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5(11); 2024 > Article
데스메막박리자동각막내피이식 후 각막내피세포 밀도에 영향을 주는 인자 분석

국문초록

목적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12개월 후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결정하는 인자들이 무엇인지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해외기증각막을 통해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시행받은 수포각막병증 환자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수술 전 수여자의 인자들(나이, 수포각막병증의 원인, 안압, 시력, 전방부피, 전방각, 전방깊이, 동공 크기, 각막윤부직경,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 밀도 등)과 기증자의 인자들(나이,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 안구보존 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 사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 각막내피세포 밀도, 원형 절제[trephine) 크기, 미리 절개된 조직[precut) 두께)을 측정하였다. 이를 통해 각막이식 후 12개월까지의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연관된 요인을 분석하였다.

결과

본 연구는 53명의 환자가 참여하였으며, 수술 전 수여자의 평균 나이는 65.9 ± 14.6세였다. 기증자의 평균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2,871.6 ± 271.6 cells/mm2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6개월과 12개월에는 각각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 대비 각각 36.9%, 47.2%로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감소하였다.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 수술 후 3달째와 12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수여자의 나이와 전방 깊이가 연관이 있었다.

결론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후 12개월 동안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초기 손실 후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수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방깊이가 얕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인다.

ABSTRACT

Purpose

To identify determinants of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at 12 months after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Methods

This study included patients with bullous keratopathy who underwent DSAEK with internationally sourced donor corneas from March 2021 to March 2022. We assessed various preoperative factors in recipients (age, cause of bullous keratopathy, intraocular pressure, visual acuity, anterior chamber volume, depth and angle, pupil size, white-to-white corneal diameter, and preoperative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and donors (age, death to preservation time, preservation to transplantation time, death to transplantation time,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trephine size, and precut tissue thickness). We analyzed factors influencing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up to 12 months after keratoplasty.

Results

This study involved 53 patients, with an average recipient age of 65.9 ± 14.6 years prior to surgery. Donor corneas had an average endothelial cell density of 2,871.6 ± 271.6 cells/mm2. At 6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endothelial cell densities had decreased by 36.9% and 47.2%, respectively, compared with preoperative level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endothelial cell densities at 3 and 12 months postoperatively were linked to recipient age and anterior chamber depth.

Conclusions

Corneal endothelial cell density after DSAEK typically stabilized after initial decline; higher densities were found in older recipients and individuals with shallower anterior chambers.

