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4(2); 2023 > Article
눈꺼풀 병변으로 진단된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 암종 1예

국문초록

목적

눈꺼풀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조직검사를 시행하여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 암종을 진단한 사례를 경험하였기에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 요약

64세 남자 환자가 1년 전부터 발생한 오른쪽 아래눈꺼풀의 3×3 mm 크기의 무통성 분홍색 단일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 오른쪽 아래눈꺼풀에서 병변의 절제 및 생검을 시행하였으며, 조직검사에서 국소적인 점액 생성 및 간헐적인 샘 구조와 함께 호산성의 염색질 및 다형성 핵을 갖는 바닥세포모양의 결절(basaloid nodule)이 확인되었다. 면역조직 화학검사 소견상 cytokeratin 7 (CK-7), tumor protein 63 (P63), androgen receptor (AR) 표지자에 양성 소견을 보여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 암종에 합당한 결과를 받았다. 조직검사 시 생검으로 병변 부위를 모두 제거한 이후 재발 없이 6개월째 경과 관찰 중이다.

결론

눈꺼풀의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 암종은 매우 드문 저등급의 땀샘 종양으로, 병변 부위의 완전한 외과적 절제가 이루어지는 경우 재발 없이 양호한 예후를 가지는 질환이다. 눈꺼풀의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환자에서 이를 진단한 사례를 경험하여 이에 대해 보고하고자 한다.

ABSTRACT

Purpose

We report an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diagnosed by biopsy in a patient who presented with an eyelid mass.

Case summary

A 64-year-old male presented with a 3 × 3 mm solitary, painless pinkish mass on the right lower eyelid that had developed over the past year. The mass was excised and a biopsy was performed. The pathological findings included basaloid nodules composed of cells with eosinophilic cytoplasm, focal mucin production, and occasional glandular structures. Immunohistochemical examination was positive for cytokeratin 7 (CK-7), tumor protein 63 (P63), and the androgen receptor (AR). The patient was thus diagnosed with an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The lesion healed, and there has been no sign of recurrence over 6 months of follow-up.

Conclusions

An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is a very rare low-grade glandular malignancy that has not been reported in Korea previously. The prognosis is good (i.e., there is no recurrence) when the lesion is completely surgically excised. We thought it would be useful to report this very rare case.

내분비 점액 생성 땀샘 암종(endocrine mucin 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EMPSGC)은 매우 드문 땀샘 기원의 저분화된 종양으로서 1997년 Flieder 등에 의하여 처음 기술되었다.1 EMPSGC는 임상적으로 고령에서 천천히 자라는 피부색의 구진 혹은 결절로 나타나는 것이 특징이며, 눈꺼풀에 호발하나 뺨, 두피, 및 얼굴 외 부위에서도 드물게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2,3 이러한 임상적 특징으로 인하여 EMPSGC는 기저세포암(basal cell carcinoma) 혹은 기타 양성 신생물로 오인되고는 한다.2 EMPSGC는 극히 드문 암종으로서 국내에서는 아직까지 보고된 바가 없다. 이에 저자들은 점진적으로 자라는 아래눈꺼풀의 무통성 종괴를 주소로 내원한 64세 남자 환자에서, 절제생검 이후 조직학적으로 EMPSGC로 확진된 드문 증례를 경험하고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보고

