibility)의 변화가 발생한다[1].

Bortezomib (Bortevel®, Logenex Pharm GmbH, Hamburg, Germany)은 프로테아좀 억제제(proteasome Inhibitor)로 세포의 항상성을 파괴하여 세포사멸을 일으키는 항암제이다. Bortezomib은 다발골수종(multiple myeloma) 및 외투세포림포종(mantle cell lymphoma)의 치료제로 미국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DA)의 승인을 받았다. Bortezomib 의 주요 이상 반응으로는 위장관계 장애, 피로, 말초신경병증, 혈소판감소증, 발진 등이 보고되었으며[2], 미국 FDA는 bortezomib 투약 시 시야흐림, 결막염 및 자극 반응, 콩다래끼, 눈꺼풀염, 안구포진, 시신경병증, 시력상실 등의 눈의 장애가 발생할 수 있다고 명시하였다. 2014년 Grob et al. [3]은 bortezomib과 콩다래끼 사이에 연관성이 있음을 시사하는 6예를 안과 학술지에 보고하였다. 해외에서는 bortezomib과 마이봄샘기능부전의 연관성을 시사하는 다수의 문헌들 이 보고되었지만(Table 1), 국내에서는 bortezomib을 투여받은 환자에서 마이봄샘기능부전이 이상 반응으로 발현된 예가 아직까지 보고된 바 없었다. 이에 본 증례에서는 다발 골수종 치료제인 bortezomib과 관련된 마이봄샘기능부전 1예에 대하여 보고하고자 한다.

Summary of case reports of chalazia and meibomian dysfunction induced by bortezomib

증례보고

59세 여자 환자가 5‐6년 전부터 존재하던 양안의 안구건조감이 심해지고, 눈꺼풀을 닦아도 분비물이 계속 존재한다고 하여 본원에 내원하였다. 6개월 전 타원 진료기록에는 쉬르머검사 양안 10 mm였고, Lipiview® 눈물간섭계(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earScience Inc., Morrisville, NC, USA)의 적외선 카메라로 마이봄샘을 촬영하였을 때 양안의 위눈꺼풀은 1/3에서 2/3 사이, 아래눈꺼풀은 2/3 이상으로 폐쇄되어 있었으며(Fig. 1A, B), 이후 양안에 인공눈물을 점안하고 온찜질을 포함한 눈꺼풀세척을 하던 중이었다. 의무 기록에 의하면 양안의 마이봄샘분비물은 눈꺼풀 중간 마이봄샘 8개 중 2개에서 분비되었고, 양안의 각결막에는 Oxford grading system[4]으로 grade 1의 미란이 발견되었다고 기록되어 있었다. 눈꺼풀의 다른 이상 소견 및 눈물막파괴시간에 대해서는 기술되어 있지 않았다.

Figure 1.

Meibographic images of the patients. (A, C, E) Right eye, (B, D, F) left eye. (A, B) Initial meibographic images before bortezomib treatment, meibomian gland (MG) dropout already existed in both upper and lower lids. (C, D) After 5 months of bortezomib therapy, MG dropout areas in upper and lower lid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at initial presentation and multiple MG pouting were evident in both lower lids. (E, F) Two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nine cycles of bortezomib treatments, MG dropout area of both eyelids were still comparable.

