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5); 2023 > Article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관한 분석

국문초록

목적

국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발생 시기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2006년부터 2018년까지 신생아 중환자실에 입원한 미숙아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중증도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과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으로 분류하여 분석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임상적 특징, 병기에 따른 임상적 특징, 미숙아망막병증과 출생 시 체중, 재태연령 간의 연관성, 치료받은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결과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10.9%였고, 평균 월경후연령 34.92주에 진단되었으며,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는 44.97%였다.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은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유의하게 적었고,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유의하게 적었다. 출생 시 체중별, 재태연령별로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중증도는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 27주 미만에서 높은 경향을 보였다. 레이저광응고술을 치료받은 환아의 빈도는 4.51%였는데, 평균 월경후연령 33.75주에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되었고, 35.06주에 1형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되었으며, 36.04주에 치료를 시행하였다.

결론

고위험 미숙아 생존율의 증가로, 특히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 27주 미만의 미숙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과 중증도가 증가하였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미숙아망막병증이 주로 발생하는 시기인 월경후연령 32주부터 36주까지는 모든 미숙아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을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한다.

ABSTRACT

Purpose

This study examined the incidence and time of onset of retinopathy in premature infants in Korea.

Methods

The medical records of premature infants admitted to the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from 2006 to 2018 were reviewed retrospectively. Stages 1 and 2 were classified as mild retinopathy and stages 3 and 4 were considered severe. The incidence, severity, time of diagnosis, associations between retinopathy and birth weight and also gestational age, and clinical characteristics of the treated infants were analyzed.

Results

The incidence of retinopathy was 10.9% with an average time of diagnosis at 34.92 weeks postmenstrual age; the frequency of severe retinopathy was 44.97%.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were significantly lower in premature infants with retinopathy than in normal infants. In addition, birth weight was significantly lower in those with severe retinopathy than in those with mild retinopathy. For birth weight and gestational age,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tended to be higher in those with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and gestational ages of less than 27 weeks. Of the infants, 4.51% underwent laser photocoagulation; the times of diagnosis, progression to type 1 retinopathy, and treatment were 33.75, 35.06, and 36.04 weeks postmenstrual age, respectively.

Conclusions

The incid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e infants increased in those with birth weights less than 1,000 g and gestational ages less than 27 weeks. Such infants should be monitored carefully between 32 to 36 weeks of postmenstrual age, when retinopathy is mainly diagnosed.

미숙아망막병증(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은 미숙아에서 망막혈관의 발달 이상으로 발생하는 일련의 질환군으로서, 지속적으로 진행하는 경우 섬유조직을 동반한 혈관신생과 견인 망막박리가 발생하여, 소아에게 실명까지 유발할 수 있는 위험한 질환이다.1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하면, 10-15%에서 치료가 필요한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하고, 일부에선 치료받았음에도 심각한 시력저하를 유발하게 된다.2-4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인한 실명을 예방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선별검사와 추적 관찰로 미숙아망막병증을 조기 진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최근 산과학과 신생아학의 발달로 고위험군 미숙아들의 생존율이 증가하면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병률과 중증도가 증가하는 추세로,3-5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을 예측하고 적절한 시기에 치료하는 것이 더욱 중요해졌다.
현재까지의 보고에 따르면, Gerull et al6은 출생 시 체중 1,500 g 이하이거나 재태연령 31-32주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시행하였고,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9.3%, 이 중 3기 이상의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은 19.57%였다. Bas et al7은 출생 시 체중 1,500 g 이하이거나 재태연령 32주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하였고,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30%,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은 45.68%로 보고하였다. 국내 연구 Kim et al8은 출생 후 4-7주 또는 재태연령 31-33주 중 빠른 시기에 첫 선별검사를 시행하였고,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30.9%,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은 12.7%로 보고하였다. Han and Chang9은 출생 시 체중 1,500 g 이하이거나 재태연령 32주 미만의 환자를 대상으로 선별검사를 시행하였고,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48.5%,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은 6.48%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국내외 연구들을 살펴보면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중증도는 다양하게 보고되고 있는데, 최근 국내에서 고위험군 미숙아들의 생존율 증가에 따른 미숙아망막병증의 현황에 대해서는 알려진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장기간 대규모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임상적 특징, 병기에 따른 임상적 특징, 출생 시 체중과 재태 연령의 미숙아망막병증 발생과의 연관성, 치료받은 환아의 임상적 특징에 대하여 연구하고 그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대상 및 방법

