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7); 2023 > Article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비교

국문초록

목적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의 일치도를 비교하고, 안압 차이를 유발하는 요인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받은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안압은 비접촉식안압계, 리바운드안압계, 골드만압평안압계 순서로 측정하였다.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일치도를 평가하였으며,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을 확인하였다.

결과

평균 연령 62.0세의 41명, 49안을 분석하였다.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은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었지만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p=0.098, p=0.320). Bland-Altman plot에서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 안압의 일치도가 비접촉식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 안압의 일치도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다중 회귀분석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 차이에 영향을 주는 인자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215, p=0.022), 각막곡률(β=-1.692, p=0.037),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β=0.042, p=0.018)이 확인되었고,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 차이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301, p=0.013), 각막곡률(β=-2.670, p=0.010)이 확인되었다.

결론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안압계는 골드만압평안압계와 좋은 일치도 및 높은 상관관계를 보여 안압 측정에 있어 유용한 방법으로 생각되나,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 각막곡률,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 등을 고려하여야 하겠다.

ABSTRACT

Purpose

To compare the level of agreement between the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RT), and noncontact tonometer (NCT) in patients who underwent Descemet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DSEK), and to identify factors contributing to variations in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ments among the three tonometers.

Methods

We retrospectively analyzed the medical records of 41 patients who underwent DSEK. IOP was measured using NCT, IRT, and GAT, in this order. We evaluated the level of agreement among IOP measurements using the three tonometers, and analyzed whether clinical factors affected the results.

Results

We analyzed 49 eyes of 41 patients (average age: 62.0 years). The IOP values measured by IRT and NCT were lower than those measured by GAT, although the difference was not significant (p = 0.098 and p = 0.320, respectively). A Bland-Altman plot showed greater agreement between IOP measurements obtained by IRT and GAT than those obtained by NCT and GAT. In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is, the IOP measured by GAT (β = 0.215, p = 0.022), corneal curvature (β = -1.692, p = 0.037), and postoperative duration (β = 0.042, p = 0.018) affected the difference in IOPs measured by GAT and IRT. The IOP measured by GAT (β = 0.301, p = 0.013) and corneal curvature (β = -2.670, p = 0.010) affected the difference in IOP measurements obtained by GAT and NCT.