환자는 본원에 내원하기 5개월 전 다발골수종을 진단받고 bortezomib, thalidomide, dexamethasone 병합 약물 치료를 1개월 간격으로 4회 받은 상태였으며, 이외 다른 전신질환을 진단받은 적은 없었다. 본원 내원 당시 시행한 세극등 현미경검사에서 양안 아래눈꺼풀에 다수의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이 관찰되었고(Fig. 2A, B), 마이봄샘에 압력을 가했을 때 5개 중 3개의 마이봄샘 개구부에서 마이봄샘분비물이 치약과 같은 양상으로 배출되었다. 쉬르머검사 결과는 우안 8 mm, 좌안 4 mm였으며, 눈물막 삼투압 검사(TearLab™, TearLab Corporation, San Diego, CA, USA) 시 삼투압은 우안 363 mOsm/L, 좌안 307 mOsm/L였다. 설문지를 통한 안구표면질환지수(Ocular Surface Disease Index)는 39.58로 심한 안구건조증을 호소하고 있었다. Lipiview® (Ocular Surface Interferometer, TearScience Inc.)로 측정한 눈물막 지질층 두께는 우안 100 nm 이상, 좌안 58 nm였고, 마이봄샘의 폐쇄 정도는 마이봄샘촬영영상에서 양안 모두 bortezomib 치료 전 타병원 내원 시의 기록과 비슷한 상태였다(Fig. 1C, D). 양안의 수성눈물부족 안구건조증과 마이봄샘기능부전이 합병된 상태로 진단하고 양안 아래눈물점에 흡수성 눈물점마개(UltraPlug™, Surgical Specialties Corporation, Reading, PA, USA)를 삽입하고, 0.3% ofloxacin (Tarivid®, Santen Pharmaceutical Co., Osaka, Japan), 0.1% fluorometholone (Flumetholone®, Santen Pharmaceutical Co.)을 하루 4회씩 2주간, 이후 하루 2회씩 2주간 사용하면서, 인공눈물, 온찜질을 포함한 눈꺼풀 위생을 지속하도록 하였다. 이후 약 2달 간격으로 증상 및 병변을 확인하였으나 환자의 증상은 차도를 보이지 않았으며, 양안의 다발성 마이봄샘 개구부막힘은 지속되었다(Fig. 2C, D).

Figure 2.

Slit‐lamp photographs of the patients. (A, C, E) Right eye, (B, D, F) left eye. (A, B) After four cycle of bortezomib therapy, multiple meibomian gland (MG) pouting of both lower eyelids were observed. (C, D) At 5 months follow‐up, the MG pouting still present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s including lid hygiene and warm compress. (E, F) There were no visible MG pouting on both eyes 4 months after completion of bortezomib treatment.

환자는 11개월 동안 9차에 걸쳐 bortezomib, thalidomide, dexamethasone의 병합 약물 치료를 받았다. Bortezomib 치료가 종료된 지 2개월이 지나고 환자가 안과에 재내원하였을 때, 양안 건조감이 많이 호전되었다고 하였다. 세극등현 미경검사상 양안에서 보이던 다수의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은 사라졌으나, 마이봄샘 분비물이 치약과 같이 분비되는 양상은 비슷하였고, 양안 각결막에서 Oxford grading system[4]으로 grade 2의 각결막염색이 관찰되었다. 눈물막 지질층 두께는 우안 68 nm, 좌안 75 nm였고, 마이봄샘폐쇄 정도의 변화는 저명하지 않았다(Fig. 1E, F). Bortezomib 투약 종료 4개월 뒤 마지막으로 안과에 내원하였을 때, 두 눈 모두 불편감은 없다고 하였으며, 다수의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은 보이지 않았다(Fig. 2E, F). 눈물막파괴시간은 양안 모두 4초였다.

고 찰

Bortezomib 투약 시 안구에 나타나는 이상증상은 드물게 발생한다고 알려져 있다. Ghobrial et al. [5]은 2010년 발덴스 트룀고분자글로불린혈증(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환자 37명을 대상으로 한 bortezomib 치료의 2상 임상시험 결과를 발표하였는데, 이 중 6명에게서 결막염과 콩다래끼가 발생하였다고 언급한 바 있다. Grob et al. [3]은 다발골수종을 진단받고 bortezomib 치료 후 콩다래끼가 발생한 6명의 증례를 안과 학술지에 최초로 보고하였는데, 저자들은 환자들에게서 평균 3.3개의 지속되는 콩다래끼가 발생하였고, 모두 심각한 마이봄샘기능부전을 보였다고 기술하였다. 기존 문헌들에 의하면 bortezomib 치료를 시작한 환자들에게서, 짧게는 2주, 길게는 6개월 뒤에 안과적인 합병증이 발병하였으며, 대부분 심한 마이봄샘기능부전과 콩다래끼가 발생하였다(Table 1). 본 증례의 59세 여성은 이미 5‐6년 전부터 지속적으로 안구건조증을 가지고 있었고, 마이봄샘촬 영상에서 마이봄샘의 폐쇄가 관찰되던 환자였다. 비록, 콩다래끼는 발생하지 않았으나, bortezomib 치료를 시작한 지 약 4개월 후부터 치료가 종료될 때까지 안구건조증은 악화되었고, 이와 함께 다발성의 마이봄샘 개구부 폐쇄가 발생하였다.