환자는 64세 남자로 약 1년 전부터 우안 아래눈꺼풀 가측 2/3 지점에 발생한 3×3 mm 크기의 무통성의 분홍색 단일 종괴를 주소로 내원하였다(Fig. 1). 이학적 검사상 시력 및 안압 모두 정상 범위였고 피부 병변 외에 특이 소견은 없었다. 우안 아래눈꺼풀 종괴 부위의 눈썹 소실 및 종괴 하측 모세혈관 확장, 피부비늘벗음(scaling)이 관찰되었고, 1년간 종괴의 크기는 증가하지 않았다고 하였다. 환자의 과거력에서 특이 소견은 없었다.
이에 정확한 진단과 치료를 위하여 수술적 절제 및 생검을 실시하였다. 수술은 융기된 종괴를 중심으로 표층생검(shaving excision)를 시행하였고 추후 병리 결과에 따라 2차적 치료를 계획하였다. 절제된 종괴는 1×2 mm 크기의 분홍색 연조직이었으며, 병리조직검사에서 호산성의 염색질 및 다형성 핵을 갖는 바닥세포 모양의 결절(basaloid nodule)을 관찰할 수 있었다(Fig. 2). 또한, 이러한 종양세포들은 샘 구조(glandular structure)를 구성하기도 하였으며 국소적인 뮤신 생성(focal mucin production)을 보였다. 수술 부위 경계를 침범한 종양세포는 관찰되지 않았다. 면역조직 화학검사 소견상 신경내분비학적 기원을 가진 종양에서 발견되는4 chromogranin A,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CD56a), 샘암종에서 발견되는4 GATA-binding protein 3 (GATA3), androgen receptor (AR), gross cystic disease fluid protein 15 (GCDFP-15) 외에도 이전에 보고된 EMPSGC에서 확인된 바 있는5 neuron specific enolase (NSE), cytokeratin 7 (CK-7), tumor protein 63 (P63), tumor protein 40 (P40)에 양성 소견을 보여 EMGPSC에 합당하였다(Fig. 3). 환자는 추가 치료를 원하지 않았고 수술 6개월이 지난 현재까지 환자는 재발이나 전이 소견 없이 경과 관찰 중이다.

