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반원공 망막박리에서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의 장기 결과

Long-term Outcomes of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al to Treat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2;63(10):849-858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October 14
doi : https://doi.org/10.3341/jkos.2022.63.10.849
Kim’s Eye Hospital, Seoul, Korea
전영준, 김종우, 김철구, 유수진, 김형석, 김주연, 김재휘
김안과병원
Address reprint requests to Jae Hui Kim, MD Kim's Eye Hospital, #136 Yeongsin‐ro, Yeongdeungpo‐gu, Seoul 07301, Korea Tel: 82-2-2671-7665, Fax: 82-2-2671-6359 E-mail: kjh7997@daum.net
Received 2022 March 30; Revised 2022 June 25; Accepted 2022 September 20.

Abstract

목적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를 대상으로 한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의 장기 임상 경과를 알아보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황반원공 망막박리로 진단 후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받은 환자를 대상으로 후향적 의무기록 분석을 시행하였다. 수술 후 1개월 시점의 망막 재유착 및 황반원공 폐쇄 빈도를 확인하였으며, 망막박리의 재발과 관련된 인자를 분석하였다. 추가적으로 술 전 시력을 최종 추적 관찰 시의 시력과 서로 비교하였다.

결과

전체 42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으며,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8.5 ± 19.1개월이었다. 23안은 가스, 19안은 실리콘기름을 주입하였다. 술 후 1개월에 41안(97.6%)에서 망막이 재유착되었는데, 황반원공이 완전히 폐쇄된(1형 폐쇄) 경우는 21안(51.2%),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2형 폐쇄) 경우는 20안(48.8%)이었다. 망막박리의 재발은 5안(14.6%)에서 최초 수술 후 3개월 이내에 나타났으며, 2형 폐쇄의 경우 재발의 위험 인자로 나타났다(p=0.021). Logarithm of minimum angle of resolution 최대교정시력은 수술 전 1.79 ± 0.79에서 최종 추적 관찰 시 1.30 ± 0.75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결론

황반원공 망막박리에 대한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 결과 거의 대부분 환자에서 망막이 재유착되었으며, 약 절반의 환 자에서 원공이 완전히 폐쇄되었다. 첫 수술 후 3개월 이후에는 망막박리의 재발이 나타나지 않았다. 향후 1형 폐쇄의 비율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long-term clinical outcomes of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ILM) removal for patients with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Methods

We retrospectively reviewed the medical records of patients with MHRD who underwent vitrectomy with ILM removal. The incidence of retinal re-attachment and MH closure at 1 month were calculated. Factors associated with RD recurrence were investigated. Visual acuity before surgery was compared to that at the final visit.

Results

Forty-two eyes were included; the mean follow-up period was 38.5 ± 19.1 months. Twenty-three eyes received gas injections and 19 silicone oil injections. Retinal re-attachment occurred in 41 (97.6%). Type 1 closure was noted in 21 eyes (51.2%) and type 2 in 20 (48.8%). Recurrent RD was noted in five eyes (14.6%) within 3 months of initial surgery. Type 2 closure was a risk factor for recurrence (p = 0.021). The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best-corrected visual acuity improved significantly from 1.79 ± 0.79 before surgery to 1.30 ± 0.75 after surgery (p < 0.001).

Conclusions

Retinal re-attachment was noted in most patients and the MH closed in approximately half of all patients after vitrectomy with ILM removal to treat MHRD. RD did not recur later than 3 months after initial surgery. Further efforts to increase the rate of type 1 closure are required.

황반원공은 중심와를 포함하는 망막의 전층 결손을 특징으로 하는 질환이다[1]. 황반원공의 일부에서는 망막박리가 동반될 수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근시의 정도가 심할수록, 그리고 뒤포도종(posterior staphyloma)이 있는 경우 망막박리의 발생률이 높은 것으로 보고되었다[2]. 황반원공이 망막박리로 진행하는 정확한 원인은 아직 밝혀져 있지 않다. 주된 원인은 유리체망막의 견인으로 추측되고 있으며[3] 뒤포도종의 발생에 따른 공막의 변형으로 인해 망막과 맥락막의 변화가 발생할 뿐 아니라 유리체망막 견인이 악화되면서 망막박리의 위험을 높인다는 가설도 제기된 바 있다[2].

황반원공에 의한 망막박리의 치료에는 유리체절제술이 이용되는데, 과거 연구들에서 망막의 재유착률은 78-83% 정도로 일반적인 망막박리수술에 비해 낮은 편이었으며, 원공의 폐쇄율이 31%로 비교적 낮은 비율을 보였다[4,5]. 그러나 보다 최근 내경계막제거술의 도입 이후에는 일반적으로 90% 이상에서 망막이 재유착되고 원공 폐쇄율도 50%까지 향상되는 등 수술 성공률이 크게 상승하게 되었다[6-9].

