도졸라마이드/티몰롤 혼합 제제를 사용 중인 원발개방각녹내장에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추가 시 효과

Add-on Effect of Prostaglandin Analogues in Dorzolamide/Timolol Fixed Combination Treated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atients

Article information

J Korean Ophthalmol Soc. 2022;63(8):700-706
Publication date (electronic) : 2022 August 15
doi : https://doi.org/10.3341/jkos.2022.63.8.700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Busan, Korea
이재훈, 진상욱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Address reprint requests to Sang Wook Jin, MD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32 Daesingongwon-ro, Seo-gu, Busan 49201, Korea Tel: 82-51-240-2818, Fax: 82-51-254-1987 E-mail: swjin@dau.ac.kr
Received 2022 February 9; Revised 2022 March 22; Accepted 2022 July 18.

Abstract

목적

도졸라마이드/티몰롤 복합 제제(2% dorzolamide/0.5% timolol fixed combination, DTFC)를 사용 중인 원발개방각녹내장(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에서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하였을 경우 안압 하강 효과와 안정성을 비교하였다.

대상과 방법

DTFC를 사용 중인 POAG 환자 중 추가 안압 하강이 필요하여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또는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하기 전과 후의 안압, mean deviation, 약제 부작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결과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2개월째 평균 안압은 18.6 ± 1.3 mmHg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15.8%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났다.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경우 평균 안압은 18.2 ± 1.5 mmHg로 16.9%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경우 평균 안압은 18.1 ± 1.5 mmHg로 17.0%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났다. 세 군 사이에 추가 안압 하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 세 군 모두에서 가장 흔한 부작용은 결막 충혈이었으며 약제를 중단할 만한 심각한 약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결론

DTFC를 사용 중인 POAG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추가 시 세 가지 약제에서 15.8-17.0%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냈다.

Trans Abstract

Purpose

To evaluate the additive intraocular pressure (IOP)-lowering effect of three different prostaglandin analogues in dorzolamide/timolol fixed combination (DTFC)-treated primary open angle glaucoma (POAG).

Methods

In this retrospective chart review, adjunctive latanoprost, travoprost, or bimatoprost were administered in DTFC-treated POAG patients who required additional IOP-lowering treatment. IOP, mean deviation value, and adverse drug reactions (ADRs) were evaluated.

Results

In the latanoprost group, the baseline IOP was 22.1 ± 1.3 mmHg. The mean IOP after 12 months of adjunctive latanoprost was 18.6 ± 1.3 mmHg and the reduction rate was 15.8% (p = 0.000). In the travoprost group, the mean IOP after adjunct travoprost was 18.2 ± 1.5 mmHg and the reduction rate was 16.9% (p = 0.000). In the bimatoprost group, the mean IOP and reduction rate were 18.1 ± 1.5 mmHg and 17.0%, respectively (p = 0.000). There were no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additional IOP reduction rate among the three groups (p = 0.687). The most common ADR was conjunctival hyperemia in all three groups. However, there were no serious ADRs causing ocular damage.

Conclusions

Latanoprost, travoprost, and bimatoprost showed additional IOP reduction by 15.8-17.0% in DTFC-treated POAG patients.

녹내장은 높은 안압, 혈액 순환 장애, 가족력, 인종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해 망막신경절세포와 그 축삭 돌기의 손상과 점진적인 시야장애를 특징으로 하는 시신경병증이다. 녹내장의 발생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다양한 위험인자들 중 안압을 낮추는 치료만이 녹내장 진행을 억제하는데 가장 효과적인 치료법으로 알려져 있다[1-3].