2006년 1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본원 신생아 중환자실에서 안저검사를 받은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환아들 중 1,551명을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검토하였다. 본 연구는 본원의 임상시험심사위원회와 윤리위원회로부터 승인을 받았다(승인 번호: 2022-06-001).
안저검사 방법은 검사 2시간 전부터 1% tropicamide와 2.5% phenylephrine (Mydrin-P®, Santen, Osaka, Japan)을 양안에 30분 간격으로 3-4회 점안하여 산동을 하였고, 0.5% proparacaine (Alcaine®, Bausch & Lomb, Tampa, FL, USA)으로 점안마취한 후 유아용 개검기로 눈을 벌려 도상검안경, 30 D 렌즈, 안구압박기를 이용하여 검사하였다. 첫 검사는 출생 후 4-6주 후 또는 월경후연령 31-33주 중 빠른 시기에 시행하였고, 이 시기 외 산소 치료 등 소아과 의사에 의해 위험성이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도 안저검사를 시행하였다. 초기 검진 이후 미숙아망막병증이 없는 경우 경과 관찰은 2주마다 이뤄졌으며, 활동성 병변이 관찰될 경우 중증도에 따라 검진 간격을 2일-1주로 조정하여 검사하였다.
본 연구에서 병기 4기 이상 미숙아망막병증 환아는 1명이었고, 중증도에 따른 차이를 확인하기 위해 미숙아망막병증 분류 위원회의 국제 분류(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10에 따라, 병기 1, 2기를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으로, 병기 3, 4기를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으로 묶어 분석하였다. 양안의 병기가 비대칭인 경우 높은 쪽을 기준으로 하였다. Early Treatment for ROP study4의 기준에 따라, 선별검사에서 미숙아망막병증 진단받고 경과 관찰 중, 1형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한 경우 부모의 동의를 얻어 도상검안경을 이용한 레이저광응고술을 실시하였다. 1형 미숙아망막병증은 plus 징후가 있는 Zone I의 모든 병기, 추가 징후가 없더라도 Zone I에서 병기 3기인 경우, 추가 징후가 있으면서 Zone II에서 병기 2기 이상인 경우로 정의하였다.
대상 환아들의 출생 시 체중, 재태연령,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된 시기, 치료받은 시기를 조사하였다. 정상 환아와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비교하였고, 미숙아망막병증 병기에 따른 임상적 특징, 미숙아망막병증과 출생 시 체중, 재태연령 간의 연관성, 치료받은 환아의 임상적 특징을 분석하였다. 통계적 검정은 SPSS version 26 (Statistical Package for the Social Sciences; SPSS INC., Chicago, IL, USA) 통계처리 프로그램을 이용하였으며, 두 군 비교 시 student's t-tes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유의성은 유의수준 0.05 미만(p<0.05)이면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결 과