Bortezomib이 콩다래끼를 발생시키는 기전은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으나, Fraunfelder and Yang[2]은 bortezomib이 전신적 염증 반응을 일으킬 수 있으며, 이러한 염증 반응으로 인해 콩다래끼가 발생할 수 있다고 가정하였다. Bortezomib 은 nuclear factor‐κB, JAK/STAT, MAP kinase를 포함한 염증경로에 영향을 주어[6] interleukin 6, tumor necrosis factor‐α, C‐reactive protein과 같은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분비를 증가시킨다고 알려져 있는데, 실제로 bortezomib 2‐3차 치료 후 11명의 환자의 혈액에서 이러한 전염증성 사이토카인의 상승이 관찰되었다[7]. 일반적으로 마이봄샘기능부전의 많은 경우는 상피의 각화항진(hyperkeratinization)으로 인하여 마이봄샘 배출구의 폐쇄와 마이봄샘 분비물이 정체되어 낭성 변성을 일으켜 결과적으로 마이봄샘의 세엽이 위축되고 마이봄샘 배출이 감소하여[1]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Bortezomib이 전신적 염증 반응을 야기시키고, ubiquitin‐proteasome 기전을 저해하는 작용을 통해 세포의 자멸사를 유도하여 분해된 단백질이 축적될 수 있다는 것을 고려하였을 때[6], 본 증례에서는 각화항진으로 인한 마이봄샘의 폐쇄보다는 1) bortezomib으로 인하여 발생한 염증 반응과 관련된 마이봄샘의 변화가 발생하였거나, 2) 프로테아좀 억제 작용이 마이봄샘에 작용하여 마이봄샘 내에 단백질이 축적되었거나, 3) 이 두 가지 작용이 병합되어 생겼을 가능성이 있다. Sklar et al. [6]은 bortezomib 치료를 받은 15인의 눈꺼풀염이 dexamethasone 40 mg의 정맥주사 치료를 받은 후 호전되었다가, 10 mg으로 용량을 줄였을 때 다시 악화되었다고 보고하였는데, 이는 bortezomib과 관련된 마이봄샘기능부전이 염증과 관련되었음을 시사한다. 아직까지 염증 반응의 증가 자체가 마이봄샘기능부전을 발생 시키는지에 대해서는 논란의 여지가 있어[1] 이에 대해서는 추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자연적으로 발생한 콩다래끼와 달리 bortezomib 연관 콩다래끼는 보존적 치료에 잘 반응하지 않고 bortezomib 치료를 중단할 때까지 지속되거나 재발된다고 알려져 있다[3]. Veys et al. [8]은 두 명의 환자에서 bortezomib 치료를 지속하는 동안, 점안항생제를 사용하면서 하루 100 mg의 doxycycline을 복용하도록 하여 눈꺼풀염을 치료하였다고 보고하였으나, Sklar et al. [6]은 bortezomib 치료를 중단하고, 온찜질, 항생제 점안액, 스테로이드 점안액 등의 안과적 치료를 병행하는 것이 안과적 치료를 단독으로 하는 것보다 효과적이었다고 하였고, Paravathaneni et al. [9]과 Lemoine et al. [10]의 증례에서는 bortezomib을 중지하거나 ixazomib과 같은 약제로 변경 후 환자의 콩다래끼가 사라졌다고 보고하였다. Grob et al. [3] 또한 기존의 치료들에 큰 호전을 보이지 않다가 bortezomib 중단 후 약 2‐19개월 동안 경과 관찰한 결과 6명의 환자 모두에서 콩다래끼가 호전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본 증례에서도 환자의 마이봄샘기능부전과 주관적인 건조증상은 지속적인 안과 치료에 호전을 보이지 않았으며, bortezomib 치료를 완료한 후 환자의 주관적인 건조 증상 및 마이봄샘 개구부 막힘이 호전되었다. Bortezomib을 투약하는 동안 마이봄샘폐쇄 정도 변화는 저명하지 않았다. 이로 미루어 보아 본 증례의 환자에서는 bortezomib에 의해 마이봄샘의 뚜렷한 구조적인 변화 없이 마이봄샘기능부 전이 악화되었다가, 약물 중단 후 염증 반응이 감소하면서 마이봄샘기능부전이 호전된 것으로 생각된다. Bortezomib 이 마이봄샘폐쇄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서는 조금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본 증례는 bortezomib과 관련된 마이봄샘기능부전에 대한 국내에서의 첫 번째 증례이다. 기존에 보고된 증례들과 본 증례를 종합하여 보았을 때, bortezomib 복용 후 발생하거나 악화된 마이봄샘기능부전은 약을 사용하는 도중에는 고식적인 방법으로 쉽게 치료되지 않고, bortezomib 복용을 중단하였을 때 증상이 호전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 결과는 bortezomib을 복용하는 환자들에게 마이봄샘 기능부전 및 콩다래끼 등의 합병증의 경과 및 치료에 관하여 교육을 할 시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으로 생각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References

