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 Korean Ophthalmol Soc > Volume 62(6); 2021 > Article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에 대한 처치

국문초록

목적

백내장수술 중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의 경우 전방으로 비팽창성 육불화황(18% SF6) 가스를 주입하거나 간헐적인 각막봉합술로 데스메막유착을 경험하였기에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요약

증례 1) 74세 여자, 좌안 백내장수술 후, 수술 1일째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술 후 안전수동의 시력을 보여, 18% SF6 가스를 전방 내에 주입하여 각막부종 소실과 데스메막유착으로 시력호전을 보였다. 증례 2) 76세 남자, 타 안과에서 3개월 전에 백내장수술 후, 각막중심부의 데스메막주름과 박리에 의한 시력저하로 내원하였다. 두 차례 18% SF6 가스를 전방에 주입하여 증상 호전을 보였다. 증례 3) 75세 여자, 우안 백내장수술 후 1일째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었다. 전방에 18% SF6 가스를 두 차례 주입하였으나 동공차단이 발생하였고, 증상 호전이 없어 데스메막박리가 가장 심한 부위에 각막봉합술을 실시하여 각막부종의 소실과 데스메막유착을 얻었다.

결론

백내장수술 후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면, 전방 내 18% SF6 가스를 0.3-0.4 mL를 주입하거나, 각막봉합술을 시행하여 데스메막유착을 얻을 수 있었다.

ABSTRACT

Purpose

We report the therapeutic efficacy of using 18% SF6 injection into the anterior chamber or interrupted corneal sutures for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related to cataract surgery.

Case summary

Case 1) A 74-year-old female showed localized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of the cornea on the first day after cataract surgery on the left eye; her visual acuity was hand motion only. Non-expansible sulfur hexafluoride (18% SF6) gas was injected into the anterior chamber to treat the detachment and achieved improvement of vision due to relief of the corneal edema and adhesion of the Descemet membrane. Case 2) A 76-year-old male had poor visual acuity of the right eye after cataract surgery performed at a local eye clinic. Folding and detachment of the Descemet membrane was found before the postoperative 3-months follow-up. We injected 0.3 mL 18% SF6 gas into the anterior chamber twice. The corneal edema disappeared and visual acuity improved. Case 3) A 75-year-old female who had undergone cataract surgery was suspected of having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She was injected with 18% SF6 into the anterior chamber twice, but the detached membrane persisted in the lower right cornea, combined with pupillary block glaucoma. We performed interrupted corneal sutures of the detached Descemet membrane, and resolution of the detachment was confirmed by corne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Conclusions

Re-at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of the cornea can be obtained by performing repeated injections of 0.3-0.4 mL of non-expansible 18% SF6 gas, or by direct corneal suture in cases of persistent detachment.

데스메막은 각막의 실질 부위와 내피세포층에 존재하는 구조물로, 자연적으로 박리되는 경우도 있으나, 대부분 안내 수술, 특히 백내장수술이나 외상으로도 발생한다[1]. 데스메막박리가 발생되면 각막부종이 생기면서 시력저하가 나타나기에, 데스메막의 유착 같은 조속한 치료가 필요하다. 과삼투성 점안액이나 스테로이드를 사용하면서 보전적인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으나, 고식적인 치료가 효과적이지 못할 경우, 히알루론산나트륨 같은 점탄물질이나 공기 또는 옥타플루오로프로페인(C3F8), 육불화황(SF6) 등을 전방으로 주입하는 치료를 시도해볼 수 있다[1].
국내에서의 데스메막박리에 관한 치료의 보고는 그리 많지 않지만, 백내장수술 도중에 발생한 데스메막박리의 치료는 이미 Kim et al [2]이 데스메막박리를 14% C3F8 가스로 전방에 주입하여 데스메막 재유착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C3F8 가스는 안구 내에서 반감기가 약 8일로 길고, 3-4일 지나면 4배의 부피 증가에 의해 안압상승이나 각막내피세포의 손상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기도 한다[3]. 각막봉합술의 경우는 Amaral and Palay [4]가 데스메막박리가 지속적으로 유지되거나 박리의 병변이 큰 경우에 시행하여 재유착에 성공한 경우인데, 10-0 폴리프로필렌 봉합사를 이용하여 데스메막박리가 발생한 병변 맞은편에서 전방천자를 시행하고 전방천자 부위에서 전방을 가로질러 병변 부위로 진입하여 각막 안쪽에서 바깥으로 봉합하는 매트리스 형태의 각막봉합술이다. 시술 시간이 오래 걸리고 수술실에서 시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기에 임상적으로 병변이 작거나 주변부에 국한된 데스메막박리인 경우에는 다소 사용이 제한적이다.
따라서, 저자들은 기존의 SF6 가스를 주입하거나 데스메막을 매트리스 형식으로 데스메막을 재유착시키는 각막봉합술 대신에 다른 처치로 데스메막박리를 치료한 경험을 문헌고찰과 함께 보고하고자 한다. 백내장수술 도중에 언제든지 발생할 수 있는 합병증인 데스메막박리는, 드물게는 각막절개창의 각막기질 수화 과정에서도 발생한다. 기존의 보고와 달리 전방 내로 18% SF6 가스를 주입하거나 직접적인 데스메막박리 부위에 간헐적인 각막봉합술을 시행하여 데스메막유착을 경험하였고, 이를 보고하고자 한다.