안압을 낮출 수 있는 방법으로는 녹내장 안약의 점안, 레이저 치료, 수술이 있으며, 이 중에서 녹내장의 일차 치료법으로 녹내장 안약의 점안이 가장 널리 사용이 되고 있으며 종류도 다양하다. 이 중 환자 개개인에 맞춰 설정된 목표 안압을 참고하여 일차 약제를 선택하여 녹내장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4]. 녹내장 치료를 위해 사용하는 여러 약제 중 프로스타글란딘 제제가 다른 녹내장 약제에 비해 우수한 안압 하강 효과, 하루 1회 점안으로 순응도가 높다는 점, 그리고 전신 부작용이 덜하다는 장점이 있어 일차 치료 약제로 가장 많이 사용되고 있다. 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는 결막 충혈, 홍채 색소 침착, 눈 주위 색소 침착, 눈썹 변화, 낭포황반부종, 헤르페스각막염의 재발 등 여러 부작용으로 인해 일부 환자에서는 일차 약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제한점도 있다[5-7]. 이런 여러 제한점으로 인해 일차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사용이 어려운 녹내장 환자는 다른 제제의 녹내장 안약을 일차 약제로 사용하게 된다. 하지만 일차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이외의 약제를 선택하여 사용 중인 녹내장 환자 중 충분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녹내장성 시야결손이 진행되는 환자들은 추가되는 이차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사용이 고려된다. 하지만 녹내장의 일차 치료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하다가 충분한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이외의 추가 약제를 사용한 이전의 여러 연구 결과는 있으나 녹내장 일차 치료 약제로 복합 제제를 사용하다가 추가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추가 안압 하강 효과 등을 보고한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한국인을 대상으로 녹내장 일차 치료 약제로 도졸라마이드/티몰롤 복합 제제(2% dorzolamide/0.5% timolol fixed combination, DTFC) (Cosopt-S®; Santen Pharmaceutical, Osaka, Japan)를 사용 중인 환자 중 일차 약제의 불충분한 안압 하강 효과로 인해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스타글린딘 제제를 추가하였을 경우, 추가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 및 안정성에 대해서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상과 방법

본 연구는 2017년 1월부터 2020년 12월까지 동아대학교병원 안과 외래에 내원하여 DTFC를 일차 약제로 사용 중인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 중 안압이 21 mmHg을 초과하거나 녹내장성 시야결손이 진행하여 이차 약제로 라타노프로스트(Xalost®; Taejoon Pharmaceutical, Seoul, Korea), 트라보프로스트(Izba® 0.003%; Novartis Pharmaceutical, Basel, Switzerland) 또는 비마토프로스트(Lumigan® 0.01%; Allergan, Inc., Dublin, Ireland) 제제를 추가한 환자를 대상으로 의무기록을 후향적으로 조사하였다. 본 연구는 동아대학교병원 생명윤리위원회의 승인을 받아 시행하였다(DAUHIRB-22-068).

원발개방각녹내장은 골드만압평안압계로 측정한 치료 전 기저 안압이 21 mmHg 이상이고 전방각경검사에서 전방각이 열려 있는 환자 중 시신경유두 입체 사진에서 녹내장성 변화 또는 빛간섭단층촬영 시 특징적인 시신경 및 시신경섬유층 손상이 보이면서 이에 상응하는 녹내장성 시야결손을 보이는 경우로 정의하였다.

다음과 같은 환자들은 연구에서 제외하였다. (1) 원발개방각녹내장 이외의 안압 또는 시야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안과 질환을 이미 진단받았거나 경과 관찰 중 진단받은 환자; (2) 녹내장수술이나 레이저 시술을 포함한 이전에 안과 수술의 과거력이 있는 환자; (3) 녹내장 안약, 무보존제 인공눈물 이외의 안약을 점안 중인 환자; (4) 녹내장 이외의 시신경 손상을 일으킬 만한 원인 질환이 있는 경우나 당뇨 또는 고혈압 등에 의한 망막 질환이 있는 환자; (5) 정기적으로 외래를 방문하지 못한 환자.