고 찰

EMPSGC는 매우 드문 종양으로서 아직 정확한 병인과 역학적 특성들에 대해서는 잘 알려져 있지 않다. 그러나 이전 연구들에 의하면 EMPSGC의 평균 발생 나이는 약 60-70세로 고령에서 흔히 발생하였고, 남성보다는 여성에서 호발하며 아래눈꺼풀에 발생하는 경우가 가장 흔하였다.3,6-8 종양은 대개 서서히 점진적으로 자라는 무통성 종괴로서 평균적으로 2 cm 이하의 크기(범위 7-20 mm)를 가지며 평균 유병 기간은 9.7개월이었다.3 치료로는 종양절제술과 모스수술(Mohs operation) 등과 같은 외과적 절제술이 시행되었다. 모스수술이 단순 절제술보다 더 적절한 것으로 사료되나 동결절편검사를 통하여 수술 부위 병변 경계면의 음성이 확인되는 경우 예후 또한 양호한 것으로 알려져 있다.3 치료 후 재발은 약 9.5%로 발생할 수 있지만,6 이로부터 전이되는 병변은 극히 드물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보고된 재발성 종양의 경우에도 외과적 절제로 치료되었으며, 이러한 재발성 종양에서는 일반적으로 완전한 절제를 하는 것이 권고되고 있다.6
EMPSGC는 조직학적으로 신경내분비학적 분화를 보이는 저등급 피부 부속기 암종으로, 다양한 크기의 고형, 낭성, 혹은 부분적으로 낭성인 결절로 나타난다. 종양은 경계가 매끄럽고 부분적으로 유두 증식으로 채워진 확장된 관으로 구성된다. 또한, 확장된 관은 비정형 상피세포와 근상피세포로 둘러싸여 있으며, 상피세포는 균일하고 크기가 중소형이며 호산구성 세포질이 있는 타원형 내지 다각형이다. 세포의 핵은 원형 혹은 타원형의 중등도의 핵 다형성(nuclear pleomorphism)을 보이고,9,10 세포 내 및 세포 외 점액 성분이 확인되지만 세포 외 점액이 풍부하지는 않다.10 신경내분비 분화를 보이기 때문에 면역화학염색상 synaptophysin, chromogranin과 같은 신경내분비 표지자들(neuroendocrine marker)에 양성을 보이는 경우가 대부분이지만, 이들 표지자에 음성을 보인다고 해서 진단을 완전히 배제할 수는 없다.10,11 보고된 거의 모든 증례에서 에스트로겐과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에 대해서는 양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알려져 있고, 본 증례에서도 이러한 신경내분비 및 에스트로겐, 프로게스테론 수용체에 대해 양성 소견이 확인되었다.
EMPSGC는 병리학적으로 유두상유방암(solid papillary carcinoma of the breast)과 감별이 어려울 수 있다.5,10 EMPSGC와 유두상유방암 모두 유두상, 낭종성 구조들을 보이고 면역화학염색에서 신경내분비 표지자뿐 아니라 에스트로겐 수용체, 프로게스테론 수용체, CK-7, GCDFP-15에 대하여 모두 양성 소견을 나타내기 때문이다.5,10 따라서 이러한 병리학적 소견이 보일 때 철저한 신체검사 및 영상검사를 통하여 원발성 유방암을 우선적으로 배제해주는 것이 필수적이나,3 본 증례에서는 초진 시 조직검사 후 병변 부위가 완전절제되었고 유방암과 관련된 신체검사 소견 확인되지 않아 전신검사를 시행하지 않았으며, 6개월 후 경과 관찰 시 양전자 방출 컴퓨터 단층 촬영(Positron emission tomography-computed tomography)을 함께 시행하여 악성종양 등의 전신질환 동반 여부 확인 예정이다.
대부분의 EMPSGC은 단독 병변으로 존재한다. 그러나 현재까지 보고된 문헌에서는 다발성으로 발생한 병변의 몇몇 사례가 존재하며, 더 드물게는 양쪽 눈꺼풀에 발생하는 경우도 보고되어 있다. Wang et al5이 양안에 발생한 EMPSGC에 동반된 원발성 점액성 암종을 보고한 예가 있으나, 아직까지 EMPSGC 단독으로 양안에 발생이 보고된 사례는 확인되지 않고 있다.
EMPSGC의 치료로는, 절제생검술(excisional biopsy)이나 모스수술의 방법을 통한 병변 부위의 완전한 외과적 절제가 요구된다. 다만 병변이 여러 곳에 있거나, 병변이 불연속적으로 존재하는 사례에서 절제생검술을 시행하였을 때 미용적 또는 기능적 문제가 발생할 수 있어 이러한 유형의 환자에게는 절제생검술보다 모스수술이 더 적합하다고 알려져 있다.12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통적인 방법의 절제생검술 또한 적절한 경계를 확보하여 시행한다면 비교적 예후가 좋은 것으로 알려져 있다.13
문헌고찰상 EMPSGC의 재발은 매우 드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다만 기존에 국외에서 보고된 눈꺼풀의 EMPSGC 환자에서, 초기에 병변 부위의 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경우에는 17개월 후까지 재발 소견 없이 경과 관찰되었으나 초기에 병변 부위의 불완전 절제가 이루어진 다른 증례에서는 38개월 후에 국소적 재발 소견이 보고된 예가 있었다.2 드물게 좌안 윗눈꺼풀의 종괴에서 완전한 외과적 절제술을 시행한 뒤 EMPSGC를 진단받은 환자에서 9년 뒤 이하선(parotid gland) 및 축성 골격(axial skeleton)으로의 원격전이가 보고된 예가 있으나,14 아직까지는 여러 연구 결과들로부터 EMPSGC 병변 부위의 완전한 절제는 병변의 제자리 암종, 또는 재발 및 침습성 암종으로의 진행을 줄이기 위한 적절한 방법으로 알려져 있다.6,7,11 다만, 적절한 수술 경계 부위에 따른 예후나, 병변의 절제술을 시행한 뒤 국소 재발 여부 및 원격전이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필요한 장기 추적 관찰 기간에 대한 문헌보고는 충분히 알려져 있지 않아 이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도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증례의 경우 초기에 전신 악성 질환의 감별을 진행하지는 않았으나 절제생검을 통하여 눈꺼풀 병변부 위의 절제가 이루어진 뒤 6개월째까지 재발 소견 없이 안정적인 상태로, 추후 재발 여부 확인을 위하여 장기적인 추적 관찰이 필요하다.
결론적으로 눈꺼풀의 EMPSGC는 매우 드물고 동시에 다른 암종들과는 구분되는 낮은 등급의 땀샘 종양이며, 이는 침습성 점액암과 관련이 있고 국소적인 재발 가능성이 있음을 감안할 때 면밀한 추적 관찰과 함께 병변 부위의 완전한 외과적 절제가 필수적이다. 본 환자는 오른쪽 아래눈꺼풀에 발생한 덩이를 주소로 내원하여 EMPSGC로 진단된 증례로 드물지만 감별이 필요한 질환으로 생각되어 이를 보고하는 바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Solitary, skin-colored to pinkish mass on the right lower eyelid.
jkos-2023-64-2-149f1.jpg
Figure 2.
Histopathological examination revealed basaloid nodules composed of cells with eosinophilic cytoplasm, with focal mucin production and occasional glandular structures. (A) Hematoxylin and Eosin [H&E] stain, ×100. (B) H&E stain, ×400.
jkos-2023-64-2-149f2.jpg
Figure 3.
In immunohistochemical analysis, tumor cells were positive for chromogranin A, gross cystic disease fluid protein 15 (GCDFP-15), neuron specific enolase (NSE), neural cell adhesion molecule (CD56a), cytokeratin 7 (CK-7), tumor protein 63 (P63), P40, GATA-binding protein 3 (GATA3), androgen receptor (AR). (A) CK-7. (B) Cytokeratin 20 (CK-20). (C) Ki67. (D) P63. (E) GCDFP-15. (F) AR. (G) GATA3. (H) NSE. (I) Tumor protein 40 (P40). (J) Synaptophysin. (K) CD56a. (L) Cluster of differentiation 117 (CD117). (A-L: ×200).
jkos-2023-64-2-149f3.jpg