증례보고

증례 1

74세 여자 환자에게 좌안 이측 투명각막절개를 이용한 초음파수정체유화술을 시행하였다. 인공수정체를 삽입한 후 3시 방향의 각막절개창 상부의 모퉁이에서 각막기질의 수화를 위해 평형염액이 담긴 주사기를 12시 부위의 방향으로 주사기의 끝을 향하게 한 후 각막기질의 부종을 유도하기 위해 수화작용을 시도하였다. 순간 환자의 안구가 갑작스럽게 아래쪽으로 움직임으로써 주사기 끝부분이 각막기질의 아래쪽인 데스메막 경계부로 내려갔고, 평형염액 주입 수압이 전해지는 바람에, 예상치 못하게 각막기질의 하층부과 데스메막 상층부 사이가 분리되면서 데스메막박리가 일어나 10시부터 2시까지 확장되었다. 그리고, 각막상부에서는 동공중심부까지도 데스메막박리에 의한 각막부종이 관찰되었다. 술 후 1일째, 나안시력은 안전수지였고, 상측 10시부터 2시 방향으로 동공의 상방에 미만성 각막부종이 관찰되었다(Fig. 1A). 각막단층촬영에서는 데스메막박리가 10시부터 2시 방향으로 상부에서 동공 중심부까지 관찰되었다(Fig. 1B). 레보플록사신 항생제 점안액, 과삼투성 점안액, 그리고 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점안액을 처방하면서, 수술 후 2일째 전방 내 18% SF6 가스를 약 0.3 mL를 주입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적어 수술 후 4일째 전방 내 SF6 가스를 전방이 가득 찰 정도로 0.3 mL보다는 약간 초과하는 양을 주입하였다. 가스 주입량은 전방에서 동공의 면이 수평보다는 약간 아래로 내려갈 정도였고, 면봉을 이용하여 압박을 가할 경우 각막이 눌리지 않는 정도였다. 18% SF6 가스는 시간이 지나면서 부피의 확장이 생기지 않는 농도이므로, 시술 직후 급격한 안압상승으로 인한 통증 등의 소견은 보이지 않았다. 수술 후 2주 후 교정시력은 20/30로 회복되었으며 각막부종은 관찰되지 않았고(Fig. 1C), 각막단층촬영에서도 데스메막 재부착을 확인하였다(Fig. 1D). 마지막 외래 경과 관찰은 백내장수술 후 1년째였으며, 좌안 교정시력은 20/25로 측정되었다.