모든 환자들의 단안만을 연구에 이용하였는데 양안 모두 선정 기준에 해당하는 경우 우안을 선택하였다. 모든 환자에서 나이, 성별, 기저 질환을 조사하였으며,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하기 전과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하고 난 이후 시력, 안압, 시야검사, 약제 부작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안압은 한 명의 동일 검사자가 골드만압평안압계를 이용하여 측정한 안압 수치를 사용하였다. 시야검사는 험프리 자동시야계(Humphrey Field Analyzer,;Carl-Zeiss Meditec, Dublin, CA, USA)를 이용하여 24-2 Swedish Interactive Thresholding Algorithm (SITA) standard program으로 측정하였다. 가양성률와 가음성률이 33% 미만이고 주시상실이 20% 미만일 때의 시야검사를 신뢰도가 충족되는 검사로 판단하였고 연구의 분석에 이용하였다.

통계적 분석은 SPSS® version 22.0 (SPSS Inc., Chicago, IL, USA)를 사용하였으며,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추가 전과 후의 안압, 시야검사의 mean deviation (MD)의 변화를 paired t-test를 이용하여 검증하였고, 세 군 사이의 안압 하강 효과의 차이를 one way ANOVA를 이용하여 검증하였다. 통계학적 유의 수준은 0.05 미만으로 하였다.

결 과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는 120명이었으며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는 48명,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는 38명,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는 34명이었다.

세 군의 평균 나이는 각각 57.3 ± 8.1세, 58.5 ± 8.4세, 56.5 ± 8.5세였다.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하기 전 평균 안압은 각각 22.2 ± 1.4 mmHg, 21.9 ± 1.1 mmHg, 21.8 ± 1.0 mmHg였으며 시야검사상 MD값은 -6.89 ± 1.14 dB, -7.14 ± 1.34 dB, -7.31 ± 1.52 dB이었다. 평균 나이, 평균 안압, 시야검사상 MD값은 세 군 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평균 나이 p=0.591; 평균 안압 p=0.477; MD p=0.235) (Table 1).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s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평균 안압은 각각 18.6 ± 1.1 mmHg, 18.4 ± 1.1 mmHg, 18.8 ± 1.2 mmHg, 18.6 ± 1.3 mmHg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시야검사상 MD값은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각각 -6.85 ± 1.02 dB, -6.91 ± 1.26 dB, -6.79 ± 1.12 dB, -6.81 ± 1.04 dB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865, p=0.329, p=0.562, p=0.907) (Table 2).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latanoprost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평균 안압은 각각 18.3 ± 1.2 mmHg, 18.0 ± 1.1 mmHg, 18.4 ± 1.1 mmHg, 18.2 ± 1.5 mmHg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시야검사상 MD값은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각각 -7.31 ± 1.02 dB, -7.17 ± 1.14 dB, -7.32 ± 1.05 dB, -7.21 ± 0.95 dB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393, p=0.998, p=0.395, p=0.505) (Table 3).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travoprost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평균 안압은 각각 18.1 ± 1.2 mmHg, 17.9 ± 1.1 mmHg, 18.5 ± 1.1 mmHg, 18.1 ± 1.5 mmHg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였다(p=0.000). 시야검사상 MD값은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후 1개월, 3개월, 6개월, 12개월째 각각 -7.27 ± 1.05 dB, -7.09 ± 1.12 dB, -7.32 ± 1.04 dB, -7.33 ± 0.98 dB로 추가하기 전과 비교하여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p=0.790, p=0.358, p=0.987, p=0.946) (Table 4).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bimatoprost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군,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군,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군의 약제 추가 후 12개월째 평균 추가 안압 하강 효과는 각각 15.8%, 16.9%, 17.0%로 세 군 사이 추가 안압 하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는 않았다(p=0.687).

라타노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 중 약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는 16명(33.3%)이었다. 결막 충혈과 안검염이 각각 5명(10.4%)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며, 다음으로 이물감 2명, 안구 자극감 2명, 소양감 1명, 점상각막염 1명이었다. 트라보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 중 약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는 15명(39.5%)이었다. 결막 충혈이 6명(15.8%)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며 안검염 3명, 이물감 3명, 안구 자극감 2명, 소양감 1명, 점상각막염 1명이었다. 비마토프로스트를 추가한 환자 중 약제 부작용이 발생한 환자는 13명(38.2%)이었다. 결막 충혈이 6명(17.6%)으로 가장 높은 빈도로 발생하였으며 안검염이 3명이었으며 안구 자극감, 이물감, 소양감, 점상각막염이 각각 2명씩 발생하였다. 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한 모든 환자에서 약제를 중단할 만한 심각한 약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Table 5).