황반원공에 의한 망막박리의 수술 결과에 대한 국내 보고의 경우 9-30안의 환자를 대상으로 한 치료 결과들이 보고되어 있다[10-12]. 그러나 상기 연구들에 포함된 환자들은 대부분 황반원공수술에 있어서 내경계막제거술이 도입되기 이전에 수술을 시행받은 경우였으며[10,11], 9안을 대상으로 수술 후 평균 16개월 동안 경과 관찰한 Choi et al [12]의연구에서만 전체 환자에서 일관되게 내경계막제거술이 시행되었다.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해외 보고의 경우 Kim et al [13]은 22안의 술 후 3년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이들 중내경계막제거술 후 가스나 실리콘기름을 주입한 경우는 19안이었다. 보다 최근 발표된 Kim et al [14]의 연구에서는 34안을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의 결과를 분석하였는데, 추적 관찰 기간은 6개월로 비교적 짧았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42안이라는 비교적 많은 안을 대상으로 장기 추적 관찰한 결과를 보고하고자 한다. 추가적으로 황반원공의 폐쇄 및 망막박리 재발과 관련된 인자들을 분석하고 황반원공의 폐쇄 여부가 장기 시력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고자 한다.

대상과 방법

본 후향적 연구는 단일 기관에서 헬싱키 선언에 입각하여 시행되었으며, Institutional Review Board (IRB) 승인을 획득하였다(Kim's Eye Hospital IRB #2022-03-012). 2017년 1월부터 2019년 12월까지 황반원공에 동반된 망막박리로 치료받은 환자들 중 12개월 이상 추적 관찰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 이전에 맥락막혈관신생과 같은 다른 황반 질환으로 치료받은 병력이 있거나 유리체망막수술의 병력이 있는 경우, 증식당뇨망막병증에 동반된 견인막과 같이 이차성 황반원공을 유발할 수 있는 뚜렷한 황반부 이상 소견이 동반된 경우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망막박리 발견 시 망막박리의 범위 이내에 황반원공을 제외한 다른 열공이 같이 발견된 경우도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한 환자에서 양안 모두 황반원공 망막박리가 발생한 경우 먼저 수술한 안만을 연구에 포함하였다.

수술은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시행되었다. 23게이지 혹은 25게이지 평면부 유리체절제술을 시행하였으며, 후유리체박리가 불완전한 경우 유리체절제침을 이용하여 후유리체박리를 완전히 유발하였다. 필요 시 트리암시놀론(triamcinolone)을 이용한 유리체 염색을 통해 잔여 유리체 여부를 확인하였다. 0.125% 인도사이아닌그린 용액을 유리체강 내로 주입하여 내경계막을 염색하였으며, 황반부의 내경계막을 반경 최소 약 1 유두직경 이상, 최대 약 3 유두직경 이내의 범위로 제거하였다. 과불화탄소액(perfluorocarbon liquid)의 이용, 내경계막 절편술, 혹은 농축 자가혈소판풍부혈장(concentrated autologous platelet-rich plasma)의 이용 등 내경계막을 보다 원활히 제거하거나 황반원공 폐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추가적인 방법들은 따로 시행되지 않았다.

수술을 마치기 전 15% C3F8 (octafluoropropane) 가스, 20% SF6 (Sulfur hexafluoride) 가스, 혹은 실리콘기름(ARCIOLANE®, ARCADOPHTA, Toulouse, France)을 유리체강 내에 주입하였다. 백내장이 함께 진단된 환자의 경우 의사의 판단에 따라 백내장 수술을 함께 시행하였다. 백내장 수술은 2.8 mm의 투명각막절개를 이용한 수정체유화술 후 접힘인공수정체 삽입술을 시행하는 방식으로 진행되었다. 수술 후 의사의 판단에 따라 1-2주 기간 동안 엎드린 자세를 유지하였는데, 이러한 자세 유지는 가스를 주입한 환자와 실리콘기름을 주입한 환자 모두에서 시행되었다.

전체 환자를 대상으로 술 후 1개월 및 최종 추적 관찰 시 망막박리가 완전히 소실된 비율을 확인하였으며, 수술 전최대교정시력을 최종 추적 관찰 시 측정된 값과 서로 비교하였다. 술 후 1개월 검진에서 원공의 완전한 폐쇄(1형 폐쇄[15])와 함께 망막박리가 소실된 경우를 원공 폐쇄군, 망막박리가 소실되지 않았거나 망막박리가 소실되었으나 원공이 완전히 폐쇄돼지 않은 경우(2형 폐쇄[15])를 원공 비폐쇄군으로 정의하였다. 술 후 황반원공의 완전한 폐쇄와 관련된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황반원공 폐쇄군과 황반원공 비폐쇄군 사이에 아래 인자들을 서로 비교하였다: 나이(60세 이상 vs. 60세 미만), 성별, 당뇨, 고혈압, 안축장(29.0 mm 이상 vs. 29.0 mm 미만), 수술 시 이용한 안 내 충전물의 종류 (가스 vs. 실리콘기름), 백내장수술 동반 시행 여부, 술자의 경력(전임의 수료 후 5년 이상 vs. 5년 미만).