증례 2

76세 남자 환자가 본원 내원 약 3개월 전, 개인의원에서 우안 초음파수정체유화술 및 인공수정체삽입술을 받은 경우로, 백내장수술 이후 우안에 흐리게 보이는 증상이 있었고, 각막중심부의 데스메막박리가 지속되어 각막부종과 시력저하로 전원되었다. 초진 시 우안 교정시력은 20/125로 측정되었고, 초진 당시의 각막단층촬영에서 데스메막박리 소견을 확인할 수 있었다(Fig. 2A). 토브라마이신 점안액, 과삼투성 점안액, 프레드니솔론 아세테이트 점안액, 스테로이드성 항생제 안연고가 사용되었으나 각막부종 호전이 없어 18% SF6 가스를 전방에 약 0.3 mL를 주입하였다(Fig. 2B). 첫 가스 주입 후 약 2주 후에 호전의 양상이 현저하지 않아 추가로 18% SF6 가스 0.4 mL를 전방에 주입하였다. 두 번째 가스 주입 후 2일 뒤 경과 관찰에서 각막단층촬영에서 데스메막박리의 호전을 보였다(Fig. 2C). 마지막 가스 주입 후 2주 뒤 내원 시에 측정한 나안시력은 20/80으로, 데스메막박리가 3개월 경과되면서 각막조직의 변성으로 완전한 시력상승이 되지 않은 것으로 생각되었지만, 환자는 시력에 만족하였다(Fig. 2D). 첫 내원 이후 1개월 뒤 우안 시력은 20/80으로 측정되었으며, 더 이상 경과 관찰은 되지 않았다.

증례 3

75세 여자 환자에서 우안 이측 투명각막절개를 이용한 백내장수술 도중 각막 이측의 각막절개창 하부 4시 방향 모서리에서 평형염액이 든 주사기의 끝부분을 6시 부위로 향하게 하면서 각막기질에 수압을 시도하였다. 이때, 환자의 우측 안구가 갑자기 움직이면서 주사기의 끝부분이 각막기질의 아래 부위로 내려가 평형염액이 각막기질과 데스메막 사이로 주입되면서 데스메막박리가 의심되는 양상이 관찰되었다. 전방의 유출이 지속되어 각막절개창 상측 3시 방향 모서리에서도 각막부종을 유발하기 위하여 각막기질의 수화를 시행하였으나, 이미 형성된 하측 부위의 데스메막박리가 연속되어 확장되는 것이 의심되어 각막기질 수화를 중단하고, 전방에 공기 주입을 시행한 뒤 전방의 유출이 없음을 확인하고 수술을 마쳤다. 수술 후 1주일째, 세극등 검사에서 공기의 소실과 함께 2시부터 8시 방향으로 각막부종이 관찰되었고, 각막단층촬영에서 여전히 데스메막박리 소견이 관찰되었다(Fig. 3A). 따라서, 교정시력이 20/30이지만, 전방에 18% SF6 가스 약 0.3 mL를 주입하였고, 레보플록사신 항생제 점안액과 과삼투성 점안액을 처방하였다. 첫 번째 SF6 가스 주입 9일 후에도 시력과 각막부종의 호전이 없어, 전방에 추가로 18% SF6 가스 0.3 mL를 주입하여 경과 관찰 중에 전방 내 가스에 의한 동공차단이 발생하면서 나안시력은 안전수동, 안압은 50 mmHg로 측정되었다(Fig. 3B). 전방으로 주입된 가스가 인공수정체 아래로 들어가 수정체낭에 위치하면서 동공차단이 발생하여 수술실에서 앙와위 자세(supine position)를 취하고 전방으로 가스를 이동시킨 후 데스메막박리가 심한 하부 쪽으로 각막봉합술을 시행하였다. 데스메막박리가 가장 심한 6시, 8시 방향에 각막윤부의 하부, 주변부 각막을 직접 천공하여 각막 전층을 간헐적으로 봉합하는 방식으로 10-0 나일론 봉합사를 사용하여 데스메막유착을 시도하였다. 각막봉합을 시행하면서 전방 내 가스의 유출이 일부 있었고, 전방의 형성은 그대로 유지되어 추가로 가스의 주입은 시행하지 않았다(Fig. 3C). 각막봉합술 시행 후 3일째, 각막부종이 호전되었고, 교정시력은 20/60으로 측정되었으며, 각막단층촬영에서는 데스메막의 재부착이 확인되어 각막봉합술 후 1주일째 봉합사를 제거하였다. 봉합에 따른 각막조직의 혼탁이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으며, 수술 후 2개월째 경과 관찰 시 우안 교정시력은 20/20로 측정되었고, 다른 합병증은 관찰되지 않았다(Fig. 3D).