대상 환아 중 남자는 833명(53.70%), 여자는 718명(46.30%)이었다. 환아들의 출생 시 평균 체중은 1,841.46 ± 549.93 g이었고, 평균 재태연령은 32.32 ± 2.75주였다(Table 1). 이 중 169명(10.90%)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이 발생하였다. 출생 시 평균 체중은 정상 환아가 1,927.02 ± 505.27 g, 미숙아망 막병증 환아가 1,141.7 5 ± 372.66 g이었고, 평균 재태연령은 각각 32.83 ± 2.16주, 28.16 ± 2.62주로,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p<0.001, p<0.001, respectively).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된 시기는 평균 월경후연령 34.92 ± 2.64주였고, 이 중 가장 빠르게 진단된 시기는 월경후연령 31.85주였다(Table 2).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안저 소견상 demarcation line (D-line)이 관찰된 시기는 평균 월경후연령 34.92 ± 2.64주였고, ridge가 관찰된 시기는 평균 월경후연령 35.01 ± 2.30주, extraretinal fibrovascular proliferation (EFP) 소견이 관찰된 시기는 평균 월경후연령 35.16 ± 1.82주, plus sign이 관찰된 시기는 평균 월경후연령 35.03 ± 1.93주였다. plus sign이 보였던 환아는 모두 병기 3기 이상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하였다(Table 3).
중증도에 따라 미숙아망막병증을 분류하였을 때,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병기 1, 2기)은 93명(55.03%),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병기 3, 4기)은 76명(44.97%)이었다. 출생 시 평균 체중은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이 1,253.55 ± 391.67 g,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은 1,004.93 ± 293.91 g이었고, 평균 재태연령은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이 29.45 ± 2.49주,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은 27.07 ± 2.32주로,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다(p<0.001, p<0.001, respectively).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된 평균 월경후연령은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이 35.17 ± 2.53주,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은 33.86 ± 1.92주로 두 군 간 통계적인 유의성은 없었다(p=0.125) (Table 4).
출생 시 체중이 작을수록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출생 시 체중 750 g 미만에서 정상 환아 2명,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17명(89.47%), 750-999 g에서 정상 환아 32명,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52명(61.90%)으로 1,000 g 미만에서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더 많았고, 1,000 g 이상에서는 정상 환아가 더 많았다. 출생 시 체중에 따른 미숙아망막병증의 중증도는 1,000 g을 기준으로 1,000 g 미만에서는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가 더 높았고, 1,000 g 이상에서는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가 더 높았다(Table 5).
재태연령이 낮을수록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빈도가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다. 재태연령 24주 미만에서 정상 환아 0명,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10명(100%), 25-26주에 정상 환아 8명,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37명(82.22%)으로, 27주 미만에서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더 많았고, 27주 이상에서는 정상 환아가 더 많았다. 재태연령에 따른 미숙아 망막병증의 중증도는 27주를 기준으로 27주 미만에서는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가 더 높았고, 27주 이상에서는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 빈도가 더 높았다(Table 6).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중 레이저광응고술 치료를 받은 환아는 70명(4.51%)으로, 모든 환자는 도상검안경을 이용한 레이저광응고술을 시행받았고, 수술적 치료가 필요한 환아는 없었다. 출생 시 평균 체중은 977.00 ± 256.89 g이었고, 평균 재태연령은 26.90 ± 2.36주였다. 평균 월경후연령 33.75 ± 1.72주에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단되었고, 평균 월경후 연령 35.06 ± 1.93주에 1형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되었으며, 평균 월경후연령 36.04 ± 2.30주에 치료를 시행하였다(Table 7).