술 후 1개월에 망막박리가 소실된 환자를 대상으로 경과 관찰 기간 중 망막박리가 재발하는 비율과 시기를 확인하 였다. 망막박리의 재발을 예측할 수 있는 인자를 확인하기 위해 아래와 같은 인자를 망막박리 재발군과 망막박리 비재 발군 사이에 서로 비교하였다: 나이(60세 이상 vs. 60세 미만), 성별, 당뇨, 고혈압, 안축장(29.0 mm 이상 vs. 29.0 mm 미만), 수술 시 이용한 안 내 충전물의 종류(가스 vs. 실리콘기름), 1개월 시점에 원공의 완전한 폐쇄 여부(1형 폐쇄 vs. 2형폐쇄), 술자의 경력(전임의 수료 후 5년 이상 vs. 5년 미만), 추적 관찰 기간(30개월 이상 vs. 30개월 미만).

수술 전 시력과 최종 추적 관찰 시 측정된 시력을 서로 비교하였고, 각 시점에서 0.1 이상, 0.02 이상 -0.1 미만, 0.02 미만 시력을 보인 환자의 비율 및 logarithm of the minimum angle of resolution (logMAR) 0.3 이상의 뚜렷한 시력 호전이 나타난 환자의 비율을 확인하였다. 추가적으로 수술 후 1개월에 1형 폐쇄를 보인 경우와 2형 폐쇄를 보인 경우 사이의 최종 추적 관찰 시 시력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수술 전 유수정체안이었던 경우와 위수정체안이었던 경우 사이에 logMAR 0.3 이상의 시력 호전이 나타난 환자의 비율을 비교하였다.

술 전 황반원공 직경 측정이 가능하였던 안을 대상으로 type 1 폐쇄와 type 2 폐쇄를 보인 경우 사이에 술 전 황반원공 직경을 서로 비교하였으며, 수술 전 황반원공의 직경과 최종 추적 관찰 시의 시력과의 연관관계를 분석하였다.

통계 분석에는 SPSS 프로그램(SPSS ver. 12.0 for Windows; SPSS Inc., Chicago, IL, USA)을 이용하였다. 시력은 logMAR 값으로 변환하여 분석하였는데, 안전수지의 경우 logMAR 값 2, 안전수동의 경우 logMAR 값 3으로 변환하였다. 서로 다른 두 시점 사이의 비교는 Wilcoxon signed-ranks test를 이용하였다. 황반원공 폐쇄군과 황반원공 비폐쇄군 사이의 비교의 경우 chi-square test 혹은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으며, 망막박리 재발군과 망막박리 비재발군 사이의 비교는 Fisher’s exact test를 이용하였다. Type 1 폐쇄를 보인 경우와 그렇지 않은 경우 사이의 술 전 황반원공의 직경 비교는 Mann-Whitney U test를 이용하였으며, 황반원공 직경과 최종 추적 관찰 시 시력 사이의 연관관계 분석에는 Spearman’s correlation analysis를 이용하였다. 0.05 미만의 p값을 통계적으로 유의한 값으로 정의하였다.

결 과

전체 42안(42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Table 1). 남성 6명, 여성 36명이었으며, 환자의 평균 연령은 61.9 ± 9.8세였다. 수술 전 측정된 안축장은 평균 28.2 ± 3.1 mm였으며, 최대교정시력은 평균 logMAR 1.79 ± 0.79이었다. 평균 추적 관찰 기간은 38.5 ± 19.1개월였다. 수술은 10명의 의사가 시행하였는데, 35안(83.3%)의 경우 수술 당시 의사의 전임의 수료 후 경력이 5년 이상이었으며, 나머지 7안(16.7%)의 경우 5년 미만이었다. 수술 시 11안(26.2%)에서 백내장 수술을 함께 시행하였는데, 모든 백내장수술은 후낭파열과 같은 합병증 없이 성공적으로 시행되었다. 안 내 충전물의 경우 23안(54.8%)은 가스, 19안(45.2%)은 실리콘기름을 이용하였다. 실리콘기름을 이용한 29안 중 28안은 경과 관찰 중 실리콘기름제거술을 추가로 시행하였다. 수술 후 5안(11.9%)에서 안압 상승이 나타났는데, 3안에서는 점안 안압 하강제를 이용한 치료 후 안압이 조절되었으나 나머지 1안의 경우 점안약으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섬유주절제술을 시행받았다. 최초 수술 후 경과 관찰 기간 동안 12안에서 백내장수술이 시행되었다.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patients (n = 42)

전체 42안 중 41안(97.6%)에서 수술 후 1개월 시점에 망막박리가 소실되었는데, 이들 중 황반원공이 완전히 폐쇄(1형폐쇄)된 경우는 21안(51.2%) (Fig. 1A-D),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2형 폐쇄) 경우는 20안(48.8%) (Fig. 1E-H)이었다. 망막박리가 소실되지 않은 1안의 경우 최초 수술에서 유리체절제술 및 실리콘기름 주입술을 시행받았던 경우로 추가처치 없이 경과 관찰하였는데, 수술 후 10개월 시점에 망막의 재유착이 관찰되었다. 황반원공 폐쇄군과 황반원공 비폐쇄군 사이의 비교에서는 나이(p=0.334), 성별(p=0.663), 당뇨(p=0.093), 고혈압(p=0.212), 수정체 상태(p=0.172), 안축장(p=0.758), 시력(p>0.999), 안 내 충전물의 종류(p=0.352), 백내장수술 동반 시행 여부(p=0.655), 술자의 경력(p>0.999) 모두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Table 2).