고 찰

데스메막박리는 안내 수술의 합병증 중 하나이며, 외상이나 알칼리 물질에 의해서도 발생할 수 있으며, 각막부종이나 각막의 데스메막주름, 시력저하 등이 동반된다. 수술 중 발견하지 못 하였거나 인지할 수 없었던 데스메막박리는 각막단층촬영으로 간단히 데스메막박리 정도를 확인하는 것이 도움이 되기에 의심스러운 경우 수술 후 검사를 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데스메막박리는 치료 없이 경과 관찰을 고려할 수 있으나, 병변의 양상에 따라 치료의 방향이 달라질 수 있다. Kumar et al [5]은 데스메막박리의 깊이, 길이, 병변의 영역, 그리고 동공 영향 여부에 따라 데스메막박리의 치료법을 언급했는데, 병변의 길이가 1 mm 미만, 깊이가 100 μm 미만일 경우 병변 발생 부위와 관계없이 스테로이드나 고삼투압 점안액의 사용 등으로 호전된다고 하였다. 그리고, 병변의 길이가 1-2 mm, 깊이가 100-300 μm 범위일 경우, 각막에서의 병변 발생 부위를 고려하여, 각막중심에서 5 mm 보다 바깥쪽에서 병변이 발생한 경우에는 내과적인 치료가 먼저이다. 그러나, 각막중심에서 5 mm 이내의 위치에 병변이 발생한 경우는 내과적 치료보다는 수술적인 처치가 필요하다. 병변의 길이가 2 mm를 초과하고, 깊이 300 μm를 초과할 경우에는 병변 위치가 각막 중심에서 8 mm 이내의 병변일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를 고려하는 것이 좋으며, 각막 중심에서 8 mm 바깥의 병변일 경우에는 내과적 치료를 먼저 시도해 볼 수 있다. 그러나 모든 경우에서 4주간의 내과적 치료를 시행해도 호전되지 않을 경우 수술적 치료의 단계로 넘어가는 것이 좋다. 저자들의 증례를 살펴보면, 증례 1의 경우는 각막중심에서 벗어난 주변부의 병변으로 가스를 통한 처치가 적응이 되었고, 증례 2의 경우는 수술 후 3개월이 지난 각막중심부에 발생한 경우로 수술적인 처치가 여의치 않아서 가스를 통한 처치가 고려된 경우였다. 증례 3의 경우는 각막의 주변부에 생긴 데스메막박리이지만 전방내 반복적인 가스 주입으로도 데스메막의 유착이 되지 않았던 경우로 수술적 처치를 시행한 경우였다.
일반적으로, 수술적 치료는 전방에 공기를 주입하거나, 점탄 물질 주입, 12-14% C3F8 가스나 14-20% SF6 가스 등을 전방 내에 주입하여 주입된 가스의 물질을 이용하여 누르는 물리적인 힘으로 데스메막유착을 시도할 수 있다[2,3,6,7]. Jain and Mohan [8]은 전방 내로 C3F8 가스를 주입하였으나 치료 효과가 부족한 경우, 처음 전방에 주입한 동일한 기체를 재주입하여 92.3%의 치료 성공률을 보고하였다. 주입 시 가스는 27-30게이지 바늘을 사용하며, 가스 주입 방법은 술자에 따라 다양하지만 데스메막박리 부위에서 멀리 떨어진 곳에서 주입하는 것이 좋다. Chow et al [9]은 가스 주입 시 전방을 가득 채울 정도로 주입하되 동공차단의 합병증 예방을 위해 주입량의 1/3 정도를 방출하는 것이 좋다고 보고하였다. 또한 가스 주입 후 동공확장제 사용과 가스 주입 전 레이저 주변부 홍채절개술은 안압상승의 합병증 발생가능성을 낮출 수 있고, 가스 주입 후 환자는 바로 누운 자세를 유지하여 각막 표면 쪽으로 공기가 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좋다. 그리고, 데스메막을 직접 물리적으로 각막에 고정하는 봉합술은 Amaral and Palay [4]가 문헌으로 보고하였는데, 10-0 폴리프로필렌 봉합사를 이용하여 데스메막박리가 발생한 병변 맞은편에서 전방천자를 시행 후 전방 천자 부위에서 앞방을 가로질러 병변 부위로 진입하여 각막 안쪽에서 바깥으로 봉합하는 매트리스 형태의 각막봉합술을 기술하였다. 이런 각막봉합술은 전방 내로의 가스주입술보다는 침습적이며 수술실에서 장시간 시행해야 하는 단점이 있지만, 물리적인 봉합이 데스메막 재부착의 확률을 더 높여주기에 병변의 크기가 크거나 전방 내 가스주입술로 치료 효과가 없는 경우엔 각막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좋다.