고 찰

미숙아망막병증은 후천적 소아 실명의 주요 원인으로,1,11,12 특히 진단 시기가 늦어지게 되어 망막박리나 유리체출혈 등이 발생하면 치료가 힘들어지거나 후유증이 남을 수 있다. 또한 최근 산과학의 발달과 신생아 집중 치료의 전반적인 향상으로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적은 고위험군 미숙아 생존율이 높아지면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이 증가하였고 중증 미숙아망막병증도 늘고 있다.3-5 이에 따라, 적절한 검진 대상을 설정하고 적절한 시기에 선별검사를 시행하여, 미숙아망막병증을 조기에 진단하고 치료 시기를 놓치지 않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본 연구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은 10.9%였고, 이 중에서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빈도는 44.97%였다. 미숙아망막병증은 평균 월경후연령 34.92주에 진단되었고, 월경후연령 31.85주 이후부터 미숙아망막병증의 변화가 시작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진단 이후 경과 관찰 중에 안저 소견상 ridge는 평균 월경후연령 35.01주에, EFP는 35.16주에 발생하였다.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적었고, 경도와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비교 시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에서 유의하게 더 적었다. 특히,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 27주 미만에서 정상 환아보다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수가 더 많았고, 경도의 미숙아망막병증보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에서 더 높은 빈도를 보였다.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76명 중 70명이 치료가 필요한 1형 미숙아망막병증으로 진행하였다. 1형 미숙아망막병증은 평균 월경후연령 33.75주에 진단되었고, 평균 월경후연령 35.06주에 치료가 시행되어, 진단 후 1주일 이내에 치료가 시행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에 대한 다른 연구들의 결과를 살펴보면, Gerull et al6은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9.3%, 3기 이상의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은 19.57%로 보고하였고, Bas et al7은 각각 30%, 45.68%, Isaza et al13은 각각 40.4%, 22.80%로 보고하였다. 국내 보고에서는 Kim et al8은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을 30.9%, 중증 미숙아망막병증 빈도는 12.7%로 보고하였고, Oh et al14은 각각 43.5%, 23.3%로 보고하였다. 이처럼 연구에 따라서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10-40%,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의 빈도는 20-40%로 다양하게 보고되었는데, 본 연구에서는 다른 논문들의 결과와 비교하였을 때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은 낮은 반면,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빈도는 높았다. 이러한 발생률의 차이에 대해서 저자들은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이유를 생각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이 낮은 이유에 대해서는 첫 번째, 본 연구에서는 소아과 의사가 안과검사를 의뢰한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경한 미숙아를 일부 대상에 포함하고 있기 때문에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이 비교적 낮게 나왔을 것이라는 추측이다. 두 번째, 이전에는 임신 중 합병증이 동반된 경우에 분만을 지연시키지 않고 산모와 태아의 건강을 위해서 분만을 일찍 해야 하는 상황이 많았다면, 최근에는 조산을 방지하는 약물의 발달, 임신 중 고혈압 등의 임신 중 합병증 관리의 발달로 합병증이 동반된 산모의 임신 기간을 연장할 수 있기 때문에 미숙아 출생률이 감소하였고, 이로 인해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률도 낮아졌을 것이라는 추측이다.15-17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의 증가 원인으로는 이미 앞에서 언급하였지만 미숙아 집중 치료의 발달로 고위험 미숙아 생존율이 높아졌기 때문으로 추측하였다.3-5 하지만 이러한 발생률 변화의 이유에 대해서는 아직 논란의 여지가 있으며, 이후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또한 미숙아망막병증 연구마다 발생률의 차이를 보이는 것은 중증 미숙아망막병증에 대한 정의가 달랐고, 연구마다 대상 환아의 수와 대상 선별 기준의 차이, 기관별 첫 안저검사 시기, 추적검사 기간 기준의 차이, 인종으로 인한 차이도 위와 같은 결과에 일부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생각된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시기에 대해서도 많은 연구 결과들이 있다. Flynn et al18은 미숙아망막병증의 80%가 월경 후연령 35-45주 사이에 대부분 진단되었다고 보고하였고, Palmer et al19은 95%가 월경후연령 32주 이후에 진단된다고 하였으며, Phelps20은 미숙아망막병증이 월경후연령 32주 이전에는 잘 발생하지 않았고, 월경후연령 38주경에 가장 많이 발생한다고 하였다. 국내에서는 Park and Kim21이 미숙아망막병증은 평균 월경후연령 36.3 ± 1.5주에 진단되었다고 보고하였다. 이 연구들에서 모두 미숙아망막병증이 주로 발생하는 시기를 고려하여 안저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타당하다고 말하고 있다. 최근 2018년 미국안과학회22에서는 재태연령 27주 미만인 경우 월경후연령 31주에, 이후 출생한 미숙아의 경우에는 출생 후 4주 후에 미숙아망막병증 선별검사를 시행할 것을 권유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도 비슷한 결과를 보이고 있으며, 이를 근거로 하였을 때 고위험 미숙아들은 처음 미숙아망막병증의 변화가 발생할 수 있는 시기인 월경후연령 32주 전에 첫 검사를 시행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며, 미숙아망막병증의 변화가 주로 월경후 연령 34주에서 36주 사이에 있었던 것을 고려하였을 때, 특히 이 시기에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여부를 주의 깊게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겠다.