내피각막이식(endothelial keratoplasty, EK)은 각막 내피 기능 이상으로 인한 수포각막병증의 치료를 위한 잘 알려진 수술방법이다. 2005년에 최초로 Price and Price1에 의해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방법이 보고되었으며, 2006년에는 Gorovoy,2 Melles3 및 Terry4 등에 의해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DSAEK) 방법이 보고되었다. 전체층각막이식(penetrating keratoplasty, PK)과 비교하여 빠른 시력 회복, 심하지 않은 수술 유발 난시, 적은 이식 거부 반응, 그리고 생체역학적 특성 보존 등 여러 이점이 있다.5
이전 연구에서 각막내피세포 감소는 내피각막이식과 전층각막이식 모두 이식 실패의 주요 원인이지만, 원인은 다를 수 있다. 전층각막이식 후 위험 요인에는 기증자 및 수여자 연령, 원형 절제(trephine) 크기, 렌즈 상태, 녹내장 여부, 이식 거부반응 등이 포함된다.6-9 그러나 이러한 요인들이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후 각막내피세포 감소에 미치는 영향은 상대적으로 적게 연구되어 있다.
본 연구는 12개월 동안의 수포각막병증(bullous keratopathy) 으로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을 받은 후 각막 내피세포 밀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려한 기증자와 수여자의 여러 인자를 조사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으며,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 연구윤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을 얻어 진행되었다(승인 번호: KC23RASI0636).
2021년 3월부터 2022년 3월까지 가톨릭대학교 서울성모병원에 수포각막병증으로 내원하여 한 명의 숙련된 의사(H.S.K.)에게 수입 각막을 이용하여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 각막이식 수술을 받은 환자의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포함 기준으로 푹스각막이상증으로 인한 수포각막병증, 푹스각막이상증이 없는 수포각막병증(인공수정체 수포각막병증, 레이저 홍채절개술에 의한 수포각막병증), 이전에 섬유주절제술 또는 녹내장유출장치수술을 받은 후 생긴 수포각막병증으로 각막이식을 받은 환자가 연구에 포함되었다. 또한 각막이식 후 발생하는 홍채 차단, 공기 전방 재주입, 수술 후 거부 반응 등이 발생한 경우 제외하였다.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수술 후 추가적인 전층각막이식, 데스메막 내피각막이식(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수술이 이루어진 경우들은 제외하였고, 수술 후 12개월까지 경과관찰을 하지 않은 경우에도 연구 대상에서 제외되었다.
수술 전 수여자의 인자인 나이, 안압, 시력, 전방부피, 전방각, 전방깊이, 동공크기, 각막윤부직경(white-to-white),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 밀도, 인공수정체 수포각막병증 환자에서는 백내장 수술 후 이식까지의 시간 등을 측정하였다. 기증자의 인자는 나이,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 안구 보존 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 사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 각막내피세포 밀도, 원형 절제 크기, 미리 절개된 조직(precut) 두께를 측정하였다. 각막이식 후 3주,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경면현미경(specular microscope; CELL CHECK SL; Konan, Inc., Hyogo, Japan)으로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1-5방향으로 측정하였고, 각 시기에서 가장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해당 시기의 값으로 선택하였다. 이후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통해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연관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또한,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에서 p값이 0.2 이하인 변수와 추가로 연관성을 보일 수 있는 요인들을 고려하여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을 수행하였다.
각막이식에 사용한 각막은 Eversight (Ann Arbor, MI, USA)에서 미세각막 절개 도구를 사용하여 절개한 뒤 S 모양 표식을 적용한 조직을 수입하였다. 5 mm 공막절개창을 통해 이식편이 내장된 Tan endoglide (Coronet®; Network Medical Products, North Yorkshire, UK)를 사용하여 전방에 삽입시킨 후 무균 공기를 전방에 주입하여 이식편이 잘 붙도록 하였다.
통계 분석에서 연속형 자료의 경우 paired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으며, p-value <0.05를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값으로 정의하였다. 통계 분석 프로그램으로는 SPSS® 28.0(IBM Corp., Armonk, NY, USA)을 사용하였다.

결 과

총 53안의 수포각막병증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각막이식 수여자의 평균 나이는 65.9 ± 14.6세, 수술 전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413.8 ± 416.0 cells/mm2, 푹스각막이상증으로 인한 수포각막병증 5안(9.4%), 푹스각막이상증이 없는 수포각막병증(인공수정체 수포각막병증, 레이저 홍채절개술에 의한 수포각막병증) 43안(81.1%), 이전에 섬유주절제술 또는 녹내장유출장치수술을 받은 후 생긴 수포각막병증 5안(9.4%)이 측정되었다(Table 1).