Figure 1.

Representative figures showing clinical course of patients received vitrectomy with internal lim iting membrane removal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 B) A 57 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The patient underwent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Tamponade was performed using 15% octafluoropropane. (C) One month after the surgery, RD was resolved with complete type 1 closure of MH. (D) There was no recurrence of RD during 36 months. (E, F) A 62-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The patient underwent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Tamponade was performed using silicone oil. (G) One month after the surgery, RD was resolved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H) There was no recurrence of RD during 41 months.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ete macular hole closure at 1 month after the surgery (n = 42)

망막박리가 소실된 41안 중 5안의 경우 수술 후 평균 2.0 ± 0.7개월(1-3개월) 시점에 망막박리가 재발하였다(Fig. 2). 재발이 관찰된 5안 모두 첫 수술 후 1개월 시점에 2형 폐쇄를 보였다. 4안은 첫 수술 시 안 내 충전물로 가스를 이용한 경우였으며, 나머지 1안은 실리콘기름을 이용한 경우였는데, 술 후 2개월에 실리콘기름을 제거하였으며, 이후 1개월 시점에 망막박리가 재발하였다. 5안 중 3안의 경우 추가적인 유리체절제술 후 실리콘기름 주입술을 시행하였으며, 나머지 1안의 경우 액체가스 교환술을 시행하였다. 최종 추적 관찰 시 3안에서는 망막이 다시 재유착된 상태였으나 나머지 2안은 여전히 망막이 박리된 상태였다(Fig. 3).

Figure 2.

Kaplan-Meier graph showing cumulative incidence and timing of recurrence of retinal detachment (RD) in patients exhibited resolution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t one month after initial surgery (n = 41). Solid line means patients with complete type 1 closure of MH (n = 21). Dotted line means patients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n = 20). Note that the recurrence of RD occurs only in patients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In addition, all the recurrences occur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Figure 3.

Clinical course of a 64-year-old patient who received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al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 B) A 64-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C) One month after vitrectomy with gas injection, RD was resolved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D) Two months after the surgery, RD recurred and repeated vitrectomy with silicone oil injection was performed. (E) One month after the second surgery, temporal retina was still not attached. (F) Twenty months after the second surgery, cicatrical change was noted at the region of RD (arrowheads).

망막박리 재발군과 망막박리 비재발군 사이의 비교에서 1형 및 2형 폐쇄의 비율은 재발군에서 0% vs. 100%, 비재 발군에서 58.3% vs. 41.7%로 재발군에서 2형 폐쇄의 비율이 유의하게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21) (Table 3). 다른 인자들인 나이(p=0.636), 성별(p=0.567), 당뇨(p=0.196), 고혈압(p=0.638), 안축장(p=0.343), 안 내 충전물의 종류(p=0.638), 술자의 경력(p=0.196), 추적 관찰 기간(p>0.999)은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recurrence of retinal detachment after initial surgery (n = 41)

최대교정시력은 수술 전 1.79 ± 0.79에서 최종 추적 관찰 시 1.30 ± 0.75로 유의하게 호전되었다(p<0.001). 0.1 이상의 비교적 좋은 시력을 보인 비율은 수술 전 26.2% (11안)였으며, 수술 후 50.0% (21안)로 증가하였다(Fig. 4). 27안 (64.3%)에서 logMAR 0.3 이상의 뚜렷한 시력 호전이 나타났다. 최종 추적 관찰 시 시력은 1형 폐쇄를 보인 경우 평균 1.29 ± 0.46, 2형 폐쇄를 보인 경우 평균 1.43 ± 0.51로 측정되어 1형 폐쇄를 보인 군에서 조금 더 나은 경향을 보였으나 양 군 사이에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346). LogMAR 0.3 이상의 시력 호전이 나타난 비율은 수술 전 유수정체안에서 53.3% (16안), 위수정체안에서 91.7% (11안)로 나타나 위수정체안에서 유의하게 더 비율이 높은 결과를 보였다(p=0.031).

Figure 4.

Changes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0.1, ≥0.02 and <0.1, and <0.02 before surgery (dark grey bar) and at the final follow-up (light grey bar). Note that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0.1 BCVA markedly increased, whereas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0.02 markedly decreased after the surgery.