증례 3의 경우 여러 차례 전방으로 비팽창성 18% SF6 가스를 주입하였고, 가스 주입의 효과로 1시에서 6시 부위는 데스메막박리와 각막부종이 호전되었으나, 하측 6시에서 8시 방향의 경우는 일상생활과 연관하여 기립 혹은 착석에 따른 습관의 영향으로 시간이 지남에 따라 가스가 흡수되면서 가스에 의한 데스메막유착이 잘 이루어지지 않은 경우였다. 경과 관찰 중 전방 내 가스 유입의 효과를 제대로 얻지 못하고 동공차단의 합병증이 발생하여 환자를 바로 눕힌 상황에서 수술적인 처치로 데스메막을 각막에 고정하는 봉합술을 시행하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시행되는 각막고정봉합술은 데스메막박리가 중심부 각막을 침범하거나 주변부 각막의 50% 이상의 데스메막박리가 있을 때, 그리고 반복되는 데스메막박리에서 데스메막 고정봉합술이 추천된다[8-10]. Amaral and Palay [4]은 데스메막박리 범위가 심한 형태로 직접 봉합사를 이용하여 데스메막을 각막에 고정시킨 경우로, 10-0 폴리프로필렌봉합사를 이용하여 데스메막을 매트리스 형태로 각막에 고정하는 봉합술의 형태를 보고하였다. 그러나, 본 증례의 경우와 같이 데스메막박리 병변이 비교적 적고 얕지만, 시축에서 벗어나 지속적으로 각막부종이 유지가 되거나 혹은 재발하는 경우는 전방천자 없이 박리가 많은 부위를 각막 전층으로 각막봉합술을 시행하는 방식을 사용하여 주변부에 생기는 데스메막박리에 유용하게 대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경우 각막 전층의 단순봉합에 따른 각막조직의 혼탁이나 이상 소견은 발견되지 않았고, 이 방식은 Kannan et al [11]가 데스메막박리에서 사용하여 성공적으로 데스메막재유착을 보고하기도 하였다. 이처럼 데스메막박리를 봉합하는 각막봉합술에도 박리의 정도, 범위의 크기, 위치 등 상황에 따라 다양한 방법이 있을 수 있으며, 이에 관한 연구도 추후 필요할 것으로 생각한다.
백내장수술 중에 생기는 대표적인 데스메막박리는 각막의 절개부 등에 의료기구를 통한 의인적 손상에 의해 발생한 데스메막에 전방 내 물이 들어가면서 각막기질의 하층부과 데스메막 상층부 사이를 분리시켜 발생한다. 그러나, 각막기질 부위에 수화를 시행하는 도중에 발생하는 경우는 환자의 갑작스러운 안구 움직임에 따라 평형염액이 담긴 주사기 끝이 각막기질이 아닌, 각막기질과 데스메막 사이로 진입되어 평형염액이 주입되면서 유체의 압력으로 인해 기질에서 데스메막이 박리되는 현상으로, 급작스러운 안구의 움직임이 위험요인으로 간주된다. 각막 데스메막박리로 각막의 기질부종이 발생할 수 있으며, 적절한 치료를 해주지 않을 경우, 수포각막병증으로 진행되어 시력예후가 매우 불량할 수도 있다. 본 증례에서도 백내장수술 과정에서 환자의 비협조에 의한 갑작스러운 안구의 움직임으로 각막실질부위에 수화 작업을 시행하다가 발생한 데스메막박리가 2안이었다. 따라서, 각막기질의 수화 과정에서 환자의 눈이 갑작스럽게 움직일 수 있고 안구진탕과 같이 미세한 움직임이 있는 경우는 각막기질의 부위를 파악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항상 이를 인지하고 주의를 요하는 것이 필요하며, 평형용액 주입 전 각막기질에 정확히 주사기 끝을 위치했는지 한 번 더 확인하는 자세가 의인성 데스메막박리 발생 방지에 도움이 된다. 또한, 각막의 데스메막박리가 발생하였을 때, 각막기질 수화를 주변부에 재차 시행하게 될 경우 데스메막박리가 연장될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하며, 각막절개창을 통한 방수의 유출이 있을 경우, 각막봉합을 시행하는 것이 좋을 것으로 생각된다.
전방에 가스를 주입하는 경우에는 주로 C3F8 가스와 SF6 가스가 사용되는데, 전자의 경우는 위수정체안에서 반감기가 약 8일 정도이고 순도 100%의 가스를 주입하는 경우 3-4일 이후에는 주입된 가스의 4배로 부피가 확장된다고 한다. 전방 내 충전물로 사용하는 경우 장기간 전방 내 존재할 수는 있지만 안압상승이나 각막내피세포의 손상이 우려되는 단점이 있다. 저자들이 사용한 후자의 SF6 가스는 안구 내에서 반감기가 약 2.5일 정도이고 순도 100% 가스에서는 1-2일 후 2배로 부피가 증가하여, 상대적으로 안압 상승이나 각막내피세포에 미치는 영향력은 C3F8 가스에 비해 적을 것으로 보인다[3]. SF6 가스를 전방으로 주입하여 데스메막의 충분한 유착 효과를 얻기 위해서는, 기존의 전방 부피가 약 139.80 ± 38.21 mm3로 보고, 전방 내 주입량인 0.3-0.4 mL보다 전방을 가득 채울 정도의 18% SF6 가스를 주입하는 것이 좋다[12]. 