각막 기증자의 평균 나이는 48.4 ± 14.5세,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은 7.2 ± 1.9시간, 안구보존 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은 130.8 ± 22.9시간, 사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은 137.9 ± 22.1시간,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2,871.6 ± 271.6 cells/mm2로 측정되었다(Table 2).
각막이식 후 3주째, 평균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1,649.2 ± 516.1 cells/mm2로 측정되었으며,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는 42.2 ± 18.1%,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에서 42.6%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1). 수술 후 1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1,804.0 ± 485.4 cells/mm2로 측정되었으며,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는 36.6 ± 17.1%로 수술 후 3주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보다 증가했지만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081). 수술 후 3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1,768.9 ± 576.6 cells/mm2로 측정되었으며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는 38.5 ± 18.9%로 수술 후 1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비교했을 때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957). 수술 후 6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1,811.8 ± 672.9 cells/mm2로 측정되었으며,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에서 36.9% 감소하였다.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는 37.1 ± 22.8%로, 수술 후 3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비교했을 때 유의한 변화가 없었다(p=0.573). 수술 후 12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1,515.9 ± 583.2 cells/mm2로 측정되었으며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에서 47.2% 감소하였다.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는 47.0 ± 20.2%로 수술 후 6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비교했을 때 유의하게 감소하였다(p=0.002) (Fig. 1, Table 3).
수술 후 3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p=0.036)가 많을수록, 전방부피(p=0.007)가 적을수록, 전방각(p=0.006)이 좁을수록, 전방깊이(p=0.001)가 얕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에서 p값이 0.2 미만인 변수를 이용하여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2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수여자의 나이(p=0.037)가 많을수록, 전방깊이(p=0.024)가 얕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에서도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에서 4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수여자의 나이와 전방깊이가 유의한 변수로 나타났다(각각 p=0.008, 0.026) (Table 4).
수술 후 6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p=0.007)가 많을수록, 전방부피(p=0.023)가 적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수행하였을 때, 2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p=0.044)가 많을수록, 사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p=0.045)이 짧을수록, 기증자의 각막내피세포 밀도(p=0.047)가 높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에서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에서 3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수여자의 나이(p=0.016)가 적을수록, 안구보존 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p=0.023)이 길수록 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5).
수술 후 12달째 각막내피세포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한 단변량 선형 회귀분석 결과, 전방부피(p=0.015)가 적을수록, 각막윤부직경(p=0.040)이 작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을 시행하였을 때 3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p=0.041)가 많을수록, 전방깊이(p=0.037)가 얕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유의하게 연관되었다.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로부터의 백분율 변화에서는, 다변량 선형 회귀분석에서 3단계 후진 소거가 수행된 결과, 수여자의 나이(p=0.039)가 적을수록, 전방깊이(p=0.031)가 깊을수록 변화가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Table 6).