술 전 41안에서 황반원공 직경 측정이 가능하였으며, 나머지 1안의 경우 망막박리의 정도가 심하여 원공 부위에 빛간섭단층촬영 영상을 얻을 수 없었다. 상기 41안에서 측정된 황반원공의 평균 직경은 566.8 ± 219.2 µm였다. 황반원공 직경은 type 1 폐쇄를 보인 안에서 평균 530.2 ± 194.7 µm, 그렇지 않은 안에서 평균 601.7 ± 239.7 µm로 type 1 폐쇄를 보인 안에서 더 작은 경향이 있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p=0.481). 황반원공의 직경과 최종 추적 관찰 시 측정된 시력 사이에는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나지 않았다(p=0.422).

고 찰

국내 환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의 경우 Kim et al [13]은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 22안의 3년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하였는데, 이들 중 유리체절제술 후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받은 경우는 19안이었다. 평균 안축장은 28.96 mm로 측정되었다. 수술 후 59.1%에서 원공이 폐쇄되었는데, 폐쇄된 군과 폐쇄되지 않은 군 사이에 술 후 시력의 뚜렷한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수술 후 시력은 6개월에 가장 좋았으며, 이후 점차 저하되는 경향을 보였는데, Kim et al [13]은 이러한 변화가 변성근시(degenerative myopia)의 자연적인 진행에 의한 것이라 추측하였다. 최근 Kim et al [14]은 34안을 대상으로 한 6개월 추적 관찰 결과를 보고하였다. 상기 연구에서는 모든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후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하였는데, 충전물의 경우 주로 실리콘기름을 이용하였다. 수술 후 33안에서 망막박리가 소실되었는데, 황반원공은 50%에서 여전히 지속되는 결과를 보였다. 술 후 황반원공의 지속 여부는 시력 예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으나, 황반원공이 지속되는 경우 망막박리의 재발률이 29.4%로 황반원공이 폐쇄된 경우의 0%에 비해 유의하게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

해외 연구의 경우 30안을 대상으로 한 Mancino et al [7]의연구에서는 C3F8 가스와 실리콘기름의 효과를 서로 비교하였는데, 초기 성공률은 가스군에서 유의하게 더 높았으며(94% vs. 54%), 시력이 회복되는 비율 역시 가스군에서 더 높은 결과를 보였다(94% vs. 46%). Laviers et al [9]은 전향적 연구를 통해 수술 후 경과를 분석하였는데, 시력은 수술 전 평균 logMAR 1.60에서 수술 후 평균 1.49로 약간 호전되는 결과를 보였다. 수술 후 황반원공이 완전히 폐쇄된 경우는 25%에 불과하였으며, 50%에서는 open/flat한 양상을 보였고, 20%에서는 open/elevated한 양상을 보였다. 114명의 비교적 많은 환자를 대상으로 한 Lim et al [8]의 연구에서는 6개월에 86.0%에서 망막의 재유착이 확인되었는데, 이들 중 94.9%는 수술을 1회만 시행받은 경우였다. 전체 환자의 53.5%에서는 망막의 재유착과 함께 황반원공이 폐쇄되는 결과를 보였다. 시력은 수술 전 평균 logMAR 1.80에서 수술 후 1.32로 호전되었으며, 원공의 폐쇄와 망막의 재유착이 함께 나타난 경우 술 후 시력(평균 logMAR 1.05)은 그렇지 않은 경우(평균 1.62)에 비해 유의하게 더 나은 결과를 보였다. 고령과 C3F8 가스의 이용은 해부학적 성공과 연관된 인자로 나타났다[8].

본 연구에서는 망막박리 재발을 예측하기 위해 다양한 인자들과의 연관성을 분석하였는데, 연령, 안축장, 수술 시 이용한 안 내 충전물의 종류 및 원공의 완전한 폐쇄 여부는 과거 연구들에서도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수술 성공률 및 예후와 연관된 것으로 알려져 있는 인자들이었다[7,8,14,16]. 추적 관찰 기간이 긴 경우 재발률이 상대적으로 높게 측정될 가능성을 완전히 배제할 수 없었기에 추적 관찰 기간 역시 인자로 삽입하였으며, 나머지 인자들인 성별, 당뇨, 고혈압, 및 술자의 경력은 저자들이 임의로 설정한 인자들이었다.