Conclusions

In DSEK eyes, IRT showed good agreement and high correlation with GAT, suggesting that it is useful for IOP measurement. However, the IOP measured by GAT, corneal curvature, and postoperative duration should be considered when measuring IOP with an IRT.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Descemet membrane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후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 중 하나는 수술 후 안압상승이다.1-3 조절되지 않는 안압상승은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불량한 시력 예후, 각막내피세포 수 감소, 심지어 비가역적인 시야결손 및 시력저하를 유발할 수 있다.3,4
안압은 녹내장의 발생 및 진행에 가장 중요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으며, 정확한 안압 측정은 녹내장의 진단과 치료에 필수적이다.5-8 안압 측정에 있어 골드만압평안압계(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GAT)는 현재 임상적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표준 검사계로 인정받고 있다.9-11 하지만 각막 질환이 있거나 각막이식술을 시행한 환자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안압을 측정하는 데 제한이 있다.12-15 세극등현미경검사계에 부착되어 있기 때문에 똑바로 앉은 상태에서만 검사가 가능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나 협조도가 부족한 환자에서는 측정이 어렵다. 또한, 점안마취제가 필요하고 감염 및 전염성 질환의 전파 가능성을 가지고 있다.16,17 비접촉식안압계(noncontact tonometer, NCT)는 점안마취가 불필요하고 접촉 없이 간편히 측정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교하여 각막두께에 더 많은 영향을 받는 것으로 알려져있다.18,19 리바운드안압계(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RT)는 골드만압평안압계에 비해 간편하고 빠르게 안압을 측정할 수 있으며 휴대하기가 용이하고 각막에 접촉되는 탐침의 면적이 매우 좁고 접촉 시간이 짧기 때문에 점안마취가 필요하지 않다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11,20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을 비교한 여러 연구들이 있지만, 국내에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를 비교한 연구는 보고된 바 없다. 본 연구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 리바운드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을 비교하여 일치도 및 상관관계를 평가하고, 안압계 간 안압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본원의 임상연구심의위원회(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의 승인 하에 진행되었으며(승인번호: 2022-11-025) 모든 연구 과정은 헬싱키선언(Declaration of Helsinki)을 준수하였다.
2021년 7월부터 2022년 5월까지 경북대학교병원 안과 녹내장 클리닉을 방문한 환자 중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받은 후 3개월 이상 경과한 41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 분석을 시행하였다. 이식 절편이 안정적으로 부착해 있으며 데스메막주름이 없고 세극등현미경 검사에서 각막부종이 없는 환자를 대상에 포함하였으며, 이식편 거부반응이 있거나 각막상피결손, 각막부종, 감염과 같은 활동성 각막 질환이 있는 환자, 안검경련 및 협조 부족 등을 이유로 정확한 안압 측정이 어려운 환자는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안압은 세 가지 안압계에 대하여 각각 한 명씩의 숙련된 검사자에 의해 앉은 자세에서 측정되었으며 각각의 안압 측정 사이에는 최소 10분 이상의 간격을 두고 검사를 진행하였다. 각 안압계에서 측정된 수치는 다른 검사자와 공유되지 않았다. 안압 측정 순서는 안압 측정 시 각막 형태 변화 등의 오류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각막에 접촉의 기회가 없는 비접촉식안압계(NT-530P, Nidek Co., Gamagori, Japan)부터 리바운드안압계(iCare IC200, Icare Finland Oy, Helsinki, Finland), 골드만압평안압계(GAT AT900, Haag Streit, Koniz, Switzerland) 순서로 시행하였다. 비접촉식안압계는 기계상 오류가 나오거나 환자가 눈을 감아 측정값이 부정확한 경우는 재측정하였다. 리바운드안압계는 각막 중심으로부터 5-8 mm 떨어진 위치에서 안압을 측정하기에 적절한 상태임을 나타내는 녹색 표시등이 들어왔을 때 6회 측정하여 최대값과 최소값을 제외한 4회 측정된 안압의 평균값을 사용하였다. 골드만압평안압계는 환자에게 0.5% proparacaine (Paracaine®, Hanmi, Seoul, Korea)과 Fluorescein® (Haag-Streit, Köniz, Switzerland) strip을 점안 후 안압을 측정하였다. 두 번 측정한 안압의 차이가 2 mmHg 이내인 경우 평균값을 기록하였고 2 mmHg 이상 차이가 나는 경우 다시 안압을 측정하여 기록하였다.
대상 환자에서 안압의 측정 이외에도 중심각막두께, 각막곡률, 안축장 길이를 측정하였다. 중심각막두께와 각막곡률은 전안부 빛간섭단층촬영계(CASIA2, Tomey Corporation, Nagoya, Japan)를 이용하여 측정하였으며, 안축장 길이는 IOL Master 700 (Carl Zeiss Meditec, Jena, Germany)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세 가지 종류의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은 평균 ± 표준편차로 표기하였다. 각각의 안압계로 측정된 안압은 analysis of variance (ANOVA)로 비교하였으며, 사후분석은 Bonferroni method를 이용하였다. 서로 다른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사이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Bland-Altman plot을 이용하여 안압계 간 일치도를 평가하였다.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안압계 간 안압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생체계측치를 포함한 임상인자들을 확인하였다. 통계학적 분석은 SPSS version 26 (IBM Corp., Armonk, NewYork, USA)을 이용하였으며, p값이 0.05 미만인 경우를 유의하다고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41명, 49안이 연구에 포함되었으며, 평균 나이는 62.0 ± 10.7세였고, 남자가 35안, 여자가 14안이었다.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은 평균 13.8 ± 3.8 mmHg (4.0-21.0 mmHg),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평균값은 각각 12.1 ± 3.9 mmHg (2.9-21.2 mmHg)와 12.6 ± 4.0 mmHg (5.0-25.0 mmHg)였다. 중심각막두께는 574.94 ± 61.09 µm, 안축장 길이는 24.51 ± 1.94 mm, 각막곡률은 7.80 ± 0.45 mm였다.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은 평균 22.22 ± 20.08개월이었다(Table 1).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 안압이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에 비해서 낮게 측정되었으나 ANOVA에서 세 가지 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GAT와 IRT, p=0.098; GAT와 NCT, p=0.320; IRT와 NCT, p=0.868). 또한 안압계 간의 상관관계를 평가하기 위하여 Pearson 상관분석을 시행하였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안압 사이에서 r=0.743 (p<0.001),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 안압 사이에서 r=0.612 (p<0.001),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 안압 사이에서 r=0.764 (p<0.001)의 상관관계를 보였다(Fig. 1).
일치도를 평가하기 위해 Bland-Altman plot을 시행한 결과 세 가지 경우 모두에서 안압의 평균과 안압 차이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보이지 않았으며, 95% 일치도 한계(limits of agreement)는 -3.72 to +7.13 mmHg (GAT-IRT), -5.52 to +8.10 mmHg (GAT-NCT), -5.77 to +4.93 mmHg (IRT-NCT)로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 안압 사이의 95% 일치도 한계 범위가 가장 넓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차이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들을 분석하기 위해 선형회귀분석을 시행하였다. 단순 선형회귀분석을 이용하여 연령,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 각막곡률, 중심각막두께, 안축장 길이 및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을 각각 분석하였다.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차이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247, p=0.016), 각막곡률(β=-2.366, p=0.007),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β=0.049, p=0.012)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었으며(Table 2, Fig. 3),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의 차이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355, p=0.005), 각막곡률(β=-3.109, p=0.004)이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Fig. 4).
다중 선형회귀분석에서도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차이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215, p=0.022), 각막곡률(β=-1.692, p=0.037),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β=0.042, p=0.018)과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 차이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β=0.301, p=0.013)과 각막곡률(β=-2.670, p=0.010)에서 유의한 연관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Table 2).