고 찰

내피각막이식 후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각막내피세포의 손실은 여전히 중요한 과제 중 하나로 남아 있다.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수술 후 초기에는 수술 중 조직 조작으로 인해 각막내피세포의 손실이 크게 나타날 수 있지만, 그 이후에는 세포 손실이 전층각막이식보다 더 느리게 발생한다는 것이 알려져 있다.10,11 내피각막이식 수술은 각막내피세포의 손실이 수술적 손상 이외에도 기증자의 특성에 영향을 받을 수 있는데, 이는 기증각막의 각막내피세포 밀도, 원형 절제 크기, 미리 절개된 조직 두께 등과 관련이 있다. 또한, 각막이식 수여자의 요인인 녹내장 수술 과거력, 홍채 손상 여부 등 여러 가지 변수에 따라 손실 정도가 다를 수 있다. 이러한 다양한 요인들은 최종적으로 수술 결과와 각막 생존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2-16
각막내피세포 밀도의 3-5년 경과를 보게 되면 시간이 지날수록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감소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4-16 Price and Price11의 연구에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 이식 후 6개월에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34%, 12개월에 36%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Van Cleynenbreugel et al12의 연구에서는 수술 후 6개월에 39% 감소한 것으로 보고하였으며 Ishii et al16의 연구에서는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 이식 후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수술 후 3개월에 49.8%, 6개월에 53.1%, 12개월에 58.4% 감소하며 이후 수술 후 3년까지 계속해서 감소하는 경향을 보고하였다. 본 연구는 12개월 동안 분석되었으며, 수술 후 6개월에는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36.9%, 12개월에는 47.2% 감소했다. 수술 후 1개월, 3개월, 6개월까지는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비슷하게 유지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는 수술로 의한 조직 손상으로 각막내피세포가 크게 감소한 이후에는 각막내피세포가 안정되며 재분배되어 밀도를 유지하고 천천히 감소하는 것으로 보인다.
Javadi et al14의 연구에서 푹스각막이상증, 인공수정체 수포각막병증 환자에서 다변량 회귀 분석 결과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후 각막내피세포 밀도는 기증각막내피절편의 두께와 양의 연관, 추적관찰 기간과는 음의 연관이 확인되었다.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은 유의한 연관성이 나타나지 않았다. 다른 이전의 연구17,18에서도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연관성이 없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Hesham and Schultze13의 연구에서 사후 안구보전까지의 시간이 길수록 수술 후 2년쨰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연관이 있다고 보고하였다. 직관적으로는 사후 안구보존까지의 시간이 길면 이식 전에 더 많은 내피세포 손실이 발생하여 수술 성공률이 낮아질 수 있으나, 어떤 이들은 기증자의 면역학적 항원의 소멸이 오히려 수술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고 제안하기도 했다.13 본 연구에서는 사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이 짧을수록, 안구보존 후 각막이식까지의 시간이 짧을수록 수술 후 6개월째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와 연관성을 보였으나 12개월째에는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 이런 상반된 연구 결과는 추후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3개월, 6개월, 12개월째 수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여주었다. 일반적으로 나이가 많을수록 면역 반응이 저하되어 거부반응, 염증 반응이 상대적으로 적게 나타난다. 이로 인해 나이가 많은 환자에서 각막내피세포 밀도의 감소가 상대적으로 더 적게 나타난 것으로 생각된다.
녹내장 수술을 포함한 대부분의 전방 수술을 받는 경우에는 전방깊이가 얕을수록 각막내피세포 손실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19,20 직관적으로는 내피각막이식에서 전방깊이가 얕을수록 수술 난이도가 높아지고 수술로 인한 조직 손상이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3개월, 12개월째 전방깊이가 얕을수록 높은 각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여주었다. 기존 연구와는 다른 결과에 대해 신중하게 통계적 분석의 한계를 고려하고 실제로 전방깊이가 얕은 경우 각막내피세포 밀도에 긍정적인 예후와 연관 있는지에 대한 보다 포괄적인 검증을 위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본 연구의 한계점은 후향적 연구로 재현성을 확인하기 위해 더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하는 전향적 연구가 필요하다. 대부분의 환자가 인공수정체 수포각막병증인 점은 다른 진단에 의해 이식 수술을 받는 환자 집단에 적용될 수 있는지에 대한 한계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일반적인 환자 집단에 적용 가능성을 평가하는 추가 연구가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에서 수포각막병증 환자에서 데스메막박리자동내피각막이식 후 초기에 각막내피세포 밀도가 급격하게 감소하고 안정화되는 경향을 보이며, 각막이식 수여자의 나이가 많을수록, 전방깊이가 얕을수록 높은 각 막내피세포 밀도를 보인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Endothelial cell density after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with error bars indicating standard deviations above and below the average; Asterisk (*) indicates paired t-test p-value smaller than 0.05.
jkos-2024-65-11-699f1.jpg
Table 1.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recipient (n = 53)
Variable Value
Age (years) 65.9 ± 14.6 (23-86)
The cause of BK
 FECD 5 (9.4)
 Non-FECD 43 (81.1)
 Glaucoma associated BK 5 (9.4)
IOP (mmHg) 12.8 ± 4.5 (7-23)
Visual acuity (LogMAR) 1.3 ± 0.4 (0.3-1.7)
Antiglaucoma eye drops use 18 (34.0)
ALI or glaucoma surgery 22 (41.5)
Diabetes mellitus 3 (5.7)
Hypertension 17 (32.1)
Irregular pupil 11 (20.8)
AC volume (μL) 119.3 ± 48.2 (15-208)
AC angle (°) 41.3 ± 12.5 (10.6-68.0)
AC depth (mm) 2.7 ± 0.9 (0.9-4.8)
Axial length (mm) 24.3 ± 1.6 (20.0-27.0)
Pupil size (mm) 3.7 ± 1.6 (1.5-9.7)
WTW (mm) 11.6 ± 0.6 (10.2-13.7)
Cataract operation-to-transplantation (years)* 7.8 ± 9.7 (0.3-40.0)
Preoperative ECD (cells/mm2) 413.8 ± 416.0 (0-1,218)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BK = bullous keratopathy; FECD =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IOP = intraocular pressure; ALI = argon laser iridotomy; AC = anterior chamber; WTW = white-to-white;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 The variable was analyzed only in pseudophakic BK patients.