Adverse drug reactions

고 찰

현재 가장 널리 사용되고 있는 녹내장의 일차 치료는 안약의 사용이며 여러 약제 중 가장 널리 이용되는 약제는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이다. 하지만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일차 치료 약제로 사용하기 어려운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이외의 약제를 이용하여 녹내장 일차 치료를 시작하게 된다. 하지만 일차 치료 약제의 사용에도 불구하고 녹내장 진행이 지속되는 경우 추가적인 녹내장 안약의 사용이 고려되어야 한다. 이때 추가 안약으로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가 고려된다. 하지만 한국인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일차 약제로 안압이 조절되지 않아 추가 제제로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추가 안압 하강 효과 및 안정성을 보고한 연구는 부족한 상태이다.

본 연구에서는 녹내장 일차 치료 약제로 DTFC를 사용 중인 환자 중 불충분한 안압 하강 효과로 인해 서로 다른 종류의 프로스타글린딘 제제를 추가하였을 경우, 추가 제제의 효용성 및 안정성을 확인한 결과 본 연구에 포함된 모든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동일한 수준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와 녹내장성 시야결손 진행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일차 약제에 추가로 사용된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안압 하강 효과를 비교하였으며 라타노프로스트군은 약제 추가 후 12개월째 평균 15.8%, 트라보프로스트군은 평균 16.9%, 비마토포로스트군은 평균 17.0%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Hartleben-Matkin et al [8]은 DTFC 단독 사용한 환자와 DTFC와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2가지를 사용한 환자의 안압 하강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DTFC와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2가지를 모두 사용한 환자가 DTFC를 단독으로 사용한 환자에 비해 평균 1.0 mmHg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나타냈으나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은 안압 하강 효과라고 보고하였으며, 다만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로 사용한 환자는 사용 기간이 길어질수록 안압 하강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이와 달리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로 사용하였을 경우 3.5-3.7 mmHg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이런 결과의 차이는 HartlebenMatkin et al [8]의 연구는 DTFC를 사용한 환자 중 30% 이상의 안압 하강 효과가 나타나지 않아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로 사용한 환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본 연구는 DTFC를 사용하였으나 21 mmHg를 초과하는 안압을 보이거나 녹내장성 시야결손이 진행하여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한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다는 차이점에서 기인한 것으로 보이며 잘 통제된 추가적인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본 연구 결과와 비교할 수 있는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일차 약제에 추가로 사용한 기존의 연구 결과가 없어서 일차 약제로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한 기존의 연구 결과를 비교해 보면 Inoue et al [9]은 정상안압녹내장 환자에게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일차 치료 약제로 사용한 연구 결과에서 라타노프로스트는 평균 17.8%, 트라보프로스트는 평균 16.1%, 비마토프로스트는 평균 22.6%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으며 비마토프로스트가 다른 제제에 비해 더 좋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Takagi et al [10]은 일본인 정상안압녹내장을 대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효과를 정리한 문헌조사 연구 결과에서 비마토프로스트의 안압 하강 효과가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에 비해 높았고 라타노프로스트가 가장 낮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고 보고하였다. 