고 찰

전층각막이식술에 비하여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은 빠른 회복, 좋은 시력 예후, 더 나은 각막 구조의 안정성, 적은 거부반응 등 많은 장점을 가지고 있지만, 여전히 안압 상승 및 녹내장의 발생은 흔한 합병증 중의 하나로 적절한 시기에 안압하강제 점안, 스테로이드 변경, 수술적인 처치가 필요할 수 있어 정확한 안압의 평가가 필수적이다.2,3,21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안압상승은 15-45%, 녹내장으로 진행은 11.9%에서 보고되었다.1-3 기존에 녹내장을 가지고 있던 환자의 경우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1년 간의 추적 관찰에서 1/3이 안압하강제가 추가되었으며, 녹내장이 없었던 환자는 18%에서 안압하강제 점안을 시작하였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녹내장을 가지고 있던 환자들에서는 43-45%에서 안압상승을 보였고, 녹내장 병력이 없었던 환자들에서도 35%에서 안압상승이 보고되었다.3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발생하는 안압상승의 주된 원인은 스테로이드의 사용이며 스테로이드의 변경 및 안압하강제의 사용을 통해 많은 경우 효과적으로 안압이 조절되었다.2,3 절개 부위의 회복을 위하여 1년 이내에 스테로이드를 중단하는 전층각막이식술에 비해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의 경우는 작은 절개로 인해 장기간 국소 스테로이드를 유지할 수 있어 안압상승의 위험이 높으며 장기적으로 적절한 관리가 필요하다.22 따라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정확한 안압의 평가가 필요하며, 녹내장 환자에서 그 중요성은 더욱 강조된다.
Badakere et al10은 정상 각막 156안을 대상으로 iCare IC200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를 비교한 연구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이 평균 1.27 mmHg 높게 측정된다고 보고하였으나, Lee et al17은 한국인 294안을 대상으로 iCare IC200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을 비교한 연구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이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보다 평균 3.07 mmHg (95% 일치한계, -2.16 to 8.30) 낮게 측정된다고 보고하였다. 동일한 모델을 사용하여 비교한 연구에서 상반된 결과가 나온 것과 관련하여 대상자의 평균 연령이 더 높고, 골드만압평안압계의 평균 안압이 더 낮은 점 및 중심각막두께가 더 두꺼우며 안축장이 더 길고 한국인을 대상으로 했다는 것이 결과의 차이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예상하였다. 한국인을 대상으로 했던 Lee et al23의 연구에서도 iCare TA01i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를 비교한 외국의 여러 연구 결과들과 상반되게 iCare TA01i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이 낮게 측정되었는데 이를 설명할 수 있는 명확한 이유는 제시하지는 못하였다.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한 환자를 대상으로 한, 본 연구에서도 리바운드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이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보다 평균 1.7 mmHg 낮게 측정되어 정상 각막의 한국인을 대상으로 한 리바운드안압계와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 비교와 유사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Kim and Jung24은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은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었으며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은 골드만압평안압계보다 높게 측정되었다고 보고하였다. 반면 전층각막이식을 시행한 안에서와 달리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안압계 간의 안압 차이를 비교한 여러 연구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에 비하여 높게 나타났다.21,25 본 연구에서도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이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로 측정한 안압보다 높게 측정되어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안압계 간 안압 차이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하여도 유사한 결과를 나타내었다.
본 연구에서 중심각막두께는 안압계 간의 안압 차이와 유의한 연관성을 보이지 않았다(p=0.923). 이는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골드만압평안압계,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를 비교한 여러 연구에서 보고된 결과와 일치하였다.3,21,25,26 Vajaranant et al26은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이식 절편에 의한 중심각막두께의 증가가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 증가로 이어지지 않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상승은 실제로 이식한 눈의 안압상승을 의심해야 한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Achiron et al25은 각막의 이식 절편이 숙주각막편에 통합되지 않아 생체공학적 경직도에 영향을 주지 못하고 안압계 간의 안압 차이가 발생하지 않는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증가할수록 리바운드안압계 및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 측정치와 차이가 유의하게 커지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16, p=0.005),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1 mmHg 증가하면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은 0.753 mmHg 증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은 0.645 mmHg 증가하였다. 낮은 안압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보다 낮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지만,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증가함에 따라 높은 안압에서는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보다 리바운드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이 낮게 측정되는 경향을 보였다(Fig. 3A, 4A). 이는 Tamçelik et al27의 각막이식 및 각막굴절교정술을 시행하지 않은 안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낮을 경우는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이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이 높을 경우는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이 낮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다고 보고한 내용과 유사한 경향성을 나타내었다.