Table 2.
Preoperative characteristics of donor
Variable Value
Age (years) 48.4 ± 14.5 (18-66)
Death-to-preservation time (hour) 7.2 ± 1.9 (3.9-10.6)
Preservation-to-operation time (hour) 130.8 ± 22.9 (90.0-165.0)
Death-to-operation time (hour) 137.9 ± 22.1 (97.5-175.0)
ECD (cells/mm2) 2,871.6 ± 271.6 (2,381-3,650)
Donor trephine size (mm) 8.0 ± 0.2 (7.75-9.0)
Graft thickness (μm) 63.6 ± 16.4 (41-106)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Table 3.
Postoperative endothelial cell density
Variable Value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at 3 weeks (%) 42.2 ± 18.1 (2.5-73.4)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at 1 month (%) 36.6 ± 17.1 (3.1-73.5)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at 3 months (%) 38.5 ± 18.9 (1.6-81.3)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at 6 months (%) 37.1 ± 22.8 (1.4-88.7)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at 12 months (%) 47.0 ± 20.2 (3.3-79.3)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Table 4.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3 months ECD
Parameter Postoperative ECD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Recipient parameter
 Age 0.294 (0.02 to 0.569) 0.036 0.543 (0.038 to 1.049) 0.037 -0.321 (-0.593 to -0.049) 0.022 -0.723 (-1.234 to -0.211) 0.008
 The cause of BK
  FECD -0.005 (-0.293 to 0.284) 0.975 0.006 (-0.283 to 0.294) 0.968
  Non-FECD Ref. Ref.
  Glaucoma associated BK 0.034 (-0.254 to 0.323) 0.812 -0.055 (-0.343 to 0.234) 0.705
 Antiglaucoma eye drops use 0.020 (-0.264 to 0.304) 0.888 0.051 (-0.232 to 0.335) 0.719
 ALI or glaucoma surgery 0.041 (-0.243 to 0.325) 0.773 -0.083 (-0.366 to 0.200) 0.558
 Vitrectomized eye -0.141 (-0.423 to 0.140) 0.317 0.059 (-0.225 to 0.342) 0.679
 Diabetes mellitus 0.026 (-0.258 to 0.310) 0.855 -0.005 (-0.289 to 0.279) 0.973
 Hypertension 0.202 (-0.076 to 0.480 0.151 -0.255 (-0.530- 0.020 0.068
 Irregular pupil -0.018 (-0.302 to 0.266) 0.901 0.005 (-0.279 to 0.289) 0.972
 AC volume (μL) -0.405 (-0.694 to -0.117) 0.007 0.269 (-0.374 to 0.911) 0.390 0.442 (0.16 to 0.725) 0.003 -0.182 (-0.776 to 0.411) 0.526
 AC angle (°) -0.407 (-0.691 to -0.122) 0.006 -0.146 (-0.646 to 0.355) 0.548 0.334 (0.04 to 0.627) 0.027
 AC depth (mm) -0.463 (-0.721 to -0.206) 0.001 -0.705 (-1.304 to -0.106) 0.024 0.487 (0.234 to 0.741) <0.001 0.642 (0.087 to 1.197) 0.026
 Axial length (mm) -0.291 (-0.669 to 0.086) 0.125 0.299 (-0.285 to 0.882) 0.295 0.344 (-0.027 to 0.714) 0.068 -0.244 (-0.789 to 0.302) 0.359
 Pupil size (mm) -0.134 (-0.422 to 0.154) 0.354 0.088 (-0.201 to 0.377) 0.543
 WTW (mm) -0.190 (-0.522 to 0.141) 0.252 0.249 (-0.079 to 0.576) 0.132
 Cataract operation-to-transplantation (year)* -0.112 (-0.443 to 0.219) 0.497 0.147 (-0.182 to 0.477) 0.371
Donor parameter
 Age -0.010 (-0.294 to 0.274) 0.946 0.057 (-0.227 to 0.341) 0.688
 Death-to-preservation time (hour) 0.096 (-0.187 to 0.379) 0.498 -0.124 (-0.406 to 0.157) 0.379
 Preservation-to-operation time (hour) -0.172 (-0.452 to 0.108) 0.224 0.273 (0.000 to 0.547) 0.050 1.640 (-0.179 to 3.458) 0.074
 Death-to-operation time (hour) -0.163 (-0.443 to 0.118) 0.249 0.250 (-0.025 to 0.525) 0.073 -1.556 (-3.358 to 0.245) 0.086
 ECD (cells/mm2) 0.207 (-0.071 to 0.485) 0.141 0.176 (-0.239 to 0.591) 0.383 0.073 (-0.210 to 0.356) 0.606
 Donor trephine size (mm) -0.037 (-0.321 to 0.247) 0.793 0.058 (-0.225 to 0.342) 0.682
 Graft thickness (μm) 0.029 (-0.261 to 0.319) 0.844 0.010 (-0.280 to 0.301) 0.942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CI = confidence interval; BK = bullous keratopathy; FECD =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ALI = argon laser iridotomy; AC = anterior chamber; WTW = white-to-white.