미숙아망막병증 발생의 위험인자는 다양하게 논의되고 있으나,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확실한 위험인자로 알려져 있다.1-3 Palmer et al19은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이 출생 시 체중이 750 g 미만에서 90%, 750-999 g에서 78%, 1,000-1,250 g에서 47%로 보고하였고, Fleck et al23은 750 g 미만에서 83%, 750-999 g에서 65%, 1,000-1,250 g에서 21%의 발생률로 보고하였다. 이에 비해 국내 보고에서는 Hwang et al24은 출생 시 평균 체중은 1,390 ± 233 g,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에서 60%, 1,000-1,250 g에서 48%, 1,250-1,500 g에서 30.4%, 1,500-1,750 g에서 9.5%, 1,750-2,000 g에서 14.7%의 발생률로 보고하였고, Park and Kim21은 출생 시 평균 체중 1,450 ± 352 g, 1,000 g 미만에서 100%, 1,000-1,249 g에서 55.2%, 1,250-1,499 g에서 22%, 1,500-1,749 g에서 11.8%, 1,750-1,999 g에서 4.3%의 발생률로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 출생 시 평균 체중은 과거 국내 논문들과 비교하였을 때 가장 낮았는데, 이는 저체중 환아의 생존율 증가로 인한 차이로 생각된다. 모든 연구에서 출생 시 체중이 적을수록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이 증가하였으며, 모든 연구에서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에서 발생 빈도 60%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재태연령과의 연관성을 살펴보면, Gunn et al25은 미숙아망막병증 환아의 평균 재태연령은 28.2 ± 2.4주였고, 재태연령 28주 이하일 때 주로 발생한다고 보고하였고, Palmer et al19은 평균 재태연령은 27.9 ± 2.2주, 27주 이하에서 83.4%, 28-31주에서 55.3%, 32주 이상에서 29.5% 발생률을 보고하였다. 국내 연구에서는 Park et al26은 평균 재태연령은 29.7 ± 4.17주였고, 재태연령 28주 미만에서 100%, 29주 미만에서 96%, 30주 미만에서 80.4%로 보고하였고, Park and Kim21은 평균 재태연령 30.9주, 28주 이하에서 75%, 30주 이하에서 34.5%, 32주 이하에서 18.8%의 발생률을 보고하였다. Hwang et al24은 평균 재태연령은 30.3 ± 1.8주, 28주 미만에서 72.7%, 28-29주에서 31.7%, 30-31주에서 28.4%, 32-33주에서 9.6%의 발생률을 보였다. 해외 연구에서는 평균 재태연령이 28주, 국내 연구에서는 30주로, 본 연구는 해외 연구와 유사하게 재태연령 28주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이 가장 많이 진단되었다. 대부분의 연구에서 재태연령이 짧을수록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빈도가 높다고 보고하고 있으나, 국내외 연구에서는 재태연령 28주 이하에서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이 70%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보이고 있었고, 본 연구에서는 재태연령 27주 미만에서 미숙아망막병증이 더 많이 발생하였고, 발생률은 80% 이상으로 높은 빈도를 보였다.
미숙아망막병증 치료 빈도에 대한 다른 연구들을 살펴보면, Gerull et al6은 미숙아망막병증 중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의 빈도가 1.2%로 보고하였고, Bas et al7은 16.5%, Isaza et al13은 5.67%로 보고하였다. 국내 보고에서는 Kim et al8은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중 8.7%가 치료를 시행받았고, Oh et al14은 43.7%, Kim et al27은 39.47%로 보고하였다. 과거 국내 연구에서는 치료받은 환아의 빈도가 40% 정도로 높았으나, 해외 연구와 본 연구에서는 5% 정도로 치료받은 환자의 빈도가 낮았다. 본 연구에서 치료 빈도가 낮은 이유는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유사하게, 전체 대상 환아의 수가 많았고 대상 환아 선별 기준에서 재태연령 37주 미만의 미숙아를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다른 논문에 비해 상대적으로 건강한 미숙아가 다수 포함되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로 인해 전체 대상 환아 대비 치료가 필요했던 환아의 빈도가 낮은 것으로 생각된다.
본 연구는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 외에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인자들, 즉 환아의 전신 상태와 동반된 질환 등을 고려하지 않았다는 한계점이 있다. 하지만 본 연구는 다양한 위험인자와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의 관계를 보려고 한 것이 아니며, 국내 대규모 인원을 대상으로 최근 산과학과 신생아학 발달로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중증도가 어떻게 변하였는지 살펴보려 하였다. 또한 미숙아망막병증 환아 중 D-line, ridge, EFP, plus sign 소견들이 각각 월경후연령 몇 주에 나타났는지 확인하여,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과 진행하는 양상을 시기별로 정리하고자 하였다. 이를 근거로 미숙아들의 적절한 안저 검사 시행 시기와 특히 주의 깊게 관찰해야 하는 시기 등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고자 함이었다.
결론적으로 최근 고위험군 미숙아 생존율 증가와 함께, 중증도 이상의 미숙아망막병증 발생 빈도가 증가하였다.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여부를 예측하는 데 있어 출생 시 체중과 재태연령이 유의한 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특히 출생 시 체중 1,000 g 미만, 재태연령이 27주 미만의 경우 미숙아망막병증 발생률과 중증도가 높은 경향을 보였다. 이에 해당하는 미숙아들은 미숙아망막병증이 주로 발생하고 진행하는 시기인 월경후연령 32주부터 36주까지 미숙아망막병증의 발생 여부와 진행 상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여야 할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Table 1.
Baseline characteristic of premature infants
Characteristic Results
Number of infants 1,551
Sex
 Male 833 (53.70)
 Female 718 (46.30)
Birth weight (g) 1,841.46 ± 549.93 (550.0-4,400.0)
Gestational age (weeks) 32.32 ± 2.75 (23.0-37.0)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Table 2.
Clinical characteristic of premature infants with and without retinopathy of prematurity
Characteristics Number of infant
No ROP ROP p-value
Infants 1,382 (89.10) 169 (10.90)
Birth weight (g) 1,927.02 ± 505.27 (550.0-4,400.0) 1,141.75 ± 372.66 (550.0-2,370.0) <0.001*
Gestational age (weeks) 32.83 ± 2.16 (25.0-36.86) 28.16 ± 2.62 (23.0-37.0) <0.001*
PMA of diagnosis of ROP (weeks) 34.92 ± 2.64 (31.85-41.0)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ROP = retinopathy of prematurity; PMA = post menstrual age.