안압계 간 안압 차이에 영향을 주는 다른 요인으로 각막곡률이 증가할수록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 및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 차이가 유의하게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p=0.007, p=0.004),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 차이가 각막곡률의 변화에 따라 더 영향을 많이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Fig. 3B, 4B). 각막곡률과 안압계 간의 안압 차이를 비교한 연구에서 리바운드안압계는 각막이 더 가파를수록 탐침의 속도를 더 감소시켜 낮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으며, 비접촉식안압계는 각막곡률에 따른 안압의 큰 오차가 없으나 골드만압평안압계가 각막이 가파를수록 안압이 더 높게 측정되는 경향이 있어 안압계 간 유의한 안압 차이를 나타낸다고 보고하였다.19,20 본 연구에서는 정상 각막을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보다 안압계 간 안압 차이가 다소 크지만, 각막곡률과 안압계 간의 안압 차이와 관련한 이전 보고들과 유사한 경향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마지막으로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이 증가할수록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 차이가 유의하게 증가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p=0.012, Fig. 3C). 이와 관련하여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장기간 추적 관찰하여 각막의 곡률, 경직도, 점성, 탄성 등과 같은 생체공학적(biomechanical) 특성과 안압계 간의 측정값 차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 대상 환자들의 평균 나이가 고령인 점, 정상 안압 범위를 벗어나는 환자에 대한 분석이 부족한 점, 사용중인 점안제 차이로 유발되는 각막의 생체공학적 특성 변화를 고려하지 못한 점 등을 들 수 있다. 향후 이러한 제한점들을 보완할 수 있는 연구가 추가적으로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이번 연구는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한 안을 대상으로 골드만압평안압계, 리바운드안압계, 비접촉식안압계의 안압을 비교하였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비접촉식안압계보다 리바운드안압계로 측정한 안압이 골드만압평안압계와 좋은 일치도와 상관관계를 보였으며, 협조가 잘 되지 않는 환자에서도 비교적 간단하게 안압을 측정할 수 있어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을 시행한 환자에서 리바운드안압계가 임상적으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에서 이식 절편에 의한 중심각막두께의 증가는 안압계 간 안압 차이에 영향을 주지 못하였으며, 골드만압평안압계의 안압과 각막곡률, 데스메막박리내피각막이식술 후 기간은 골드만압평안압계와 리바운드안압계의 안압 차이에 영향을 줄 수 있어 이를 고려해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Correlation of intraocular pressure (IOP) obtained by GAT, IRT and NCT. (A) GAT and IRT. (B) GAT and NCT. (C) NCT and IRT. GAT =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RT =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NCT = noncontact tonometer; IOPGAT = IOP measured by GAT; IOPIRT = IOP measured by IRT; IOPNCT = IOP measured by NCT.
jkos-2023-64-7-605f1.jpg
Figure 2.
Bland-Altman plots with linear regression comparing the agre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IOP) (A) between GAT and IRT, (B) between GAT and NCT, (C) between IRT and NCT. GAT =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RT =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NCT = noncontact tonometer; IOPGAT = IOP measured by GAT; IOPIRT = IOP measured by IRT; IOPNCT = IOP measured by NCT; SD = standard deviation.
jkos-2023-64-7-605f2.jpg
Figure 3.
Differences of intraocular pressure (IOP) between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and rebound tomometer (IOPGAT-IOPIRT) plotted (A) against IOPGAT, (B) against corneal curvature, (C) against postoperative duration. IOPGAT = IOP measured by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OPIRT = IOP measured by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jkos-2023-64-7-605f3.jpg
Figure 4.
Differences of intraocular pressure (IOP) between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and noncontact tonometer (IOPGAT-IOPNCT) plotted (A) against IOPGAT, (B) against corneal curvature. IOPGAT = IOP measured by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OPNCT = IOP measured by noncontact tonometer.
jkos-2023-64-7-605f4.jpg
Table 1.
Demographics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for all enrolled patients
Characteristic Value (n = 49)
Age (years) 62.0 ± 10.7 (37 to 83)
Sex, male/female 35/14
IOPGAT (mmHg) 13.8 ± 3.8 (4.0 to 21.0)
IOPIRT (mmHg) 12.1 ± 3.9 (2.9 to 21.2)
IOPNCT (mmHg) 12.6 ± 4.0 (5.0 to 25.0)
Central corneal thickness (µm) 574.94 ± 61.09 (461.0 to 720.0)
Axial length (mm) 24.51 ± 1.94 (21.5 to 32.4)
Corneal curvature (mm) 7.80 ± 0.45 (6.3 to 9.0)
Postoperative duration (months) 22.22 ± 20.08 (3.0 to 95.6)
Lens status, phakic eye/pseudophakic eyes 0/49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unless otherwise indicated. IOPGAT = intraocular pressure (IOP) measured by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OPIRT = IOP measured by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OPNCT = IOP measured by noncontact tonometer.