* The variable was analyzed only in pseudophakic bullous keratopathy patients and was excluded from mult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ackward elimination was performed, reaching the 2nd step in the analysis in postoperative ECD, and the 4th step in the analysis in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Table 5.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6 months ECD
Parameter Postoperative ECD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Recipient parameter
 Age 0.376 (0.107 to 0.644) 0.007 0.339 (0.009 to 0.668) 0.044 -0.375 (-0.644 to -0.106) 0.007 -0.354 (-0.638 to -0.070) 0.016
 The cause of BK
  FECD -0.013 (-0.305 to 0.279) 0.930 -0.028 (-0.32 to 0.264) 0.848
  Non-FECD Ref. Ref.
  Glaucoma associated BK 0.013 (-0.279 to 0.305) 0.928 -0.029 (-0.321 to 0.263) 0.841
 Antiglaucoma eye drops use 0.017 (-0.271 to 0.304) 0.908 0.071 (-0.216 to 0.357) 0.622
 ALI or glaucoma surgery -0.066 (-0.352 to 0.221) 0.647 0.026 (-0.261 to 0.313) 0.857
 Vitrectomized eye -0.033 (-0.320 to 0.254) 0.817 -0.038 (-0.325 to 0.249) 0.790
 Diabetes mellitus -0.001 (-0.288 to 0.286) 0.993 0.019 (-0.268 to 0.306) 0.893
 Hypertension 0.127 (-0.158 to 0.412) 0.375 -0.148 (-0.432 to 0.136) 0.300
 Irregular pupil -0.004 (-0.291 to 0.283) 0.977 -0.006 (-0.293 to 0.281) 0.965
 AC volume (μL) -0.351 (-0.650 to -0.052) 0.023 0.064 (-0.410 to 0.537) 0.787 0.353 (0.054 to 0.652) 0.022
 AC angle (°) -0.141 (-0.453 to 0.172) 0.369 0.084 (-0.231 to 0.398) 0.593
 AC depth (mm) -0.263 (-0.546 to 0.020) 0.068 -0.241 (-0.673 to 0.192) 0.266 0.281 (-0.001 to 0.562) 0.051 0.210 (-0.081 to 0.501) 0.152
 Axial length (mm) -0.111 (-0.520 to 0.298) 0.581 0.145 (-0.263 to 0.552) 0.471
 Pupil size (mm) -0.203 (-0.490 to 0.085) 0.163 0.149 (-0.141 to 0.439) 0.307
 WTW (mm) -0.092 (-0.434 to 0.250) 0.588 0.132 (-0.208 to 0.472) 0.437
 Cataract operation-to-transplantation (year)* 0.013 (-0.325 to 0.351) 0.940 0.023 (-0.315 to 0.361) 0.891
Donor parameter
 Age -0.050 (-0.337 to 0.236) 0.726 0.070 (-0.217 to 0.356) 0.627
 Death-to-preservation time (hour) -0.091 (-0.377 to 0.195) 0.525 0.068 (-0.218 to 0.354) 0.636
 Preservation-to-operation time (hour) -0.177 (-0.459 to 0.106) 0.215 0.286 (0.011 to 0.561) 0.042 0.337 (0.049 to 0.625) 0.023
 Death-to-operation time (hour) -0.201 (-0.482 to 0.080) 0.157 -0.348 (-0.686 to -0.009) 0.045 0.300 (0.027 to 0.574) 0.032
 ECD (cells/mm2) 0.208 (-0.072 to 0.489) 0.142 0.327 (0.004 to 0.650) 0.047 0.032 (-0.255 to 0.319) 0.826
 Donor trephine size (mm) 0.075 (-0.212 to 0.361) 0.603 -0.057 (-0.343 to 0.230) 0.694
 Graft thickness (μm) 0.040 (-0.254 to 0.333) 0.787 0.015 (-0.279 to 0.308) 0.919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CI = confidence interval; BK = bullous keratopathy; FECD =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ALI = argon laser iridotomy; AC = anterior chamber; WTW = white-to-white.

* The variable was analyzed only in pseudophakic BK patients and was excluded from mult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s.