본 연구 결과에서는 일차 치료 약제로 서로 다른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한 기존의 연구 결과와는 달리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모두 비슷한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이는 대상 환자군의 차이와 일차 약제로 어느 정도 안압 하강 효과가 이루어진 상태에서 이차 약제로 사용했던 부분이 원인이 되어서 기존 연구와 다른 연구 결과가 나타난 것으로 보인다. Aihara et al [11]은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 중인 녹내장 환자를 대상으로 DTFC와 브린졸라마이드/티몰롤 복합제를 추가하였을 때 안압 하강 효과를 비교한 연구에서 각각 16.8-20%, 19.0-19.4%의 안압 하강 효과를 보고하였다. 본 연구와 비교하였을 경우 반대의 경우이긴 하지만 비슷한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녹내장 안약의 치료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안압 하강 효과뿐만 아니라 시야결손의 진행이 억제되는지를 보는 것도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DTFC를 일차 약제로 사용 중인 환자에서 안압 조절이 되지 않거나 녹내장성 시야결손이 진행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만 추가한 상태에서 추가 안압 하강 효과뿐만 아니라 녹내장성 시야결손 진행 유무를 간접적으로 짐작해 보기 위해 안약 추가 전과 추가 후 12개월째까지 시야검사의 MD값을 비교하였으며 세 가지 프로스타글란딘 제제 모두 안약 추가 전과 후 MD값의 변화가 없었다. 이를 통해 세 가지 서로 다른 프라스타글란딘 제제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 및 시야결손 진행 억제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는 세 가지 군 모두에서 가장 흔한 약제 부작용으로 결막 충혈이 나타났는데, 이는 결막 충혈이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하였을 경우 가장 흔하게 나타나는 합병증이라는 기존의 연구 결과와 비슷한 결과였다. 다만 일차 약제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사용한 연구 결과에서 보고한 발생률에 비해 본 연구 결과에서는 그 발생률이 낮게 나타났는데, 이는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이차 약제로 사용한 차이에 의한 것으로 생각된다[7,12]. 기존의 여러 연구 결과에서 1-3% 정도의 발생률로 보고된 윗눈꺼풀 고랑 깊어짐, 눈썹 변화, 눈 주위 색소 침착 같은 부작용은 본 연구에서는 나타나지 않았다[13,14]. 이는 본 연구가 적은 환자 수와 짧은 연구 기간 사이에 이루어져서 발생률이 낮은 것으로 보인다. 또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부작용 중 낭포성 황반 부종도 시력저하를 유발하는 심각한 부작용으로 알려져 있으며 이전의 연구에서 0.09%의 발생률이 보고되었다[15]. 하지만 본 연구에 포함된 환자에서는 낭포성 황반 부종이 발생하지 않았는데 이 또한 적은 환자 수에 의한 것으로 보인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는 세 군 모두 다양한 약제 부작용이 발생하였으나 약제를 중단할 만한 심각한 부작용은 발생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제한점으로는 (1) 후향적으로 의무기록을 분석하였다는 점, (2) 적은 환자 수와 짧은 연구 기간으로 인해 장기간 사용 시 발생하는 부작용을 충분히 확인하지 못하였고 1년 이상의 시야검사 결과를 확인하지 못하여 장기적인 시야결손 진행 억제 효과를 확인하지 못하였다는 점, (3) 연구에 포함된 환자의 자료 중 DTFC 사용 기간을 통제하지 않아 DTFC의 성분 중 티몰롤에 의한 long term drift를 배제하지 못하였다는 점, (4) 본 연구에 사용한 트라보프로스트와 비마토프로스트의 농도가 각각 0.003%와 0.01%로 기존 약제에 비해 농도를 줄인 약제를 사용하여서 약제 부작용 등의 결과가 기존 해외 연구와 차이를 보일 수 있는 부분을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 (5) 기존의 DTFC를 사용 중인 환자 중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추가로 사용한 환자만을 대상으로 하였기 때문에 동시에 사용을 시작한 환자와의 비교 결과가 없다는 점, (6) 프로스타글란딘 제제를 이차 약제로 추가한 경우를 대상으로 한 연구로서 기존 약제와 추가 약제 사이에 존재할 수 있는 약제 간 상호 작용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하였다는 점이다. 하지만 기존 연구[8-11]와 달리 DTFC를 사용 중에 안압이 조절되지 않거나 녹내장성 시야결손이 진행되는 환자를 대상으로 다양한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효용성 및 안정성을 비교 분석하였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결론적으로 DTFC를 사용 중인 원발개방각녹내장 환자에서 라타노프로스트, 트라보프로스트, 비마토프로스트 추가 시 각각 평균 15.8%, 16.9%, 17.0%의 추가 안압 하강 효과를 보였다. 따라서 DTFC를 녹내장 치료를 위한 일차 약제로 사용을 하다 충분한 안압 하강 효과를 보이지 않아 추가적인 녹내장 약제가 필요한 경우 프로스타글란딘 제제의 추가가 효과적인 방법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Notes