REFERENCES

1) Flieder A, Koerner FC, Pilch BZ, Maluf HM.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a cutaneous neoplasm analogous to solid papillary carcinoma of breast. Am J Surg Pathol 1997;21:1501-6.
pmid
2) Nasser H, Siddiqui S.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two new eyelid cases and review of the literature. Int J Surg Pathol 2020;28:653-7.
crossref pmid pdf
3) Mulay K, Menon V, Lahane S, et al.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EMPSGC) of the eyelid: clinicopathologic features, immunohistochemical findings and review of literature. Indian J Ophthalmol 2019;67:1374-7.
crossref pmid pmc
4) Brett MA, Salama S, Gohla G, Alowami S.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a histological challenge. Case Rep Pathol 2017;2017:6343709.
crossref pmid pmc pdf
5) Wang D, Deng W, LoBue S et al. Bilateral concurrent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and mucinous carcinoma of the eyelids.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22;38:e96-e9.
crossref pmid
6) Agni M, Raven ML, Bowen RC, et al. An update on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clinicopathologic study of 63 cases and comparative analysis. Am J Surg Pathol 2020;44:1005-16.
pmid pmc
7) Thiagalingam S, Zembowicz A, Hatton MP.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of the eyelid. Ophthalmic Plast Reconstr Surg 2008;24:164-5.
crossref pmid
8) Emanuel PO, de Vinck D, Waldorf HA, Phelps RG. Recurrent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Ann Diagn Pathol 2007;11:448-52.
crossref pmid
9) Chang S, Shim SH, Joo M, et al. A Case of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co-existing with mucinous carcinoma: a case report. Korean J Pathol 2010;44:97-100.
crossref
10) Nair AG, Bhargava R, Furniturewala AU.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of the eyelid: a clinical and histological conundrum. Indian J Ophthalmol 2018;66:1042-4.
crossref pmid pmc
11) Tannous ZS, Avram MM, Zembowicz A, et al. Treatment of synchronous mucinous carcinoma and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with Mohs' micrographic surgery. Dermatol Surg 2005;31:364-7.
crossref pmid
12) Koike T, Mikami T, Maegawa J, et al. Recurrent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in the eyelid. Australas J Dermatol 2013;54:e46-9.
crossref pmid
13) Au RTM, Bundele MM.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and associated primary cutaneous mucinous carcinoma: review of the literature. J Cutan Pathol 2021;48:1156-65.
crossref pmid pdf
14) Hadi R, Xu H, Barber BR et al. A case of endocrine mucin-producing sweat gland carcinoma with distant metastasis. J Cutan Pathol 2021;48:937-42.
crossref pmid pdf

Biography

강지언 / Ji Eon Kang
가톨릭대학교 의과대학 서울성모병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Seoul St. Mary’s Hospital, College of Medicine
jkos-2023-64-2-149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