Backward elimination was performed, reaching the 2nd step in the analysis in postoperative ECD, and the 3rd step in the analysis in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Table 6.
Univariate and multivariate analysis of factors associated with postoperative 12 months ECD
Parameter Postoperative ECD
Percentage change from preoperative ECD
Univariate
Multivariate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Recipient parameter
 Age 0.256 (-0.021 to 0.534) 0.069 0.544 (0.027 to 1.062) 0.041 -0.258 (-0.535 to 0.020) 0.068 -0.727 (-1.412 to -0.041) 0.039
 The cause of BK
  FECD -0.129 (-0.411 to 0.153) 0.364 0.101 (-0.183 to 0.384) 0.479
  Non-FECD Ref. Ref.
  Glaucoma associated BK -0.185 (-0.467 to 0.097) 0.194 0.176 (-0.107 to 0.460) 0.217
 Antiglaucoma eye drops use -0.120 (-0.402 to 0.162) 0.396 0.180 (-0.099 to 0.460) 0.201
 ALI or glaucoma surgery -0.164 (-0.444 to 0.116) 0.246 0.108 (-0.175 to 0.390) 0.448
 Vitrectomized eye 0.004 (-0.280 to 0.288) 0.978 -0.087 (-0.370 to 0.196) 0.542
 Diabetes mellitus 0.046 (-0.237 to 0.330) 0.744 -0.024 (-0.308 to 0.260) 0.867
 Hypertension 0.177 (-0.103 to 0.457) 0.210 -0.193 (-0.472 to 0.086) 0.171 0.175 (-0.296 to 0.646) 0.437
 Irregular pupil -0.121 (-0.403 to 0.161) 0.392 0.083 (-0.200 to 0.367) 0.556
 AC volume (μL) -0.236 (-0.543 to 0.070) 0.127 0.416 (-0.213 to 1.045) 0.179 0.265 (-0.039 to 0.569) 0.086 -0.443 (-1.307 to 0.421) 0.288
 AC angle (°) -0.283 (-0.582 to 0.016) 0.063 -0.267 (-0.739 to 0.204) 0.246 0.225 (-0.079 to 0.528) 0.142 0.203 (-0.374 to 0.781) 0.460
 AC depth (mm) -0.342 (-0.615 to -0.069) 0.015 -0.692 (-1.337 to -0.047) 0.037 0.353 (0.081 to 0.624) 0.012 0.739 (0.079 to 1.400) 0.031
 Axial length (mm) -0.302 (-0.686 to 0.083) 0.119 0.249 (-0.438 to 0.935) 0.452 0.350 (-0.028 to 0.727) 0.068 -0.402 (-1.127 to 0.323) 0.252
 Pupil size (mm) -0.146 (-0.433 to 0.141) 0.311 0.091 (-0.198 to 0.380) 0.531
 WTW (mm) -0.334 (-0.653 to -0.015) 0.040 -0.210 (-0.714 to 0.293) 0.387 0.376 (0.062 to 0.689) 0.020 0.365 (-0.196 to 0.927) 0.183
 Cataract operation-to-transplantation (year)* -0.263 (-0.585 to 0.059) 0.106 0.292 (-0.027 to 0.611) 0.071
Donor parameter
 Age -0.078 (-0.361 to 0.205) 0.583 0.118 (-0.164 to 0.400) 0.405
 Death-to-preservation time (hour) 0.068 (-0.215 to 0.352) 0.630 -0.083 (-0.366 to 0.200) 0.559
 Preservation-to-operation time (hour) -0.180 (-0.459 to 0.099) 0.201 0.299 (0.028 to 0.570) 0.031 0.267 (-0.354 to 0.889) 0.370
 Death-to-operation time (hour) -0.189 (-0.468 to 0.090) 0.179 0.302 (0.031 to 0.573) 0.030
 ECD (cells/mm2) 0.164 (-0.116 to 0.444) 0.246 0.091 (-0.192 to 0.374) 0.522
 Donor trephine size (mm) -0.008 (-0.292 to 0.276) 0.954 0.023 (-0.261 to 0.307) 0.871
 Graft thickness (μm) -0.237 (-0.519 to 0.045) 0.098 0.265 (-0.015 to 0.545) 0.063

ECD = endothelial cell density; CI = confidence interval; BK = bullous keratopathy; FECD = Fuchs endothelial corneal dystrophy; ALI = argon laser iridotomy; AC = anterior chamber; WTW = white-to-white.

* The variable was analyzed only in pseudophakic BK patients and was excluded from multivariate analysis.