본 연구에서는 첫 수술 후 1개월 시점에 97.6%라는 높은 비율로 망막의 재유착이 나타났으며, 50%에서 황반원공의 완전한 폐쇄가 동반되었는데, 이는 Lim et al [8]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였다. 5안에서 망막박리의 재발이 나타났으나 추가적인 처치 후 3안에서 망막이 재유착되었으며, 결과적으로 최종 추적 관찰 시 전체의 95.2%에서 망막이 완전히 유착된 결과가 나타났다. 시력 역시 유의하게 호전되었는데, 0.1 이상의 비교적 좋은 시력을 보인 안의 비율이 수술 전 26.2%에서 수술 후 50.0%로 뚜렷하게 증가하였다. 이와 같은 결과는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이 황반원공 망막박리를 치료하는 데 있어서 매우 효과적인 방법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술 후 1개월 시점에 황반원공이 완전히 폐쇄된 경우 망막박리의 재발이 없었을 뿐 아니라 완전히 폐쇄되지 않은 경우에 비해 더 비교적 나은 시력 결과를 얻을 수 있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Lim et al [8]의 연구 및 Kim et al [14]의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와 비슷한 경향으로 황반원공의 완전한 폐쇄가 예후에 매우 중요한 부분이라는 점을 시사한다. 그러나 황반원공의 완전한 폐쇄와 연관된 인자 분석에서는 유의하게 연관된 인자를 확인할 수 없었는데, 이와 같은 결과는 원공의 폐쇄를 미리 예측하기 어렵다는 점을 시사하는 결과로 생각된다.

본 연구에서는 1개월 시점에 망막이 재유착되었던 환자의 14.6%에서 망막박리의 재발이 나타나 14.8%의 재발률을 보고하였던 Kim et al [14]의 연구와 비슷한 결과를 보였다. 한 가지 흥미로운 점은 모든 재발이 첫 수술 후 3개월 이내의 비교적 초기에 나타났으며, 상기 시점이 경과한 이후에는 장기간의 추적 관찰 기간 동안 재발이 없었다는 점이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환자에 대해 경과 관찰 계획을 수립하는 데 있어서 도움이 될 것으로 판단된다. 즉, 술 후 약 3개월 동안은 재발 여부를 신속하게 확인하기 위하여 자주 경과 관찰하는 방침이 필요할 수 있으나 이후에는 병원 방문 사이 기간을 늘여서 환자 부담을 줄여주는 방향으로 방침을 변경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수술 후 전체 환자의 64.3%에서 logMAR 0.3 이상의 뚜렷한 호전이 나타났다. 전체 환자의 54.8%에 해당하는 23안에서 연구 기간 중 백내장수술이 시행되었기에 시력 호전에 있어서 백내장수술의 영향을 배제할 수 없을 것이다. 그러나 logMAR 0.3 이상의 시력 호전이 나타난 비율이 오히려 진단 당시 위수정체안에서 더 높게 나타났다는 결과는 유리체망막수술의 효과가 시력 호전에 더 크게 기여하였다는 점을 시사한다.

본 연구에서 2안의 경우 초기 수술 후 재발하여 재수술을 시행하였음에도 불구하고 최종 추적 관찰 시 망막박리가 완전히 소실되지 않았다. 기존 연구 결과에 따르면 황반돌륭술(macular buckling)이나[17] 자가망막이식(autologous retinal transplantation) [18]과 같은 술기가 해부학적 성공률의 향상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나 본 연구에서는 이과 같은 시술은 시행되지 않았다. 향후 고식적 수술 후 재발하는 경우에서 해부학적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추가적인 시술의 효과에 대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완전 폐쇄군에서 불완전 폐쇄군에 비해 술자의 경력이 5년 이상인 비율이 약간 더 높았으나 술자의 경력과 수술 성공률 사이에 뚜렷한 연관성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수술 난이도를 객관적으로 평가하기는 현실적으로 어려운 부분이 있으며, 보다 난이도가 높은 증례가 오랜 경력을 가진 술자에게 의뢰되었을 가능성 역시 배제할 수 없다. 따라서 본 연구의 결과만으로 술자의 경력 차이가 황반원공 망막박리수술 성공률에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단정하기는 어려울 것으로 판단된다. 추가적으로 비교적 소수의 안을 대상으로 연구를 시행하였다는 점 역시 이러한 결과에 일부 영향을 주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제한점은 다음과 같다. 본 연구는 후향적 연구이며, 비교적 소수의 환자를 대상으로 결과를 분석하였다. 10명의 서로 다른 술자가 시행한 수술 결과를 함께 분석하였는데, 술자의 경력에 따라 상당한 술기의 차이가 나타날 수 있기에 이러한 부분이 수술 성공률과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또한 각 수술 시 시행된 내경계막 제거 범위를 정확하게 확인하기 어려웠다. 실제로 황반원공 망막박리의 경우 내경계막이 강하게 유착되어 있어 충분한 제거가 어려울 수 있는데, 이러한 부분을 의무기록을 통해 확인하기 어려웠다는 점 역시 본 연구의 제한점이라 할 수 있다. 상당수 환자에서 유리체절제술 시 백내장수술을 같이 시행하였거나 추적 관찰 중 추가적인 백내장수술이 시행되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백내장수술이 시력 호전 정도에 일부 영향을 미쳤을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내경계막 절편술 혹은 농축 자가혈소판풍부혈장 등 황반원공의 폐쇄율을 향상시키기 위한 방법이 이용되지 않았다. 따라서 이와 같은 방법들을 적용한 경우의 결과는 본 연구의 결과와 다를 수 있을 것이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황반원공이 2형 폐쇄를 보인 경우에서 1형 폐쇄를 보인 경우에 비해 망막박리의 재발률이 높은 경향이 나타났으나 2평 폐쇄의 위험인자에 대해서는 따로 분석하지 않았다. 이러한 부분에 대해서는 향후 보다 많은 안을 대상으로 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요약하면 본 연구에서는 황반원공 망막박리 환자를 대상으로 유리체절제술 및 내경계막제거술을 시행 후 평균 38.5개월의 장기 결과를 분석하였다. 수술 후 1개월 시점에 97.6% 에서 망막이 유착되었으며, 망막박리의 재발은 14.6%에서 최초 수술 후 3개월 이내 시점에 나타났다. 최종 추적 관찰시 전체 환자의 95.2%에서 망막이 완전히 유착되었으며, 64.3%에서 logMAR 0.3 이상의 뚜렷한 시력 호전이 나타났다. 향후 보다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는 1형 폐쇄의 성공률을 높이기 위한 시도가 필요할 것이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References