* Student’s t-test.

Table 3.
Fundus findings of premature infants with retinopathy of prematurity
Characteristics Stage
Total 1 2 3 4
PMA of appearance of D-line 34.92 ± 2.64 (31.85-41.0) 35.21 ± 2.60 (32.0-41.0) 34.14 ± 2.45 (32.0-37.29) 33.86 ± 1.90 (31.8 -38.43) 34.14
PMA of appearance of ridge 35.01 ± 2.30 (32.0-42.0) - 35.04 ± 2.60 (32.0-41.0) 34.98 ± 1.84 (33.0-42.0) 35.14
PMA of appearance of EFP 35.16 ± 1.82 (33.14-42.71) - - 35.15 ± 1.82 (33.14-42.71) 35.57
PMA of appearance of plus sign 35.03 ± 1.93 (33.14-42.0) - - 35.02 ± 1.93 (33.14-42.0) 35.5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PMA = post menstrual age; D-line = demarcation line; EFP = extraretinal fibrovascular proliferation.

Table 4.
Clinical characteristic of premature infants with retinopathy of prematurity according to stage
Characteristics Stage
1 2 3 4 1&2 3&4 p-value
Infants 53 (31.36) 40 (23.69) 75 (44.38) 1 (0.59) 93 (55.03) 76 (44.97)
Birth weight (g) 1,345.47 ± 401.49 (640.0-2,370.0) 1,131.75 ± 352.41 (550.0-2,150.0) 997.93 ± 289.44 (560.0-2,060.0) 1,530.0 1,253.55 ± 391.67 (550.0-2,370.0) 1,004.93 ± 293.91(560.0-2,060.0) <0.001*
Gestational age (weeks) 29.70 ± 2.51 (26.14-37.0) 28.20 ± 2.32 (24.14-33.86) 27.03 ± 2.31 (23.0-35.71) 30.0 29.45 ± 2.49 (24.14-37.0) 27.07 ± 2.32 (23.0-35.71) <0.001*
PMA of initial diagnosis of ROP (weeks) 35.21 ± 2.60 (32.0-41.0) 34.14 ± 2.45 (32.0-37.29) 33.86 ± 1.90 (31.8-38.43) 34.14 35.17 ± 2.53 (32.0-41.0) 33.86 ± 1.92 (31.85-38.43) 0.125*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PMA = post menstrual age; ROP = retinopathy of prematurity.