Conflicts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Acknowledgements

This work was supported by Dong-A University Research Fund.

References

1. Quigley HA, Nickells RW, Kerrigan LA, et al. Retinal ganglion cell death in experimental glaucoma and after axotomy occurs by apoptosis. Invest Ophthalmol Vis Sci 1995;36:774–86.
2. Iwase A, Suzuki Y, Araie M, et al. The prevalence of primary open-angle glaucoma in Japanese: the Tajimi Study. Ophthalmology 2004;111:1641–8.
3. Tham YC, Li X, Wong TY, et al. Global prevalence of glaucoma and projections of glaucoma burden through 2040: a systematic review and meta-analysis. Ophthalmology 2014;121:2081–90.
4. Heijl A, Leske MC, Bengtsson B, et al. Reduction of intraocular pressure and glaucoma progression: results from the Early Manifest Glaucoma Trial. Arch Ophthalmol 2002;120:1268–79.
5. Alexander CL, Miller SJ, Abel SR. Prostaglandin analog treatment of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Ann Pharmacother 2002;36:504–11.
6. Schlote T. Side-effects and risk profile of latanoprost 0.005% (Xalatan). Ophthalmologe 2002;99:724–9.
7. Parrish RK, Palmberg P, Sheu WP, ; XLT Study Group. A comparison of latanoprost, bimatoprost, and travoprost in patients with elevated intraocular pressure: a 12-week, randomized, masked-evaluator multicenter study. Am J Ophthalmol 2003;135:688–703.
8. Hartleben-Matkin C, Prada D, Mancilla-Vences R. A 4-year retrospective study of add-on therapy to the fixed combination of dorzolamide/timolol for the treatment of POAG. Int J Ophthalmol 2014;7:330–4.
9. Inoue K, Setogawa A, Tomita G. Nonresponders to prostaglandin analogs among normal-tension glaucoma patients. J Ocul Pharmacol Ther 2016;32:90–6.
10. Takagi Y, Santo K, Hashimoto M, Fukuchi T. Ocular hypotensive effects of prostaglandin analogs in Japanese patients with normal-tension glaucoma: a literature review. Clin Ophthalmol 2018;12:1837–44.
11. Aihara M, Adachi M, Matsuo H, et al. Additive effects and safety of fixed combination therapy with 1% brinzolamide and 0.5% timolol versus 1% dorzolamide and 0.5% timolol in prostaglandin-treated glaucoma patients. Acta Ophthalmol 2017;95:e720–6.
12. Feldman RM. Conjunctival hyperemia and the use of topical prostaglandins in glaucoma and ocular hypertension. J Ocul Pharmacol Ther 2003;19:23–35.
13. Kook MS, Lee K. Increased eyelid pigmentation associated with use of latanoprost. Am J Ophthalmol 2000;129:804–6.
14. Park J, Cho HK, Moon JI. Changes to upper eyelid orbital fat from use of topical bimatoprost, travoprost, and latanoprost. Jpn J Ophthalmol 2011;55:22–7.
15. Hu J, Vu JT, Hong B, Gottlieb C. Uveitis and cystoid macular oedema secondary to topical prostaglandin analogue use in ocular hypertension and open angle glaucoma. Br J Ophthalmol 2020;104:1040–4.

Biography

이재훈 / Jae Hoon Lee

동아대학교 의과대학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Dong-A University College of Medicine

Article information Continued

Table 1.