Table 2.
Clinical factors associated with intraocular pressure differences among three tonometers
Univariate
Multivariate
β (95% CI) p-value β (95% CI) p-value
IOPGAT - IOPIRT
Age (years) 0.059 (-0.015, 0.133) 0.117
IOPGAT (mmHg) 0.247 (0.047, 0.446) 0.016 0.215 (0.003, 0.398) 0.022
Corneal curvature (mm) -2.366 (-4.040, -0.692) 0.007 -1.692 (-3.280, -0.105) 0.037
Central corneal thickness (µm) -0.001 (-0.014, 0.013) 0.923
Axial length (mm) -0.106 (-0.522, 0.311) 0.612
Postoperative duration (months) 0.049 (0.011, 0.087) 0.012 0.042 (0.007, 0.077) 0.018
IOPGAT - IOPNCT
Age (years) 0.019 (-0.076, 0.115) 0.682
IOPGAT (mmHg) 0.355 (0.110, 0.600) 0.005 0.301 (0.068, 0.535) 0.013
Corneal curvature (mm) -3.109 (-5.193, -1.024) 0.004 -2.670 (-4.668, -0.672) 0.010
Central corneal thickness (µm) 0.004 (-0.013, 0.020) 0.648
Axial length (mm) 0.213 (-0.308, 0.733) 0.416
Postoperative duration (months) 0.014 (-0.036, 0.065) 0.544

β = regression coefficient; CI = confidence interval; IOP = intraocular pressure; IOPGAT = IOP measured by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OPIRT = IOP measured by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OPNCT = IOP measured by noncontact tonometer.