1. Nichols KK, Foulks GN, Bron AJ, et al. The international workshop on meibomian gland dysfunction: executive summary.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1922–9.
2. Fraunfelder FW, Yang HK. Association between bortezomib therapy and eyelid chalazia. JAMA Ophthalmol 2016;134:88–90.
3. Grob SR, Jakobiec FA, Rashid A, Yoon MK. Chalazia associated with bortezomib therapy for multiple myeloma. Ophthalmology 2014;121:1845–7.e3.
4. Bron AJ, Evans VE, Smith JA. Grading of corneal and conjunctival staining in the context of other dry eye tests. Cornea 2003;22:640–50.
5. Ghobrial IM, Hong F, Padmanabhan S, et al. Phase II trial of weekly bortezomib in combination with rituximab in relapsed or relapsed and refractory Waldenstrom macroglobulinemia. J Clin Oncol 2010;28:1422–8.
6. Sklar BA, Gervasio KA, Leng S, et al. Management and outcomes of proteasome inhibitor associated chalazia and blepharitis: a case series. BMC Ophthalmol 2019;19:110.
7. Min CK, Lee S, Kim YJ, et al. Cutaneous leucoclastic vasculitis (LV) following bortezomib therapy in a myeloma patient; association with pro‐inflammatory cytokines. Eur J Haematol 2006;76:265–8.
8. Veys MC, Delforge M, Mombaerts I. Treatment with doxycycline for severe bortezomib‐associated blepharitis. Clin Lymphoma Myeloma Leuk 2016;16:e109–12.
9. Paravathaneni M, Thota V, Mulla S, et al. A case report on bortezomib‐ induced bilateral chalazion. Cureus 2020;12e10062.
10. Lemoine J, Bonnin A, Marjanovic Z, et al. Resolution of bortezomib‐ associated chalazia/blepharitis after switch to ixazomib: a case report. Curr Res Transl Med 2021;69:103283.
11. Mohamed R, Massa H, Schwarz C, et al. Bortezomib‐induced multiple chalazia: a case report. CRCM 2015;4:32–5.
12. Yun C, Mukhi N, Kremer V, et al. Chalazia development in multiple myeloma: a new complication associated with bortezomib therapy. Hematol Rep 2015;7:5729.
13. Laaribi N, Abdellaoui T, Abaloun Y, et al. Chalazia associated with bortezomib therapy. J Fr Ophtalmol 2018;41:e381–2.
14. Fatin Hanisah F, Rona Asnida N, Jemaima CH. Recurrent chalazia secondary to bortezomib. Medicine & Health 2018;13:217–22.
15. Dennis M, Maoz A, Hughes D, et al. Bortezomib ocular toxicities: outcomes with ketotifen. Am J Hematol 2019;94:E80–2.

Biography

윤다은 / Da Eun Yoon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이대목동병원 안과학교실 시과학연구센터

The Institute of Ophthalmology and Optometry, Department of Ophthalmology,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Ewha Womans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Meibographic images of the patients. (A, C, E) Right eye, (B, D, F) left eye. (A, B) Initial meibographic images before bortezomib treatment, meibomian gland (MG) dropout already existed in both upper and lower lids. (C, D) After 5 months of bortezomib therapy, MG dropout areas in upper and lower lids were similar to those observed at initial presentation and multiple MG pouting were evident in both lower lids. (E, F) Two months after the completion of nine cycles of bortezomib treatments, MG dropout area of both eyelids were still comparable.

Figure 2.

Slit‐lamp photographs of the patients. (A, C, E) Right eye, (B, D, F) left eye. (A, B) After four cycle of bortezomib therapy, multiple meibomian gland (MG) pouting of both lower eyelids were observed. (C, D) At 5 months follow‐up, the MG pouting still present despite conservative treatments including lid hygiene and warm compress. (E, F) There were no visible MG pouting on both eyes 4 months after completion of bortezomib treatment.