전방 내로 과도한 가스를 주입할 경우 안압상승이 초래될 수 있는데, 본 증례에서 18% SF6 가스 주입 후 2명은 안압상승이 없었지만, 가스로 인한 동공차단이 생긴 경우는 안압상승이 초래되어 처치가 필요한 경우였다. 안압상승을 예방하기 위해 가스 주입 후 동공확장제를 사용하거나 가스 주입 전 레이저로 주변부 홍채절개술을 시행하면 도움이 된다. 전방 내로 주입한 가스의 양이 지나쳐 안압이 상승하는 경우, 전방천자를 시행하여 전방 내 가스의 양을 줄이는 것도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가스를 사용하는 경우는 일상적인 생활과 관련하여 신체의 영향을 고려하는 것이 필요하며, 증례 3처럼 일상적으로는 기립하여 생활하기에 가스가 상방으로 미치는 힘은 강하여 각막상부의 데스메막이나 각막부종 상태는 호전을 보이나, 전방의 하부에 미치는 힘은 시간이 지날수록 약해져 각막 데스메막박리가 지속될 경우 각막봉합술을 시행하는 것이 도움이 된다.
비팽창성 18% SF6 가스는 데스메막의 치료 효과가 부족할 경우 혹은 시간이 지나면서 전방에 가스가 불충분하여 재차 주입하는 경우도 있으며, 자주 반복하여 주입하는 경우는 경과 관찰을 통하여 데스메막유착 여부 및 안압, 시력호전 유무, 그 외 가스에 의한 독성 여부를 확인해야 할 필요가 있다. 전방 내 가스 주입에 관해, Landry et al [13]은 SF6 가스가 전방 내 공기보다는 염증반응 및 각막부종이 상대적으로 강하게 나타날 수 있으며, 염증도 공기보다 SF6 가스 주입 시 오래 지속되면 가스 주입 후 2일째에 염증이 가장 심하다고 보고하였다. SF6 가스는 전방 내로 주입되었을 때 공기보다 전방 내의 반감기가 길어서 전방 내의 가스는 직접적으로 염증을 유발할 수 있지만, 염증의 회복 시기에는 공기와 SF6 가스 사이의 유의한 염증 차이가 없었다고 보고된다[13]. 또한, 전방 내 공기나 가스 주입 시 각막내피세포층에도 영향을 받기에, SF6 가스를 주입하였을 때 공기보다는 각막내피세포의 밀도가 유의하게 감소하고, 평균 세포의 크기도 유의하게 증가할 수 있다고 알려져 있다[13]. 그러나, 가스가 전방 내에 장기간 유지되지 않으면 임상적으로는 큰 의미가 없으며, 만일 가스로 인한 각막내피세포층의 손상이 우려될 경우는 가능한 가스 주입의 사용 횟수와 기간을 줄이면서 각막내피세포의 기능을 주기적으로 관찰하는 것이 좋다고 권유하고 있다.
일반적으로 전방 내로 공기를 주입하였을 경우, 약 3-5시간 정도만 지나면 전방수가 생성되어 하루가 지나기도 전에 전방을 압박하는 효과가 감소되므로, 데스메막박리의 재유착을 위해서는 공기의 전방 내로 주입이 적절한 치료가 되지 못한다고 알려져 있다. 본 증례의 경우도 데스메막박리가 의심되어 전방 내 공기의 주입을 시도하였지만, 술 후 1일째 전방 내 공기의 소실이 확연하여 데스메막의 재유착 효과가 저하되었고, 결국 18% SF6 가스를 재주입하여 충분한 치료 효과를 얻었다. Kocak Altintas and Ilhan [14]은 비팽창성 농도인 14% C3F8 가스를 사용하여, 공기보다 더 오랫 동안 충전물이 전방에 머물면서 데스메막을 효과적으로 유착을 보고하였고, Bhatia and Gupta [15]은 비팽창성 18% SF6 가스를 사용하여 안압이나 각막내피세포의 부작용 없이 데스메막유착에 성공했다고 한다. 따라서 저자들은 데스메막박리가 발생했을 경우, 데스메막박리의 범위나 위치, 재발의 빈도 등을 고려하여 공기보다는 가능한 부피의 증가를 초래하지 않은 비팽창성 농도의 가스를 추천하며, 데스메막박리가 심하거나 지속적으로 각막부종이 유지되는 경우에는 비팽창성 농도인 14% C3F8 가스를, 주변부에 데스메막박리가 존재하거나 각막의 중심부에 작은 병변이 존재하는 병변이 비교적 적은 경우는 18% SF6 가스의 사용이 유용할 것으로 생각된다.
데스메막박리가 관찰되었을 때, 주변부나 중심부의 병변 크기가 작은 경우라면 18% SF6 가스 주입 시 가스의 부피 증가 없이 안전하고 효과적으로 데스메막유착을 기대할 수 있으며, 병변의 위치가 주변부에 있으며, 시축을 침범하지 않는 지속적인 각막부종이 유지되는 경우 또는 자주 재발되는 주변부 데스메막박리에는 전층의 각막조직을 단순 봉합하는 것도 유용한 처치로 생각된다.