REFERENCES

1) Ozeki N, Yuki K, Shiba D, et al.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after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Jpn J Ophthalmol 2012;56:307-11.
crossref pmid pdf
2) Maier AK, Klamann MK, Torun N, et al. Intraocular pressure elevation and post-DSEK glaucoma after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2013;251:1191-8.
crossref pmid pdf
3) Vajaranant TS, Price MO, Price FW, et al. Visual acuity and intraocular pressure after Descemet's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in eyes with and without preexisting glaucoma. Ophthalmology 2009;116:1644-50.
crossref pmid
4) Haddadin RI, Chodosh J. Corneal transplantation and glaucoma. Semin Ophthalmol 2014;29:380-96.
crossref pmid
5) Weinreb RN, Khaw PT. Primary open-angle glaucoma. The Lancet 2004;363:1711-20.
crossref
6) Coleman AL. Glaucoma. Lancet 1999;354:1803-10.
crossref pmid
7) Miglior S, Bertuzzi F. Relationship between intraocular pressure and glaucoma onset and progression. Curr Opin Pharmacol 2013;13:32-5.
crossref pmid
8) Weinreb RN, Aung T, Medeiros FA. The pathophysiology and treatment of glaucoma: a review. JAMA 2014;311:1901-11.
crossref pmid pmc
9) The AGIS Investigators. The Advanced Glaucoma Intervention Study (AGIS) 7: the relationship between control of intraocular pressure and visual field deterioration. Am J Ophthalmol 2000;130:429-40.
crossref pmid
10) Badakere SV, Chary R, Choudhari NS, et al. Agre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of Icare ic200 with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in adult eyes with normal cornea. Ophthalmol Glaucoma 2021;4:238-43.
crossref pmid
11) Pakrou N, Gray T, Mills R, et al. Clinical comparison of the Icare tonometer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J Glaucoma 2008;17:43-7.
crossref pmid
12) Whitacre MM, Stein RA, Hassanein K. The effect of corneal thickness on applanation tonometry. Am J Ophthalmol 1993;115:592-6.
crossref pmid
13) Bertelmann E, Pleyer U, Rieck P. Risk factors for endothelial cell loss post‐keratoplasty. Acta Ophthalmol Scand 2006;84:766-70.
crossref pmid
14) Sihota R, Sharma N, Panda A, et al. Post‐penetrating keratoplasty glaucoma: risk factors, management and visual outcome. Au Aust N Z J Ophthalmol 1998;26:305-9.
crossref
15) Reinhard T, Kallmann C, Cepin A, et al. The influence of glaucoma history on graft survival after penetrating keratoplasty. Graefes Arch Clin Exp Ophthalmol 1997;235:553-7.
crossref pmid pdf
16) Stodtmeister R. Applanation tonometry and correction according to corneal thickness. Acta Ophthalmol Scand 1998;76:319-24.
crossref pmid pdf
17) Lee JU, Park KS, Kim J, et al. Usefulness of the Icare ic200 rebound tonometer in Korean. J Korean Ophthalmol Soc 2021;62:665-73.
crossref pdf
18) Zhang Y, Zhao J, Bian A, et al. Effects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neal curvature on measurement of intraocular pressure with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 and non-contact tonometer. Zhonghua yan ke za Zhi 2009;45:713-8.
pmid
19) Harada Y, Hirose N, Kubota T, Tawara A. The influence of central corneal thickness and corneal curvature radius on the intraocular pressure as measured by different tonometers: noncontact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ers. J Glaucoma 2008;17:619-25.
crossref pmid
20) Salvetat ML, Zeppieri M, Miani F, et al. Comparison of iCare tonometer and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in normal corneas and in eyes with automated lamellar and penetrating keratoplasty. Eye 2011;25:642-50.
crossref pmid pmc pdf
21) Yi K, Bae G, Kong M, Chung ES. Intraocular pressure measured with Goldmann, noncontact, Schiøtz, and dynamic contour tonometry after DSEK. Cornea 2013;32:1089-93.
crossref pmid
22) Price MO, Jordan CS, Moore G, Price FW Jr. Graft rejection episodes after Descemet stripping with endothelial keratoplasty: part two: the statistical analysis of probability and risk factors. Br J Ophthalmol 2009;93:391-5.
crossref pmid
23) Lee K, Lee JY, Moon JI, Park MH. Comparison of Icare rebound tonometer with Goldmann applanation tonometry. J Korean Ophthalmol Soc 2013;54:296-302.
crossref
24) Kim JW, Jung JW. Clinical evaluation of a rebound tonometer in patients who underwent penetrating keratoplas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8;59:1122-8.
crossref pdf
25) Achiron A, Blumenfeld O, Avizemer H, et al.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 after DSAEK by iCare, Goldmann applanation and dynamic contour tonometry: a comparative study. J Fr Ophtalmol 2016;39:822-8.
crossref pmid
26) Vajaranant TS, Price MO, Price FW, et al. Intraocular pressure measurements following Descemet stripping endothelial keratoplasty. Am J Ophthalmol 2008;145:780-6.
crossref pmid
27) Tamçelik N, Atalay E, Cicik E, Özkök A. Comparability of Icare pro rebound tonometer with Goldmann applanation and noncontact tonometer in a wide range of intraocular pressure and central corneal thickness. Ophthalmic Res 2015;54:18-25.
crossref pmid pdf

Biography

최정문 / Jeong Mun Choi
경북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chool of Medicine Kyungpook National University
jkos-2023-64-7-605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