Table 1.

Summary of case reports of chalazia and meibomian dysfunction induced by bortezomib

Case number Age (years)/sex Drug Diagnosis Onset Manifestation Treatment Prognosis Follow up Study
1‐6 Bortezomib, rituximab WM (‐) Conjunctivitis Not mentioned Not mentioned Ghobrial et al [5] (2010)
Chalazia
7 70/F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2 months Chalazia Erythromycin oint, azithromycin, tobramycin, dexamethasone, prednisolone oral prednisone, doxycycline, I&C Additional chalazia 18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8 74/F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3 months Chalazia Tobramycin, dexamethasone, polymyxin B, trimethoprim, oral doxycycline, I&C Additional chalazia 4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9 54/F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1 month Chalazia Prednisolone, difluprednate (for episcleritis), oral doxycycline, azithromycin, I&C Additional chalazia 17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10 69/F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6 months Chalazia Tobramycin, dexamethasone, oral doxycycline, cephalexin, I&C Not mentioned 2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11 66/F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5 months Chalazia Tobramycin, dexamethasone, erythromycin, azithromycin, oral amoxicillin/clavulanate, cephalexin, omega‐3, prednisone Not mentioned 4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12 50/M VRD (some were started on VD) MM 3 months Chalazia Tobramycin, dexamethasone, gentamicin oint, oral prednisone, I&C Additional chalazia 2 months Grob et al [3] (2014)
Severe MGD
13 59/M VCD MM 2nd cycle Chalazia Topical/systemic antibiotics, warm compresses, I&C, discontinued bortezomib Improved 5 months Mohamed et al [11] (2015)
VMP
14 56/F VD MM 36 days Chalazia Topical tobramycin, dexamethasone, warm compresses Improved Yun et al [12] (2015)
Conjunctivitis
15 70/F VCD MM 2 weeks Chalazia Topical tobramycin, dexamethasone, oral doxycycline, warm saline compresses, I&D Improved 6 weeks Yun et al [12] (2015)
16 74/F VD MM 6 weeks Chalalzia Topical oxytetracycline, fusidic acid, dexamethasone, tobramycin oint, oral doxycycline, completed bortezomib Low‐grade blepharitis 3 months Veys et al [8] (2016)
17 66/M VD MM 2 months Severe marginal blepharitis Topical fusidic acid, hydrocortisone, oxytetracycline, dexamethasone, neomycin sulfate, polymyxin B sulfate, oral doxycycline Low‐grade blepharitis 8 months Veys et al [8] (2016)
Chalazia
18 68/F VD MM 3 months Chalazia Topical fusidic acid, dexamethasone, neomycin, warm compresses, I&D Expired 1 month Laaribi et al [13] (2018)
Mechanical ptosis
19 40/M VCD MM 3rd cycle Chalazia Topical oxytetracycline, warm fomentation, oral doxycycline, I&C Improved Fatin Hanisah et al [14] (2018)
Meibomianitis
20‐35 Bortezomib MM Average 4 weeks Chalazion Ketotifen ocular solution, H1 antihistamine, mast cell stabilizer Dennis et al [15] (2019)
AL amyloidosis Hordeolum
Blepharitis
36‐50 Bortezomib, carfilzomib Plasma cell disorders Average 3.4 months Chalazia Hot compresses, topical/systemic antibiotics, oral steroids, I&C, observation, discontinued bortezomib 80% of chalazia 60% of blepharitis resolved Median duration 17 months Sklar et al [6] (2019)
Blepharitis
51 87/F VD MM 3rd cycle Chalazion Eye lubricants, topical antibiotics Improved Paravathaneni et al [9] (2020)
52 87/M VMP MM 3rd cycle Chalazia Eyelid hygiene, topical oxytetracycline, dexamethasone, discontinued bortezomib Improved 3 months Lemoine et al [10] (2021)
Blepharitis

WM = Waldenström macroglobulinemia; VRD = bortezomib/lenalidomide/dexamethasone; VD = bortezomib/dexamethasone; MM = multiple myeloma; MGD = meibomian gland dysfunction; I&C = incision and curettage; VCD = bortezomib/cyclophosphamide/dexamethasone; VMP = bortezomib/melphalan/prednisone; I&D = incision and drainage; AL amyloidosis = amyloid light‐chain amyloidosi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