* Student’s t-test

Table 5.
Incid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ccording to birth weight
Birth weight (g) Infant
Stage
No ROP ROP 1 2 3 4 1&2 3&4
<750 2 17 (89.47) 2 3 12 0 5 (26.32) 12 (63.16)
750-999 32 52 (61.90) 10 12 30 0 22 (26.19) 30 (35.71)
1,000-1,249 71 44 (38.26) 13 15 16 0 28 (24.35) 16 (13.91)
1,250-1,499 155 26 (14.36) 11 4 11 0 15 (8.29) 11 (6.08)
1,500-1,749 246 19 (7.17) 9 4 5 1 13 (4.91) 6 (2.26)
1,750-1,999 294 3 (1.01) 3 0 0 0 3 (1.01) 0 (0.00)
2,000-2,249 252 7 (2.70) 4 2 1 0 6 (2.32) 1 (0.39)
2,250-2,499 160 1 (0.62) 1 0 0 0 1 (0.62) 0 (0.00)
2,500≤ 170 0 (0.00) 0 0 0 0 0 (0.00) 0 (0.00)
Total 1,382 169 (10.90) 53 40 75 1 93 (6.00) 76 (4.9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ROP = retinopathy of prematurity.

Table 6.
Incid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ccording to gestational age
Gestational age (weeks) Infant
Stage
No ROP ROP 1 2 3 4 1&2 3&4
23-24 0 10 (100.00) 0 2 8 0 2 (20.00) 8 (80.00)
25-26 8 37 (82.22) 5 5 27 0 10 (22.22) 27 (60.00)
27-28 62 54 (46.55) 12 17 25 0 29 (25.00) 25 (21.55)
29-30 150 35 (18.92) 17 9 8 1 26 (14.05) 9 (4.86)
31-32 332 24 (6.74) 14 5 5 0 19 (5.34) 5 (1.40)
33-34 471 6 (1.26) 3 2 1 0 5 (1.05) 1 (0.21)
35≥ 359 3 (0.83) 2 0 1 0 2 (0.55) 1 (0.28)
Total 1,382 169 (10.90) 53 40 75 1 93 (6.00) 76 (4.90)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ROP = retinopathy of prematurity.

Table 7.
Clinical characteristic of premature infants received treatment
Characteristics Results
Infants 70 (4.51)
Birth weight (g) 977.0 ± 256.89 (560.0-1,540.0)
Gestational age (weeks) 26.90 ± 2.36 (23.0-35.0)
PMA of initial diagnosis of ROP (weeks) 33.75 ± 1.72 (31.85-36.14)
PMA of progression to type 1 ROP (weeks) 35.06 ± 1.93 (33.14-42.0)
PMA of treatment (weeks) 36.04 ± 2.30 (32.57-44.0)

Result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range) or number (%).

PMA = post menstrual age; ROP = retinopathy of prematurity.