1. Johnson RN, Gass JD. Idiopathic macular holes. Observations, stages of formation, and implications for surgical intervention. Ophthalmology 1988;95:917–24.
2. Morita H, Ideta H, Ito K, et al. Causative factors of retinal detachment in macular holes. Retina 1991;11:281–4.
3. Gonvers M, Machemer R. A new approach to treating retinal detachment with macular hole. Am J Ophthalmol 1982;94:468–72.
4. O'Driscoll AM, Goble RR, Kirkby GR. Vitrectomy for retinal detachments with both peripheral retinal breaks and macular holes. An assessment of outcome and the status of the macular hole. Retina 2001;21:221–5.
5. Kuriyama S, Matsumura M, Harada T, et al. Surgical techniques and reattachment rates in retinal detachment due to macular hole. Arch Ophthalmol 1990;108:1559–61.
6. Ryan EH Jr, Bramante CT, Mittra RA, et al. Management of rhegmatogenous retinal detachment with coexistent macular hole in the era of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Am J Ophthalmol 2011;152:815–9. e1.
7. Mancino R, Ciuffoletti E, Martucci A, et al. Anatomical and functional results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surgery in patients with high myopia and posterior staphyloma treated with perfluoropropane gas or silicone oil. Retina 2013;33:586–92.
8. Lim LS, Tsai A, Wong D, et al. Prognostic factor analysis of vitrectomy for retinal detachment associated with myopic macular holes. Ophthalmology 2014;121:305–10.
9. Laviers H, Li JO, Grabowska A, et al. The management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and macular retinoschisis in pathological myopia; a UK collaborative study. Eye (Lond) 2018;32:1743–51.
10. Lee JE, Oum BS. Treatment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01;42:57–63.
11. Lim JS, Yoon KC, Seo MS. Pars plana vitrectomy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02;43:1171–8.
12. Choi MG, Kim HW, Yun IH. Surgical outcome of epiretinal membrane and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al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J Korean Ophthalmol Soc 2005;46:1491–7.
13. Kim HY, Lee JJ, Kwon HJ, et al. Long-term outcomes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in highly myopic eyes after surgical reattachment. Korean J Ophthalmol 2019;33:539–46.
14. Kim DY, Jo YJ, Kim JY, et al. Surgical outcomes of vitrectomy for macular hole-induced retinal detachment according to various surgical methods: a multicenter retrospective study. Semin Ophthalmol 2021;36:728–33.
15. Kang SW, Ahn K, Ham DI. Types of macular hole closure and their clinical implications. Br J Ophthalmol 2003;87:1015–9.
16. Arias L, Caminal JM, Rubio MJ, et al. Autofluorescence and axial length as prognostic factors for outcomes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surgery in high myopia. Retina 2015;35:423–8.
17. Zhao X, Li Y, Ma W, et al. Macular buckling versus vitrectomy on macular hole associated macular detachment in eyes with high myopia: a randomised trial. Br J Ophthalmol 2022;106:582–6.
18. Li Y, Li Z, Xu C, et al. Autologous neurosensory retinal transplantation for recurrent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in highly myopic eyes. Acta Ophthalmol 2020;98:e983–90.

Biography

전영준 / Young Joon Jeon

김안과병원

Kim’s Eye Hospital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Figure 1.

Representative figures showing clinical course of patients received vitrectomy with internal lim iting membrane removal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 B) A 57 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The patient underwent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Tamponade was performed using 15% octafluoropropane. (C) One month after the surgery, RD was resolved with complete type 1 closure of MH. (D) There was no recurrence of RD during 36 months. (E, F) A 62-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The patient underwent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peeling. Tamponade was performed using silicone oil. (G) One month after the surgery, RD was resolved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H) There was no recurrence of RD during 41 months.

Figure 2.

Kaplan-Meier graph showing cumulative incidence and timing of recurrence of retinal detachment (RD) in patients exhibited resolution of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t one month after initial surgery (n = 41). Solid line means patients with complete type 1 closure of MH (n = 21). Dotted line means patients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n = 20). Note that the recurrence of RD occurs only in patients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In addition, all the recurrences occur during the early postoperative period.