NOTES

Conflict of Interest

The authors have no conflicts to disclose.

Figure 1.
The patient's photo compare with preoperative and postoperative cataract surgery. There was severe corneal edema at the upper part of the cornea (A). The anterior corneal segment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after cataract surgery. Central corneal thickness of the left eye was about 800 μm. Visual acuity was finger count level (B). 18% Non-expansible sulfur hexafluoride (SF6) gas fully injected in the anterior chamber twice. Cornea edema has disappeared at postoperative day 5 (C), and Descemet membrane attached completely, it’s thickness of central cornea was about 580 μm. Visual acuity was 20/30 (D). Visual acuity was recovered to 20/25 after 1 year follow-up.
jkos-2021-62-6-834f1.jpg
Figure 2.
Central corneal edema of the right eye was found at the first visit. The anterior corneal segment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central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about 610 μm. Visual acuity on the first visit was 20/125 (A). 18% Non-expansible sulfur hexafluoride (SF6) gas 0.2 mL was injected in the anterior chamber, but it was less effective after 2 weeks follow-up. (B) SF6 18% gas 0.4 mL was injected again in the anterior chamber once again. Two days after the second gas injection, corneal edema decreased. The anterior corneal segment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the Descemet membrane was completely attached.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about 604 μm. (C) The patient’s eye was clear without any complications at 2 weeks after cataract surgery, and visual acuity was 20/80 due to previous central corneal opacity (D).
jkos-2021-62-6-834f2.jpg
Figure 3.
There was corneal edema at the nasal part of the cornea and detachment of Descemet membrane after cataract surgery.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about 931 μm. Visual acuity was 20/30 (A). 18% Non-expansible sulfur hexafluoride (SF6) gas was injected in the anterior chamber twice and pupilary block apperared (B). Anterior photography of the right eye showed the two points of cornea sutures (red arrows). Corneal edema decreased. The anterior corneal segmental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showed completely attached Descemet membrane (C). Central corneal thickness was about 590 μm. The attached Descemet membrane was stable at 3 months after cataract surgery, and visual acuity recovered to 20/20 (D).
jkos-2021-62-6-834f3.jpg