Multivariate linear regression includes variables with p-values less than 0.2 from the univariate linear regression analysis result.

Backward elimination was performed, reaching the 3rd step in the analysis.

REFERENCES

1) Price FW Jr, Price MO. Descemet's stripping with endothelial keratoplasty in 50 eyes: a refractive neutral corneal transplant. J Refract Surg 2005;21:339-45.
crossref pmid
2) Gorovoy MS. Descemet-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Cornea 2006;25:886-9.
crossref pmid
3) Melles GR. Posterior lamellar keratoplasty: DLEK to DSEK to DMEK. Cornea 2006;25:879-81.
pmid
4) Terry MA, Hoar KL, Wall J, Ousley P. Histology of dislocations in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and DLEK): a laboratory-based, surgical solution to dislocation in 100 consecutive DSEK cases. Cornea 2006;25:926-32.
pmid
5) Lee WB, Jacobs DS, Musch DC, et al.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safety and outcomes: a report by the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Ophthalmology 2009;116:1818-30.
crossref pmid
6) Bertelmann E, Pleyer U, Rieck P. Risk factors for endothelial cell loss post-keratoplasty. Acta Ophthalmol Scand 2006;84:766-70.
crossref pmid
7) Writing Committee for the Cornea Donor Study Research Group, Lass JH, Benetz BA, Gal RL, et al. Donor age and factors related to endothelial cell loss 10 years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Specular Microscopy Ancillary Study. Ophthalmology 2013;120:2428-35.
crossref pmid
8) Lee HS, Kim MS. Influential factors on the survival of endothelial cells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Eur J Ophthalmol 2009;19:930-5.
crossref pmid pdf
9) Kim TK, Byun YS, Kim MS. Analysis of factors affecting 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807-15.
crossref
10) Price MO, Gorovoy M, Benetz BA, et al.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outcomes compared with penetrating keratoplasty from the Cornea Donor Study. Ophthalmology 2010;117:438-44.
crossref pmid
11) Price MO, Price FW Jr. Endothelial cell loss after descemet stripping with endothelial keratoplasty influencing factors and 2-year trend. Ophthalmology 2008;115:857-65.
crossref pmid
12) Van Cleynenbreugel H, Remeijer L, Hillenaar T.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effect of intraoperative lenticule thickness on visual outcome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Cornea 2011;30:1195-200.
crossref pmid
13) Hesham N, Schultze RL. Impact of donor characteristics on 2-year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outcomes in patients with Fuchs endothelial dystrophy. Cornea 2015;34:6-10.
crossref pmid
14) Javadi MA, Feizi S, Jafari R, et al. Factors influencing graft endothelial cell density after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J Ophthalmic Vis Res 2018;13:10-6.
crossref pmid pmc
15) Wakimasu K, Kitazawa K, Kayukawa K, et al. Five-year follow-up outcomes after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a retrospective study. BMJ Open Ophthalmol 2020;5:e000354.
crossref pmid pmc
16) Ishii N, Yamaguchi T, Yazu H, et al. Factors associated with graft survival and endothelial cell density after Descemet's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Sci Rep 2016;6:25276.
crossref pmid pmc pdf
17) Woodward MA, Raoof-Daneshvar D, Mian S, Shtein RM. Relationship of visual acuity and lamellar thickness in descemet stripping automated endothelial keratoplasty. Cornea 2013;32:e69-73.
crossref pmid
18) Price MO, Fairchild KM, Price DA, Price FW Jr.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five-year graft survival and endothelial cell loss. Ophthalmology 2011;118:725-9.
pmid
19) Vallabh NA, Kennedy S, Vinciguerra R, et al. Corneal endothelial cell loss in glaucoma and glaucoma surgery and the utility of management with descemet membrane endothelial keratoplasty (DMEK). J Ophthalmol 2022;2022:1315299.
crossref pmid pmc pdf
20) Fiore PM, Richter CU, Arzeno G, et al. The effect of anterior chamber depth on endothelial cell count after filtration surgery. Arch Ophthalmol 1989;107:1609-11.
crossref pmid

Biography

박찬준 / Chanjoon Park
Department of Ophthalmology, College of Medicine, The Catholic University of Korea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001, Jeokseon Hyundai BD
130, Sajik-ro, Jongno-gu, Seoul 03170,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kos@ijpnc.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