Figure 3.

Clinical course of a 64-year-old patient who received vitrectomy with internal limiting membrane removal for macular hole retinal detachment (MHRD). (A, B) A 64-year-old patient diagnosed with MHRD. (C) One month after vitrectomy with gas injection, RD was resolved with incomplete type 2 closure of MH. (D) Two months after the surgery, RD recurred and repeated vitrectomy with silicone oil injection was performed. (E) One month after the second surgery, temporal retina was still not attached. (F) Twenty months after the second surgery, cicatrical change was noted at the region of RD (arrowheads).

Figure 4.

Changes in the number of patients with best-corrected visual acuity (BCVA) ≥0.1, ≥0.02 and <0.1, and <0.02 before surgery (dark grey bar) and at the final follow-up (light grey bar). Note that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0.1 BCVA markedly increased, whereas the number of patients showing <0.02 markedly decreased after the surgery.

Table 1.

Characteristics of the included patients (n = 42)

Characteristic Value
Age (years) 61.9 ± 9.8
Sex (men:women) 6 (14.3):36 (85.7)
Diabetes mellitus 6 (14.3)
Hypertension 18 (42.9)
Duration of symptoms (days*) 12.4 ± 10.3
Lens status
 Phakic 30 (71.4)
 Pseudophakic 12 (28.6)
Axial length (mm) 28.2 ± 3.1
Best-corrected visual acuity (logMAR) 1.79 ± 0.79
Range of best-corrected visual acuity (decimal)
 ≥0.1 11 (26.2)
 ≥0.02, <0.1 12 (28.6)
 <0.02 19 (45.2)
Experience of surgeons
 ≥5 years 35 (83.3)
 <5 years 7 (16.7)

Values are presented as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unless otherwise indicated.

LogMAR = logarithm of minimal angle of resolution.

*

Values from 30 patients in whom the duration of symptoms was accurately identified.

Table 2.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complete macular hole closure at 1 month after the surgery (n = 42)

Characteristic With complete MH closure (n = 21) Without complete MH closure (n = 21) p-value
Age (years) 0.334*
 ≥60 12 (57.1) 15 (71.4)
 <60 9 (42.9) 6 (28.6)
Sex 0.663
 Men 4 (19.0) 2 (9.5)
 Women 17 (80.9) 19 (90.5)
Diabetes mellitus 1 (4.8) 6 (28.6) 0.093
Hypertension 7 (33.3) 11 (52.4) 0.212*
Lens status 0.172*
 Phakic 17 (80.9) 13 (16.1)
 Pseudophakic 4 (19.0) 8 (38.1)
Axial length (mm) 0.758*
 ≥29.0 11 (52.4) 10 (47.6)
 <29.0 10 (47.6) 11 (52.4)
Best-corrected visual acuity (decimal) >0.999*
 ≥0.1 6 (28.6) 5 (23.8)
 <0.1 15 (71.4) 16 (76.2)
Type of vitreous substitute 0.352*
 Gas 13 (61.9) 10 (47.6)
 Silicone oil 8 (38.1) 11 (52.4)
Experience of surgeon (years) >0.999*
 ≥5 18 (85.7) 17 (80.9)
 <5 3 (14.3) 4 (19.0)
Combined cataract surgery 5 (23.8) 6 (28.6) 0.655*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MH = macular hole.

*

Statistical analysis with chi-square test;

statistical analysis with Fisher’s exact test.

Table 3.

Comparison of characteristics between patients with and without recurrence of retinal detachment after initial surgery (n = 41)

Characteristic Recurrence group (n = 5) Non-recurrence group (n = 36) p-value*
Age (years) 0.636
 ≥60 4 (80.0) 22 (61.1)
 <60 1 (20.0) 14 (38.9)
Sex 0.567
 Men 1 (20.0) 5 (13.9)
 Women 4 (80.0) 31 (86.1)
Diabetes mellitus 2 (40.0) 5 (13.9) 0.196
Hypertension 3 (60.0) 15 (41.7) 0.638
Axial length (mm) 0.343
 ≥29.0 1 (20.0) 19 (52.8)
 <29.0 4 (80.0) 17 (47.2)
Type of macular hole closure 0.021
 Type 1 closure 0 (0.0) 21 (58.3)
 Type 2 closure 5 (100.0) 15 (41.7)
Type of vitreous substitute 0.638
 Gas 2 (40.0) 21 (58.3)
 Silicone oil 3 (60.0) 15 (41.7)
Experience of surgeon (years) 0.196
 ≥5 3 (60.0) 31 (86.1)
 <5 2 (40.0) 5 (13.9)
Follow-up period after vitrectomy (months) >0.999
 ≥30 3 (60.0) 22 (61.1)
 <30 2 (40.0) 14 (38.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

*

Statistical analysis with Fisher’s exact tes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