REFERENCES

1) Singhal D, Sahay P, Goel S, et al.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Surv Ophthalmol 2020;65:279-93.
crossref pmid
2) Kim BR, Park SY, Lee HK, et al. A case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during lidocaine injection for hordeolum incision and drainage. J Korean Ophthalmol Soc 2016;57:1790-4.
crossref
3) Jacobs PM, Twomey JM, Leaver PK. Behaviour of intraocular gases. Eye (Lond) 1988;2:660-3.
crossref pmid
4) Amaral CE, Palay DA. Technique for repair of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Am J Ophthalmol 1999;127:88-90.
crossref pmid
5) Kumar DA, Agarwal A, Sivanganam S, Chandrasekar R. Height-, extent-, length-, and pupil-based (HELP) algorithm to manage post-phacoemulsification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J Cataract Refract Surg 2015;41:1945-53.
crossref pmid
6) Benatti CA, Tsao JZ, Afshari NA.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during cataract surgery: etiology and management. Curr Opin Ophthalmol 2017;28:35-41.
pmid
7) Najjar DM, Rapuano CJ, Cohen EJ.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with hemorrhage after alkali burn to the cornea. Am J Ophthalmol 2004;137:185-7.
crossref pmid
8) Jain R, Mohan N. Outcomes of repeat descemetopexy in post-cataract surgery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Am J Ophthalmol 2014;157:571-5.
crossref pmid
9) Chow VW, Agarwal T, Vajpayee RB, Jhanji V. Update on diagnosis and management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Curr Opin Ophthalmol 2013;24:356-61.
crossref pmid
10) Das M, Begum Shaik M, Radhakrishnan N, Prajna VN. Descemet membrane suturing for large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after cataract surgery. Cornea 2020;39:52-5.
crossref pmid
11) Kannan B, Balaji V, Gonvindarajan K, Kummararaj S. Surgical repair of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following phacoemulsification by intracameral air injection and suture fixation. Asian J Ophthalmol 2011;12:221-3.
crossref
12) He W, Zhu X, Wolff D, et al. Evaluation of anterior chamber volume in cataract patients with swept-source optical coherence tomography. J Ophthalmol 2016;2016:8656301.
crossref pmid pmc
13) Landry H, Aminian A, Hoffart L, et al. Corneal endothelial toxicity of air and SF6. Invest Ophthalmol Vis Sci 2011;52:2279-86.
crossref pmid
14) Kocak Altintas AG, Ilhan C. Successful treatment of late onset post-phacoemulsification Descemet's membrane detachment. Ther Adv Ophthalmol 2019;11:2515841419853691.
crossref pmid pmc
15) Bhatia HK, Gupta R. Delayed-onset descemet membrane detachment after uneventful cataract surgery treated by corneal venting incision with air tamponade: a case report. BMC Ophthalmol 2016;16:35.
crossref pmid pmc

Biography

정우현 / Woohyun Chung
부산대학교 의학전문대학원 안과학교실
Department of Ophthalmology, Pusan National University School of Medicine
jkos-2021-62-6-834i1.jpg


ABOUT
BROWSE ARTICLES
EDITORIAL POLICY
FOR CONTRIBUTORS
Editorial Office
SKY 1004 Building #701
50-1 Jungnim-ro, Jung-gu, Seoul 04508, Korea
Tel: +82-2-583-6520    Fax: +82-2-583-6521    E-mail: kos08@ophthalmology.org                

Copyright © 2024 by Korean Ophthalmological Society.

Developed in M2PI

Close layer
prev next