REFERENCES

1) Tasman W, Patz A, McNamara JA, et 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the life of a lifetime disease. Am J Ophthalmol 2006;141:167-74.
crossref pmid
2) Rhim WI, Lew H, Yun YS. Clinical features of risk factors and regress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1199-205.
3) Vander JF, McNamara JA, Tasman W, Brown GC. Revised indications for early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rch Ophthalmol 2005;123:406-7.
crossref
4) Early Treatment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Cooperative Group. Revised indications for the treatment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esults of the early treatment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randomized trial. Arch Ophthalmol 2003;121:1684-94.
crossref pmid
5) Kim HE, Song IG, Chung SH, et al. Trends in birth weight and the incidence of low birth weight and advanced maternal age in Korea between 1993 and 2016. J Korean Med Sci 2019;34:e34.
crossref pmid pmc pdf
6) Gerull R, Brauer V, Bassler D, et al. Incid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OP) and ROP treatment in Switzerland 2006-2015: a population-based analysis. Arch Dis Child Fetal Neonatal Ed 2018;103:F337-42.
crossref pmid
7) Bas AY, Koc E, Dilmen U. Incid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Turkey. Br J Ophthalmol 2015;99:1311-4.
crossref pmid
8) Kim KE, Kim JH, Kim EK, et al. Association between weight gain and the occurrence and severity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1;52:1071-6.
crossref
9) Han GH, Chang JW. Risk Factors that affects progression of type 2 retinopathy of prematur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19;60:953-8.
crossref pdf
10) International Committee for the Classificat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The international classification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revisited. Arch Ophthalmol 2005;123:991-9.
crossref pmid
11) Thylefors B. A global initiative for the elimination of avoidable blindness. Community Eye Health 1998;11:1-3.
crossref pmid pmc
12) Steinkuller PG, Du L, Gilbert C, et al. Childhood blindness. J AAPOS 1999;3:26-32.
crossref pmid
13) Isaza G, Arora S, Bal M, Chaudhary V. Incidenc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and risk factors among premature infants at a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in Canada. J Pediatr Ophthalmol Strabismus 2013;50:27-32.
crossref pmid
14) Oh JY, Kim SJ, Yu YS, Choi JH.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in premature twins. J Korean Ophthalmol Soc 2004;45:259-65.
15) Koo YJ, Lee DH. Hypertension in pregnancy. J Korean Med Assoc 2016;59:24-30.
crossref pdf
16) Sibai BM, Mercer BM, Schiff E, Friedman SA. Aggressive ver-sus expectant management of severe preeclampsia at 28 to 32 weeks' gestation: a randomized controlled trial. Am J Obstet Gynecol 1994;171:818-22.
crossref pmid
17) Publications Committee; Society for Maternal-Fetal Medicine, Sibai BM. Evaluation and management of severe preeclampsia before 34 weeks' gestation. Am J Obstet Gynecol 2011;205:191-8.
crossref pmid
18) Flynn JT, Bancalari E, Bachynski BN, et 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Diagnosis, severity, and natural history. Ophthalmology 1987;94:620-9.
crossref pmid
19) Palmer EA, Flynn JT, Hardy RJ, et al. Incidence and early course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Ophthalmology 1991;98:1628-40.
crossref pmid
20) Phelps DL. Retinopathy of prematurity. Pediatr Rev 1995;16:50-56.
crossref pmid pdf
21) Park EA, Kim GH. A clinical study for the time of development and risk factors of retinopathy of prematurity. Clin Exp Pediatr 1997;40:945-54.
22) American Academy of Pediatrics Section on Ophthalmology; American Academy of Ophthalmology; American Association for Pediatric Ophthalmology and Strabismus; American Association of Certified Orthoptists. Screening examination of premature infants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Pediatrics 2018;142:e20183061.
crossref pmid
23) Fleck BW, Wright E, Dhillon B, et al. An audit of the 1995 royal college of ophthalmologists guidelines for screening for retinopathy of prematurity applied retrospectively in one regional neonatal intensive care unit. Eye (Lond) 1995;9:31-5.
pmid
24) Hwang MJ, Cho CY, Choi YY, et al. Retinopathy of prematurity and perinatal risk factors. J Korean Soc Neonatol 1999;6:106-15.
25) Gunn TR, Easdown J, Outerbridge EW, Aranda JV. Risk factors in retrolental fibroplasia. Pediatrics 1980;65:1096-100.
crossref pmid pdf
26) Park JD, Kweon JH, Kim WH, et al. Incidence and risk factors of the retinopathy of prematurity. Clin Exp Pediatr 1996;39:326-37.
27) Kim C, Kim SJ, Yu YS. Clinical characteristic and prognosis of asymmetric retinopathy of prematurity. J Korean Ophthalmol Soc 2003;44:107-14.

Biography

김민성 / Min Seong Kim
순천향대학교 의과대학 순천향대학교 천안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oonchunhyang University Cheonan Hospital
jkos-2023-64-5-408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1001, Jeokseon Hyundai BD
130, Sajik-ro, Jongno-gu, Seoul 03170, Korea
Tel: +82-2-2271-6603    Fax: +82-2-2277-5194    E-mail: kos@ijpnc.com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