Clinical and demographic data of the patients

Latanoprost (n = 48) Travoprost (n = 38) Bimatoprost (n = 34) p-value
Age (years) 57.3 ± 8.1 58.5 ± 8.4 56.5 ± 8.5 0.591*
Female 27 (56.3) 20 (52.6) 21 (61.8) 0.735
Baseline IOP (mmHg) 22.2 ± 1.4 21.9 ± 1.1 21.8 ± 1.0 0.477*
Baseline MD (dB) -6.89 ± 1.14 -7.14 ± 1.34 -7.31 ± 1.52 0.235*
CCT (µm) 522.5 ± 13.5 524.6 ± 13.9 519.4 ± 15.1 0.30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

Baseline IOP = intraocular pressure before adding prostaglandin analogue; baseline MD = mean deviation before adding prostaglandin analogue; CCT = central corneal thickness.

*

Comparison among 3 groups by one-way analysis of variance;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Pearson chi-square 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05.

Table 2.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latanoprost

Baseline 1 month 3 months 6 months 12 months
IOP (mmHg) 22.1 ± 1.3 18.6 ± 1.1 18.4 ± 1.1 18.8 ± 1.2 18.6 ± 1.3
Reduction rate (%) N/A 15.8 16.7 14.9 15.8
p-value* N/A 0.000 0.000 0.000 0.000
MD (dB) -6.89 ± 1.14 -6.85 ± 1.02 -6.91 ± 1.26 -6.79 ± 1.12 -6.81 ± 1.04
p-value* N/A 0.865 0.329 0.562 0.907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IOP = intraocular pressure; MD = mean deviation; N/A = not applicable.

*

Paired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vs. baseline.

Table 3.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travoprost

Baseline 1 month 3 months 6 months 12 months
IOP (mmHg) 21.9 ± 1.1 18.3 ± 1.2 18.0 ± 1.1 18.4 ± 1.1 18.2 ± 1.5
Reduction rate (%) N/A 16.4 17.8 16.0 16.9
p-value* N/A 0.000 0.000 0.000 0.000
MD (dB) -7.14 ± 1.34 -7.31 ± 1.02 -7.17 ± 1.14 -7.32 ± 1.05 -7.21 ± 0.95
p-value* N/A 0.393 0.998 0.395 0.505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IOP = intraocular pressure; MD = mean deviation; N/A = not applicable.

*

Paired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vs. baseline.

Table 4.

Changes in IOP and MD value before and after 1, 3, 6, and 12 months of treatment with bimatoprost

Baseline 1 month 3 months 6 months 12 months
IOP (mmHg) 21.8 ± 1.0 18.1 ± 1.2 17.9 ± 1.1 18.5 ± 1.1 18.1 ± 1.5
Reduction rate (%) N/A 17.0 17.9 15.1 17.0
p-value* N/A 0.000 0.000 0.000 0.000
MD (dB) -7.31 ± 1.52 -7.27 ± 1.05 -7.09 ± 1.12 -7.32 ± 1.04 -7.33 ± 0.98
p-value* N/A 0.790 0.358 0.987 0.946

Values are presented as the mean ± standard deviation or number.

IOP = intraocular pressure; MD = mean deviation; N/A = not applicable.

*

Paired t-test statistical significance: p < 0.05, vs. baseline.

Table 5.

Adverse drug reactions

Latanoprost Travoprost Bimatoprost
Conjunctival hyperemia 5 (10.4) 6 (15.8) 6 (17.6)
Blepharitis 5 (10.4) 3 (7.9) 3 (8.8)
Foreign body sensation 2 (4.2) 2 (5.3) 2 (5.9)
Eye irritation 2 (4.2) 2 (5.3) 2 (5.9)
Eye pruritus 1 (2.1) 1 (2.6) 2 (5.9)
Punctate keratitis 1 (2.1) 1 (2.6) 2 (5.9)

Values are presented as number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